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AKSR2018-C08)
연구과제명
  • 국문 : 『신학신설』역주 연구
  • 영문 :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Shinhakshinseol
연구책임자 안예리
공동연구자
  • 이준환 / 전남대학교 / 부교수
  • 정한데로 / 가천대학교 / 조교수
  • 임상석 / 부산대학교 / HK교수
연구기간 2018-04-04 ~ 2018-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이 연구는 1891년에 지석영(池錫永, 1855-1935)이 편찬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예방의학서 신학신설에 대한 역주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신학신설은 표지부터 서문, 본문, 부록에 이르기까지 전문이 순 국문으로만 작성된 60장 분량의 필사본 자료이며 띄어쓰기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유일본을 저본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였다.

1) 문헌 해제

2) 원문 판독 및 입력

3) 띄어쓰기 및 문장 경계 표시

4) 한자어에 대한 한자 병기

5) 현대어 번역

6) 표기, 음운, 한자음, 문법, 어휘, 의미, 문체 등에 관한 주석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목차>

일러두기 ...... 8

신학신설해제 ...... 10

원문과 현대어역 ...... 16

춍논

공긔

디긔

음식

운동

부 보영

참고문헌 ...... 126

연구결과

신학신설은 한국의 근대 의학과 국어학의 개척자였던 지석영의 독특한 이력을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19세기 중엽 이후 중국에서 출판된 한문본 근대 의학서와 과학서들을 두루 참고하여 편찬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예방의학서이자 매우 이른 시기에 순 국문으로 작성된 근대 지식서라는 점에서 근대 한국학 연구 자료로서 높은 가치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신학신설은 학계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그 내용이나 언어 표현상의 특징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역주 작업은 향후 근대사, 의학사, 과학사, 가정학사, 건축학사, 지식사, 국어사, 국어학사, 문체사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한국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게일(Gale, J. S.)(1897), ????韓英字典????, Yokohama: Kelly & Walsh. (황호덕이상현 공편(2012),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영인편5, 박문사.)

게일(Gale, J. S.)(1911), ????韓英字典????, Yokohama: The Fukuin Printing Co., L’T. (황호덕이상현 공편(2012),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영인편6, 박문사.)

게일(Gale, J. S.)(1931), ????韓英大字典????, 京城: 朝鮮耶蘇敎書會. (황호덕이상현 공편(2012),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영인편10, 박문사.)

곽충구(1980), 十八世紀 國語音韻論的 硏究, 국어연구회.

국립국어연구원 편(1999),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 개화기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기창덕(1993), “송촌 지석영”, 대한치과의사학회지31(6), 457-459.

기창덕(1995), 의학 치과의학의 선구자들, 아카데미아.

김명선(2008), “지석영의 신학신설(1891)에서 근대적 주거 문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9(3), 765-770.

김연희(2016a), 한국 근대과학 형성사, 들녘.

김연희(2016b), “1880년대 수집된 한역 과학기술서의 이해: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71-119.

김연희(2017), “19세기 후반 한역 근대 과학서의 수용과 이용: 지석영의 신학신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39(1), 65-90.

김영진(1999), “池錫永國文硏究普及”, 어문논총14, 51-70.

김형철(1997), 개화기 국어연구, 경남대학교출판부.

대한의사협회(1994), 송촌 지석영, 아카데미아.

리델(Ridel, F. C.)(1880), 한불ᄌᆞ뎐, Yokohama: C. Levy Imprimeur-Libraire. (황호덕이상현 공편(2012),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영인편1, 박문사.)

문세영(1938), 朝鮮語辭典, 박문서관.

문세영(1940), 修政增補 朝鮮語辭典, 조선어사전간행회.

박병채(1980), “言文에 관한 硏究: 聲調 中心으로”, 민족문화연구15, 1-60.

박윤재(2005),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혜안.

박진호(2000), “‘봄놀다붑괴다에 대한 어원론적 형태 분석”, 형태론2(2), 209-214.

박호현(1993), “지석영의 국어학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방언연구회(2003), 方言學辭典, 태학사.

서용태(2011), “1877釜山 濟生醫院의 설립과 그 의의”, 지역과 역사28, 239-276.

서울대학교 한국의학인물사 편찬위원회(2008), 한국의학인물사, 태학사.

스콧(Scott, J.)(1891), English-Korean Dictionary, Corea: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

신규환(2006), 질병의 사회사: 동아시아 의학의 재발견, 살림.

신동원(1997), 한국근대보건의료사, 한울.

신동원(2000), “한국 우두법의 정치학: 계몽된 근대인가, ‘근대계몽인가”, 한국과학사학회지22(2), 149-169.

신동원(2015), 동의보감과 동아시아 의학사, 들녘.

신용하(2004), “지석영의 개화사상과 개화활동”, 한국학보30(2), 89-112.

신용하(2005), 한국근대지성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신유식(1993), “池錫永國文硏究”, 어문논총89, 149-184.

안예리(2018), “20세기 전반기 가정학 교과서의 번역과 어휘”, 한국사전학31, 285-116.

언더우드(1890), 韓英字典, Yokohama: Kelly & Welsh; London: Trübner & Co.

여찬영(2003), “지석영 자전석요의 한자 자석 연구”, 어문학79, 193-212.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2016), 한국 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역사공간.

이승재(1983), “再構方言分化”, 국어학12, 213-234.

이종찬(2004),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 문학과지성사.

이주행(2002), “서울 방언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107, 283-318.

이준환(2012a), “자전석요(字典釋要)의 체재상의 특징과 언어적 특징”, 반교어문연구32, 113-144.

이준환(2012b), “池錫永 言文의 표기, 음운, 어휘의 양상”, 국어학65, 281-317.

이준환(2013), “池錫永 아학편의 표기 및 음운론적 특징”, 대동문화연구83, 201-236.

이준환(2014a), “池錫永 兒學編영어 어휘의 한글 표기와 국어의 음운론적 대응 양상: 자음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사연구18, 249-292.

이준환(2014b), “兒學編일본어 어휘의 한글 표기와 국어와 일본어의 음운론적 대응 양상”, 한국어학63, 305-343.

이준환(2014c), “池錫永 兒學編영어 어휘의 모음의 한글 표기와 국어와 영어의 음운론적 대응 양상”, 대동문화연구86, 445-483.

이준환(2018), “신식부인치가법(新式婦人治家法)의 번역과 한중일 한자어의 교섭 양상”, 대동문화연구102, 337-377.

이한섭박성희 편(2017), 개화기 외국지명 표기 사전,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임상석(2008), 20세기 국한문체의 형성과정, 지식산업사.

임상석(2013), “근대계몽기 가정학의 번역과 수용: 한문 번역 신선가정학(新選家政學)의 유통 사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27, 151-171.

임상석(2016), “근대 지식과 전통 가치의 공존, 가정학의 번역과 야담의 번안 및 개작: 가뎡잡지결호의 발굴”, 코기토79, 52-83.

임상석(근간),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교체: 국한문 독본류와 총독부 조선어한문독본 비교 연구, 소명출판.

전미경(2004), “식민지 시대 가사 교과서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육학회지16(3), 1-25.

전미경(2005), “1900-1910년대 家政 敎科書에 관한 연구: 현공렴 발행 漢文家政學, 新編家政學, 新訂家政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17(1), 131-151.

정한데로(2018), “신식부인치가법한자어의 공인화: 한자 병기 어휘를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34, 241-275.

최경봉(2012), “천연두 퇴치 관심이 우리말 연구로 이어지다: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지석영”, 쉼표 마침표77, 30-31.

하강진(2010),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한국문학논총56, 663-728,

한국학문헌연구소 편(1985), 池錫永全集 1-3, 아세아문화사.

한성우(2009), “兒學編을 통해 본 근대 동아시아의 언어 교류”, 한국학연구21, 267-301.

한성우(2010),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의 언어 지식: 지석영 편찬 兒學編의 언어 자료, 인하대학교출판부.

황상익(2013), 근대 의료의 풍경, 푸른역사.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세부과제2, 세부과제3,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신학신설1891년에 지석영(池錫永, 1855-1935)이 편찬한 근대적 예방의학서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19.0cm, 세로 29.4cm, 책의 분량은 160장이며, 표지부터 서문, 본문, 협주, 두주, 부록 등 책 전체가 순 국문으로 작성된 필사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학 및 국문학 연구자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유일본을 저본으로 하여 원문 입력, 한자 병기, 주석, 현대어역의 작업을 진행하였다.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원문 입력 및 한자 병기

신학신설의 원문은 순 국문으로 작성되었으며 띄어쓰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책에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현대식으로 띄어쓰기하였으며 문장이 종결되는 위치에 마침표를 추가하였다. 단 원문의 표기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석영이 참고한 한문본 근대 과학서들을 읽어가며 대응 부분을 하나하나 찾아 한자를 병기하였다. 이 문헌에 사용된 한자어는 오늘날의 언어적 직관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의미를 알 수 없는 난해한 한자어들도 상당하다. 따라서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원문에 쓰인 모든 한자어에 대해 대응 한자를 밝힐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여러 사전과 고문헌, 고전종합DB 등을 참고하였지만 가장 중요한 참고자료는 지석영이 신학신설을 편찬하며 활용했던 全體新論, 博物新編, 儒門醫學등의 한문본 근대 과학서였다. 지석영이 직접 밝힌 부분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지만 신학신설본문의 상당 부분이 위의 한문본 자료들을 발췌 번역한 것이므로 한자 병기는 일차적으로 번역 원문을 따라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문헌 간 번역 대응 관계에 대해서는 김연희(2017)을 참고하였고 해당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들도 추가적으로 검토하였다. 번역 저본을 참고한 한자 병기 과정에서 필요 시 각주를 달아 한자 병기의 근거를 기록해 두었다.

세부과제2

주석

주석은 입력한 원문의 어절에 각주를 달아 제시하였으며 오기로 판단되는 부분, 연철, 분철, 중철, 과잉 중철, 과도 교정 등 표기상의 특징, 표기에 반영된 음운 현상의 특징, 지석영이 字典釋要에서 제시한 규범 한자음과 차이가 나는 한자음 표기의 특징, 음운사적으로 주목되는 특징, 어휘사적으로 주목되는 특징, 문법사적으로 주목되는 특징, 한의학 용어, 화학 용어, 고유명사 등 어려운 단어에 대한 의미 풀이, 오늘날과 쓰임이 다른 단어들에 대한 근대 이중어사전(리델, 게일, 언더우드, 스콧 등의 사전) 및 국어사전(문세영 사전 초판 및 증보판)의 풀이, 한문본 근대 과학서의 번역 대응 부분에 쓰인 단어의 형태 및 의미 등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주석 작업 시에는 주석 내용의 근거가 된 연구 성과나 사전 풀이, 문헌 출전 등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밝혀 두었다.

세부과제3

현대어역

현대어역은 원문 각 면의 하단 네모 박스 안에 제시하였으며 별도의 주석이나 한자 병기 없이도 쉽게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가급적 의역하였다. 현대어역을 할 때 협주가 달린 단어의 경우 원문의 단어를 그대로 썼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일 경우 괄호 안에 현대국어에서 널리 쓰이는 대응 표현을 제시하였다. 원문에 쓰인 도량형 단위는 미터법으로 환산하지 않고 그대로 썼다.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