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AKSR2018-C06)
연구과제명
  • 국문 : 『해동악부(海東樂府)』 역주 연구
  • 영문 : An Annotative Translation of Haedongakbu(海東樂府)
연구책임자 조융희
공동연구자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 이강한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연구기간 2018-04-04 ~ 2018-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해동악부는 조선후기 문인 이학규(李學逵, 1770~1835)가 고조선에서 조선중기에 이르는 기간의 우리나라 주요 역사를 읊은 영사악부 형식의 한시집이다. 해동악부를 완역함으로써 우리 역사를 이해하는 새로운 자료와 시각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 미흡한 조선시대 영사악부 연구 분야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는 목표 아래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책임자의 주관 하에 공동연구자 2인과 연구보조원 1인이 총 8회에 걸쳐 월별 강독회의에 참여하여, 분담한 해동악부 책임량을 독해하고 토의하였다. 토의하는 과정에서 난해한 원전 용어의 의미를 해독하고, 주석이 필요한 항목을 추출하였다. 번역문 일체의 정확성과 난해성·애매성 여부, 주석 항목 기술의 적절성 등을 고려하여 교차 검토된 원고는 검토 결과에 따라 수정·보완하였다. 최종 단계에서 교열 ·윤문의 보완 및 자문을 거쳐 연구결과물을 더욱 정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차지한(借地恨)>

2. <대세엽(大世葉)>

3. <귀부토(龜負兔)>

4. <금군몽(錦帬夢)>

5. <과하자(袴下子)>

6. <삼사지(三事知)>

7. <초의인(草衣人)>

8. <성제대(聖帝帶>

9. <칠령송(七嶺松)>

10. <후목주(朽木柱)>

11. <분에성(忿恚城)>

12. <창경탄(槍京歎)>

13. <우온달(愚溫達)>

14. <성상배(城上拜)>

15. <자온대(自溫臺)>

16. <낙화암(落花巖)>

17. <노룡고(老龍姑)>

18. <종제전(種穄田)>

19. <매경옹(賣鏡翁)>

20. <석문왕(席紋王)>

21. <고귀위(高貴位)>

22. <오관산(五冠山)>

23. <축성회(祝聖會)>

24. <조정침(朝廷沈)>

25. <홍사미(虹沙彌)>

26. <양수척(楊水尺)>

27. <신루지(蜃樓脂)>

28. <체두무(彘頭舞)>

29. <화초장(花草牆)>

30. <수루연(收淚宴)>

31. <양화도(楊花徒)>

32. <난귤비(爛橘鼻>

33. <지하폐(紙何弊)>

34. <대관혈(臺官血)>

35. <능수자(綾首座)>

36. <팔마비(八馬碑)>

37. <연병롱(輭餠弄)

38. <만권당(萬卷堂)

39. <마식우(馬食牛)

40. <마자소(麻子少)

41. <대광대(大廣大)>

42. <직세령(職稅令)

43. <아야마(阿也麻)>

44. <투금뢰(投金瀨)>

45. <노호정(老狐精)>

46. <아지문(阿只問)>

47. <영호루(暎湖樓)>

48. <자제위(子弟衛)>

49. <목자득국요(木子得國謠)>

50. <원처사(元處士)

51. <입산곡(入山哭)

52. <체발주(剃髮主)

53. <수진방(壽盡坊)>

54. <주불형(做佛兄)>

55. <한갱랑(寒羹郞)>

56. <자규루(子規樓)>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당초 이학규의 해동악부를 완역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므로, 원문입력 및 표점, 번역문, 각주 등 세 부분을 중심으로 원고를 작성하여 A4 124(200자 원고지 1,018) 분량의 결과물을 산출하였다. 번역문은 축자역을 원칙으로 하되 현대의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현대 한국어의 어법 및 문법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작성되었으며, 문맥의 이해에 필요한 부분은 각주에서 충실하게 설명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자료>

 

????洛下生集????,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 290.

????海東樂府集成????, 정구복 편, 여강출판사, 1988.

????(影印)文淵閣四庫全書????, 臺灣商務印書館, 1985.

<中國基本古籍庫DB>, 北京大 愛如生數字化技術硏究中心.

<韓國古典 綜合DB>, 한국고전번역원.

 

<논저>

 

이익 저, 이민홍 역, ????해동악부한시로 읽는 우리 역사????, 문자향, 2006.

이학규 저, 실시학사고전문학연구회 역, ????유배지에서 역사를 노래하다, 영남악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김영숙,조선시대영사악부연구(朝鮮時代詠史樂府硏究),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김종진, 해동악부를 통해 본 성호의 역사 및 현실인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연구17, 1983, 43~44.

김혜실, 李學逵嶺南海東樂府 硏究」 ????한남어문학???? 15,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1989, 289~291.

남은경, 한시 속에 나타난 고구려 여성 -조선후기 해동악부에 나타난 고구려 여성 형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 2009, 138.

박명희, 李瀷'海東樂府' 硏究 : 作家 意識中心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53, 69.

석진주, 李學逵嶺南樂府·海東樂府硏究,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88~91.

석진주, 典故 사용을 통해 본 星湖 家門 海東樂府33: 李瀷·李福休·李學逵의 작품을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42, 동양한문학회, 2015, 2.

심경호, 조선 후기 한시의 자의식적 경향과 해동악부체(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1, 22~27.

유영봉, 점필재 동도악부(東都樂府)의 성격과 계승 양상, ????동방한문학???? 29, 동방한문학회, 2005, 93~102.

이국진, 李學逵 漢詩의 표현기법과 미적 특질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83~187.

이혜순, 韓國樂府硏究(),논총???? 39, 이화여자대학교한국문화연구원, 1981, 15~27.

이혜순, 韓國樂府硏究 2, ????동양학???? 1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2, 88~89.

정은주, 洛下生 李學逵 文學變貌 樣相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4~95.

허연구, 洛下生 李學逵海東樂府 硏究: 作家意識中心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27, 72~74.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이번에 완역한 해동악부에 실린 56편의 작품은 우선 다른 영사악부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역사의 정통성을 밝힐 통시적인 소재들을 많이 사용하였다. 고조선 1, 신라 7, 고구려 5, 백제 4, 고려 32, 조선 7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조선에서 시작하여 신라, 고구려, 백제를 거쳐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역사인식은 심광세나 이익의 역사관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학규가 독자적으로 耽羅를 우리 역사 속에 편입시키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다섯 번째 작품인 <袴下子>에서 탐라가 고유의 전통을 지닌 독립된 국가였다가 신라에 복속되어 자주성을 상실했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해동악부에는 설화나 민요동요 등에서 소재를 취택한 경우도 많다. 대세설화(<大世葉>), 삼성설화(<袴下子>), 구토설화(<龜負兔>), 주몽유리왕설화(<七嶺松>, <朽木柱>, <槍京歎>), 온달설화(<愚溫達>), 태조왕건탄생설화(<種穄田>) 등의 설화류 소재들은 대체로 국가의 창업 및 몰락과 관련한 작품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고려 충숙왕 시기의 매관매직을 풍자한 동요(<麻子少>), 충혜왕의 음행을 풍자한 동요(<阿也麻>), 고려의 몰락과 조선의 개창을 암시한 동요(<木子得國謠>) 등을 통해 고려말의 弊政을 비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재 취택에 나타난 특징을 통해 작자 이학규가 민족적 자주의식, 현실비판의식과 민중에 대한 우호의식 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동악부 전편에 대한 3인 공동의 역주를 통해 이러한 의식들의 구체적 발현 양상과 시대적 의미, 타 문인들과의 영향관계 등이 충분히 논의될 기초가 마련되었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