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8-교육윤리-1
연구과제명
  • 국문 : 윤리교육의 내용 체계화 연구(1)
  • 영문 : -
연구책임자 도성달
공동연구자
  • 유병렬 / 서울교육대학교 / 조교수
  • 김태훈 / 공주교육대학교 / 조교수
  • 추병완 / 춘천교육대학교 / 조교수
연구기간 1998-01-01 ~ 1999-06-14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 윤리교육의 성패 여부는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하는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일과 대상에 따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교육방법에 달려있다. 윤리교육의 내용구성은 기본적으로 윤리학적 토대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행 우리의 도덕 · 윤리교과의 내용체계는 윤리학적 근거와 이론적 바탕 위에서 구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윤리교육 내용의 윤리학적 접근을 위한 이론연구이다. 말하자면 초 · 중 · 고등학교의 도덕 · 윤리 교과정의 전 내용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교육내용의 범위(scope)를 설정하고 이를 학교별, 급별에 따라서 배열(sequence)을 선정하는 작업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 연구배경
   본 연구는 도덕철학적 접근과 발달심리학적 연구를 동시에 요하는 학제적 연구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의 참여와 다년간의 연구를 요한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의 1차년도에는 도덕교육의 윤리학적 접근을 위한 윤리이론적 연구와 현행 도덕 · 윤리교과 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 중에서 몇 가지 덕목을 선정하여 scope와 sequence를 정하는 연구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헌연구

 

○ 연구내용
   -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 윤리학의 성격
      º 도덕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이론적 틀
      º 메타윤리적 요소, 규법윤리적 요소, 사회윤리적 요소
   - 초등학교 도덕교과의 윤리학적 분석과 급별 연계성
   - 중 · 고등학교 윤리교과의 윤리학적 분석과 학교별, 급별 연계성
   - 도덕 · 윤리교과의 내용구성 연계성 사례연구
      º 근면, 질서, 협동
      º 자유, 평등, 정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도덕교육의 윤리학적 원리와 내용

▨ 도덕교육의 덕윤리적 접근

▨ 덕중심 도덕교육의 내용구성 방안(1): 개인생활 영역

▨ 덕중심 도덕교육의 내용구성 방안(2): 사회생활 영역

연구결과

   - 윤리학의 도덕지식론, 도덕인식론, 도덕행위론의 관점에서 도덕교육적 원리와 내용을 정리하고, 도덕교육이 결국 도덕적 지성과 덕성의 통합이 되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하였음. 이러한 기본방향에 따라서 덕교육의 접근 모델이 제시되고 이에 따른 덕 중심 도덕교육의 구성방안을 두 영역에서 제시하였음.

 

   - 1, 도덕교육의 윤리학적 원리와 내용
   - 2, 도덕교육의 덕윤리적 접근과 내용구성의 기본 모형
   - 3, 덕중심 도덕교육의 내용구성 방안: 개인생활 영역
   - 4, 덕중심 도덕교육의 내용구성 방안: 사회생활 영역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