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세계화 시대에 있어서 한국이 맞이하게 될 도전, 기회 및 비젼과 세계속의 통일한국의 위상 등을 현 한국사회가 처한 문제극복과 미래학적 차원에서 논함.
○ 연구배경
• 세계는 냉전의 와해에 따라 얄타 및 GATT로 상징되는 구체제가 자유무역과 세계화(globalization)로 지칭되는 신세계질서로 이행되는 과정에 있음.
• 세계화는 기존의 국가중심적(state-centric) 사고에 입각한 국제화 개념과는 달리 상호의존, 교류 · 협력에 바탕한 지구촌 국가간의 동반자적 경쟁을 전제한 것임.
•이에 따라 기존 군사 · 정치적 고순위정치(high politics)보다는 경제 · 과학 · 기술 · 문화 등 저순위정치(loco poliltics) 면에서의 비중이 높아짐.
• 환경, 인구, 식량 등 지구촌 이슈들의 등장은 국내외 정책의 상호침투현상에 의해 정책면에서 국경개념을 모호하게 하고 있음.
• 한국의 현 개혁, 민주화는 따라서 세계차원의 신질서 개편의 추세속에 상호연계돼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전문가 워크샾
문헌연구
정 · 관 · 학계의 각종 관련정보 활용
○ 연구내용
I. 세계화와 신질서
1. 세계화 현상과 신질서
2. WTO체제와 무역, 기술이전 문제
3. Pax Pacifika(아태시대), 현실성과 이념성
II. 세계화와 한국의 진로
4. 한국의 갈등구조, 쟁점과 과제
5. 세계화시대의 한국 권위구조와 리더쉽
6. 한국 관로주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7. 한국 정치비리의 구조와 생리
8. 한국의 신사회운동, 현황과 전망
III. 통일한국과 신세계
9. 통일방법론의 쟁점과 과제
10. 통일한국의 신외교안보 전략
11. 통일한국의 위상과 비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