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AKSR2018-C0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의 신종교 성지
  • 영문 : Sacred places of New Religions in Korea
연구책임자 강돈구
공동연구자
  • 윤용복 / 아시아종교연구원 / 원장
  • 허남진 / 원광대학교 / 연구교수
  • 고병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석연구원
연구기간 2018-04-04 ~ 2018-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학문적, 국가적·사회적 차원에서 신종교 성지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신종교 성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 성지 연구의 중요성, 그리고 신종교 성지에 대한 광범위하게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 등을 고려해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의 신종교 성지를 연구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현지조사연구를 병행하면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부분의 내용을 다룬다. 첫 번째는 이론적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는 신종교 성지의 개념과 범주 등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성지의 범위 설정, 현황 파악, 성지의 조성 과정과 기준과 맥락 등을 연구한다. 둘째, 선정 기준에 따라서 선정된 성지 항목에 대해 자료를 집적하여 구체적인 단위로 서술한다. 셋째, 한국 신종교 성지에 대해 평가하고 보존관리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한국 신종교의 개관

  1. 한국 신종교의 역사적 흐름

  2.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

. 각 종교별 성지

. 한국 신종교 성지 평가와 보존 방안

연구결과

본 공동연구는 한국의 신종교 성지에 대해 연구 기반 사전 형태를 지향하였다. 한국 신종교 성지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이론적 부분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팀은 다소 중첩되지만, 역사성(천도교, 대종교, 원불교, 수운교, 금강대도), 교세 규모(원불교, 대순진리회), 대외적 인식 정도(통일교, 갱정유도, 증산도, 천부교)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총 94개 성지에 대해 해당 신종교의 역사와 특성에 대한 개관. 항목별 소재지, 정의, 내용(핵심 상징, 성지조성 경위, 종교문화사적 의미, 성지의 지역문화활용 현황, 관련 자료의 발굴(참고문헌) 등에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신종교 성지에 대해 그 현황과 보존·관리 실태를 평가하고 신종교 성지가 새로운 문화역사적 시각에서 그 가치에 대해 재평가 되고 계승될 수 있는 보존 방안을 모색했다.

참고문헌

1. 홈페이지, 언론, 경전 등

강화군청 홈페이지 (http://www.ganghwa.go.kr/)

구례군청 홈페이지 (http://www.gurye.go.kr/)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http://reservation.knps.or.kr/)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홈페이지 (http://www.daesoon.org/)

대종교홈페이지 (http://www.daejonggyo.or.kr)

디지털 순창문화대전 (http://sunchang.grandculture.net/)

디지털서산문화대전 (http://seosan.grandculture.net/)

디지털충주문화대전 (http://chungju.grandculture.net/)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

박씨 종친회 충헌공파 대종회 홈페이지 (http://www.chungheongong.com/)

보은군청 홈페이지 (https://www.boeun.go.kr/)

봉화군청 홈페이지 (http://www.bonghwa.go.kr/)

사단법인 현정회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

수운교 홈페이지 (http://www.suwoongyo.or.kr/)

영주시청 홈페이지 (https://www.yeongju.go.kr/)

원불교홈페이지 (http://www.won.or.kr)

익산시 공식블로그 (https://hiksanin.blog.me/)

정읍시청 홈페이지 (http://www.jeongeup.go.kr/)

증산도홈페이지 (http://www.jsd.or.kr/)

천도교 홈페이지 (http://www.chondogyo.or.kr)

천도교 홈페이지 (http://www.chondogyo.or.kr)

천복궁교회 홈페이지 (http://www.cbg21.org/)

칠곡군청 홈페이지 (http://www.chilgok.go.kr/)

통일교 홈페이지 (https://www.ffwp.org/)

통일교 홈페이지 (https://www.ffwp.org/)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홈페이지 (http://encykorea.aks.ac.kr/)

합천군청 홈페이지 (http://www.hc.go.kr/)

 

????매일신문????, ????세계일보????, ????통일뉴스????

 

????金剛開道百年史????(금강대도 총본원, 2010), ????대산종사법어????, ????대순전경????, ????대순지침????(대순진리회 교무부, 2012), ????대순회보????(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대종교요감????(대종교총본사 1983), ????도전????(상생출판, 2017), ????동경대전????(박맹수 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문화재지????(충청북도, 1982), ????불법연구회창건사????, ????수운교요람????(수운교본부, 2003), ????원불교 헌규집????, ????전경????(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천도교약사????(천도교중앙총부, 2010), ????충북관광: 청풍명월의 본향????(충청북도, 1998), ????태극진경????(태극도 출판부, 1989)

 

2. 논저

강돈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현재와 미래, ????한국 종교교단 연구???? 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강돈구, 수운교의 특징과 전개, ????종교연구???? 42, 2006

고건호, ????한말 신종교문명론: 동학 천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 박사학위논문, 2002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전개와 특징, ????한국종교교단 연구Ⅱ????,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공주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공주의 전통마을???? 6. 공주문화원, 2007

국립민속박물관 편, ????한국민속대백과사전????, 2009

권선정, 텍스트로서의 신도안 읽기-조선 초 천도 과정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14, 2002

김도현, 태백산 천제의 역사와 의례, ????역사민속학???? 31, 1993

김동환, 대종교 성지 청파호 연구-종교지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17, 2013

김방룡, 정산(鼎山) 조철제(趙哲濟)의 종교사상,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77, 2018

김승남, 대순진리회 도장의 공간배치와 성소적 의미, ????신종교연구???? 34, 2016

김의환. ????전봉준 전기????, 정음사, 1981

김항제, 통일교(2), ????대순회보???? 144, 2013

김홍철, 모악산하 민중신앙, ????한국 민중사상과 신종교????, 진달래, 1998

김홍철, ????한국신종교사전????, 모시는 사람들, 2016

김홍철. 계룡산(鷄龍山)과 승지신앙(勝地信仰), ????종교연구???? 52, 2008

김홍철. 母岳山下 民衆宗敎運動發生原因硏究, ????한국종교사연구???? 5, 1996

남민, ????정감록이 예언한 십승지마을을 찾아 떠나다????, 서울: 소울메이트, 2014.

노길명, ????한국의 신흥종교????, 가톨릭출판사, 1989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4

대종교종경종사편수위원회, ????대종교중광육십년사????, 대종교총본사, 1971

류남상, 계룡산 신흥종교의 계보와 교리연구, ????철학연구???? 8, 1969

류병덕 외, ????··일 삼국 신종교실태의 비교연구????,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2

류병덕 편저, ????한국 민중종교 사상론????, 시인사, 1985

류병덕, 계룡산하의 종교, ????한국신흥종교????, 원광대학교 출판국, 1974

류병덕, 모악산하의 종교, ????한국신흥종교????, 원광대학교 출판국, 1974

류병덕, 김홍철, 양은용,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 익산, 원광대학교종교문제연구소, 1997

류제헌, 경합(競合) 장소로서의 계룡산, ????대한지리학회지???? 40-6, 2005

무주군지편찬위원회 편, ????무주군지????, 신아출판사, 2004

민동근, 계룡산일대 종교의 실태조사, ????철학연구???? 8, 1969

박광수, 원불교 성지와 관련한 성스러움의 인식체계,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7, 2004

박달식, ????(원불교의 사적)새 회상 거룩한 터????, 원광사, 1986

박맹수, 동학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동학과 천도교를 중심으로, ????한국종교???? 37, 2014

박맹수, 원불교 종교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방안,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31, 2005

박맹수, ????최시형 연구: 주요활동과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박맹수, ????해월최시형 연구: 초기(1861-1871) 행적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박영석, 대종교의 민족의식과 민족독립운동, ????일제하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4

방길튼, ????소태산 대종사님 마음따라: 제법의 길 변산성지 석두암 길!????, 원불교출판사, 2016

방길튼, ????소태산 대종사님 발길따라: 전법의 길 익산성지 대종로!????, 원불교출판사, 2016

방길튼, ????소태산 대종사님 숨결따라: 깨달음의 길 영산성지 노루목 길!????, 원불교출판사, 2016

삼천도 총본부 도법관회, ????삼천도 총관(三天道 總款)????, 삼천도 총본부, 2015

삿사 미츠아키, ????한말, 일제시대 단군신앙운동의 전개:대종교, 단군교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서문성, ????십이인연의 꽃자리, 만덕: 원불교 만덕산 성지????, 원불교출판사, 2011

서문성, ????원불교성지: 원불교 성지안내의 길잡이????, 원불교출판사, 1999

서영대, 참성단의 역사와 의의, ????고조선단군학???? 19, 2008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 ????서울의 근대 건축????, 서울역사박물관, 2009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성약시대의 청평역사와 축복가정의 길????, 성화출판사, 2000

송인창, 계룡산(鷄龍山) 문화에 나타난 후천개벽사상(後天開闢思想), ????동서철학연구????, 46, 2007

송화섭, 지리산(智異山)의 노고단(老姑壇)과 성모천왕(聖母天王), ????도교문화연구???? 27, 2007.

수운교교리연구원 편, ????수운교진리????, 수운교출판부, 1999

시마다 다카노리, ????통일교 세계성지에 관한 역사적 연구: 일본 세계성지 8개소를 중심으로????, 청심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시원포 90년사 편찬위원회, ????천도교 시원포-90년의 발자취????, 모시는 사람들, 2016

신광철, 원불교 문화원형의 의의 및 활용방안, ????신종교연구???? 21, 2009

암찬경, 대종교 성지 청파호 연구-역사지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17, 2013

양은용. 계룡산과 한국 신종교, ????한국종교???? 34, 2010

양태진 번역, 주해, ????민족종교의 모태 정감록????, 예나루, 2013.

양편승,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성지 유래 연구, ????신종교연구???? 34, 2016

양평승, ????교회의식연구????, 선문대 출판부, 2005

예천군지편찬위원회 편, ????예천군지-예천의 생활문화???? 중권, 예천군, 2005

오지영. ????동학사????, 영창서관, 1940

운승용, 한국종교의 이상세계론, 그 연구를 위한 시론, ????신종교연구???? 29, 2013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원 편,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2013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원·한국신종교학회 편, ????한국신종교사전????, 2018

원불교 교정원 문화사회부 원불교성지사업회, ????원불교 영산·익산 성지 보존정비 종합계획????, 2010

원불교사상연구원 편,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원불교출판사, 2013

윤석산, ????동학·천도교의 어제와 오늘????, 한양대학교출판부, 2012

윤승용, 계룡산 종교촌의 민중신앙, ????계룡산지????, 충청남도, 1994

윤승용, 근대종교문화유산의 현황과 보존방안-개항기 신종교를 중심으로, ????영산원불교대학교·한국역사민속학회 근대 종교문화유산이 보존과 전승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04910

윤승용, 한국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 ????한국종교???? 36, 2013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람????, 대흥기획, 1992

이길구, ????계룡산????, 대문사, 1996

이돈화, ????천도교창건사????, 천도교중앙종리원 1933

이병유, ????동학농민혁명 문화탐방????, 지오마케팅 비틀맵, 2006

이욱, 근대 제천의례를 통해 본 민족정체성 연구, ????국학연구???? 11, 2006

이재헌, 금강대도의 제도화 과정, ????신종교연구???? 31, 2014

이재헌, ????금강대도 종리학 연구론????Ⅱ, 미래문화사, 2010

이현희, 의암 손병희와 3, 1운동, ????동학학보???? 17, 2009

이형권, (동학혁명의 지도자) 정봉준 장군의 고택, ????통일한국???? 10, 1998

이희성, ????5대 정맥 4대강 천하명당 십승지 기행록????, 오성인쇄, 2016

임찬영, 대종교 성지 청파호 연구-역사지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17, 2013

임형진, 은적암과 남원지역의 동학전파, ????동학학보???? 33, 2014

조인철. 원불교 영산성지의 풍수적 의미에 관한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51, 2012

증산도도전편찬위원회, ????증산도 도전????, 대전: 증산도도전편찬위원회, 1992

차선근, 대순진리회 성지의 특징과 의미, ????ASIA宗敎文化硏究????, 창간호, 2009

채길순, 경상북도 지역의 동학활동연구-사적지를 중심으로, ????동학학보???? 27, 2013

천도교중앙총부교서편찬위원회, ????천도교약사????,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2006

최동희, 한국 동학 및 천도교사, ????한국문화사대계Ⅵ????,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70

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충청남도지???? 22, 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2010

탁명환, 鷄龍山 新都安變遷新興宗敎, ????饗宴???? 1, 1984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편, ????한국민족종교총람????, 도서출판 한누리, 1992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편, ????한국민족종교????, 유일문화, 2005

한국신종교학회,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원 편,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2018

한국종교사회연구소 편, ????한국종교연감????, 도서출판 고려한림원, 1993.

한국종교학회,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 1985

허남진, 대순진리회의 성지와 순례의 의미, ????대순사상논총???? 22, 2014

허남진,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과 특징, ????한국종교???? 42, 2017

허태근, ????홍암 나철의 대종교 중광과 조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5

홍범초, ????범증산교사????, 서울 도서출판 한누리, 1988

황선명, 십승지 고(), ????종교와 문화???? 5, 1999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본 연구 대상은 한국의 신종교 성지이며, 연구 범위는 연구 대상에 맞추어 신종교에 한정했다. 본 연구팀이 선정한 신종교 성지는 총 94개 항목이다. 94개 항목에는 특정 종교단체와 연관된 성지가 61개이며, 여러 종교가 공유하는 성지가 18, 십승지 11개 그리고 기타 성지가 3개이다. 신종교 성지 항목의 선정 기준으로는, 다소 중첩되지만, 역사성(천도교, 대종교, 원불교, 수운교, 금강대도), 교세 규모(원불교, 대순진리회), 대외적 인식 정도(통일교, 갱정유도, 증산도, 천부교) 등을 고려했다.

본 연구팀이 신종교 성지 연구를 수행하면서 다룬 내용은 크게 세 부분이다. 첫 번째는 이론적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는 신종교 성지의 개념과 범주 등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성지의 범위 설정, 현황 파악, 성지의 조성 과정과 기준과 맥락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각 종교마다 성지 개념이나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종교별 성지 양상을 파악하고, 그 공통분모를 추출하고 개념상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신종교 성지 개념을 이론적으로 구성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종교 성지의 범위와 현황, 조성과정과 기준과 맥락 등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확정된 종교별 성지를 구체적인 단위로 서술하는 부분이다. 서술 단위는 해당 신종교의 역사와 특성에 대한 개관. 항목별 소재지, 정의, 내용(핵심 상징, 성지조성 경위, 종교문화사적 의미, 성지의 지역문화활용 현황, 참고문헌 등이다. 이런 세부 서술 단위의 설정은 공동연구의 통일성뿐만 아니라 향후 종교 성지 연구와 서술 모델을 구축하는 데에 유용하다.

세 번째는 본 연구에서 주목한 연구내용은 한국 신종교 성지의 보존·관리와 지역문화 활용현황이다. 최근 정부는 근대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존하기 위해 문화재보호법을 개정하여 등록문화재제도를 도입하였으나 한국 신종교 문화유산에 대해서는 확대되지 않고 있다. 이는 근대 종교문화에 대해 제대도 정리하지 못했고, 특히 한국 신종교 성지에 한정했을 때 신종교 성지 중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을 보존해야 하는가에 대한 학계의 논의뿐만 아니라 사회적 합의도 없는 상태이다. 그래서 본 연구팀은 한국 신종교 성지에 대해 그 현황과 보존·관리 실태를 평가하고 신종교 성지가 새로운 문화역사적 시각에서 그 가치에 대해 재평가 되고 계승될 수 있는 보존 방안을 모색했다.

본 연구 결과물은 연구 기반 사전 형태로 출간할 예정이다. 본 연구가 공간적 차원의 신종교연구라는 학문적 요청, 그리고 문화콘텐츠나 종교관광 등과 관련된 국가적사회적 요청에 부합하므로 정부나 지자체에 소재한 종교나 문화콘텐츠 관련자들, 연구자들, 그리고 일반인들이 연구 결과의 예상 독자층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