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사회민속-2
연구과제명
  • 국문 : 현대 한국문화의 분석
  • 영문 : -
연구책임자 문옥표
공동연구자
  • 이정덕 / 전북대학교 / 교수
  • 황익주 / 강원대학교 / 교수
  • 김은실 / 이화여자대학교 / 교수
  • 송도영 / 서울시립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5-01-01 ~ 1996-06-14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현대 한국인의 생활에 있어 여가와 소비의 중요성이 점점 커져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측면에 대한 구체적 조사연구가 수행된 예가 드물다. 오늘날에 있어서는 생산관계 자체보다는 여가활동이나 소비생활을 통하여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이 창출되고 표현되며 사회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문화과정의 분석은 현대사회의 이해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여가활동과 소비생활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조사연구를 통하여 계층, , 지역 등에 따라 차별성을 보이는 현대 한국문화의 복합적 구조와 변화 양상을 규명해 보는 것은 목적으로 한다.

 

연구배경
   사회민속연구실에서는 1994년도 실세미나로 한국인의 소비문화에 대한 문화이론적 고찰을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실세미나가 조사를 실시하기 어려운 여건인 관계로 주로 외국의 이론들과 개별적으로 실시된 단편적 예비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가설을 세우는 단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이에 세미나로 참여하였던 발표자, 논평자들 사이에 한정된 주제에 대해서나마 실제 조사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계획된 본 연구는 1994년도 사회민속실 실세미나 후속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참여관찰
   2) 심층면접
   3) 설문지 조사
   4) 문헌연구
   기초연구로 주제와 관련된 이론서 및 외국지역의 사례연구들을 검토할 것이며, 실제 조사는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연구법에 치중될 것이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개별 필요성에 따라 부분적인 설문지 조사를 보충할 경우도 있다.

 

연구내용
   이번의 조사연구에서 다루어질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전통 한복의 생산과 소비: 침선장 무형문화재의 사례연구 (문옥표)
   2) 외국문화요소의 수용과 소비의 문화정치학: 청바지의 사례 (이정덕)
   3) 공장노동자들의 여가생활에 관한 연구: 성남지역 노동자들의 사례 (황익주)
   4) 여성의 건강관리와 육체이미지의 소비문화 (김은실)
   5) 노래방: 한 문화산업 전개의 시간과 공간성 (송도영)


   위의 주제들은 전체의 유기적 연관성보다는 조사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각 측면의 분석을 통하여 현대 한국인의 여가생활과 소비문화의 특성이 부분적이나마 규명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현대 한국문화를 이해함에 있어 생산관계보다는 소비의 연구가 중요함을 밝히고, 연구자별로 조사가 가능한 다섯 개의 소주제를 선정하여 개별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가지고 여가활동 및 소비활동을 통하여 어떻게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이 창출되고, 표현되며, 사회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가를 문화인류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참고문헌

1) Barnes R. & Eicher B.E. eds 1991. Dress and Gender : Making and meaningNew York & Oxford : Berg.
2) Finkelstein. J. 1991. The Fashioned SelfCambridge : Polity Press.
3) Shields, R. ed. 1993. Lifestyle Shopping : The Subject of ConsumptionLondon Routeledge.
4) Willis, G. & Midgley, D. eds. 1973. Fashioin MarketingLondon : Allen & Unwin
5) Jackson, B. 1968. Working Class CommunitiesPenguin Books.
6) Ewen, Stuart. 1988. All Consuming ImagesNew York: Basic Books.
7) Enrenreich, John, ed. 1978. Cultural Crisis of Modern Medicine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8) Featherstone, M. 1990. Global Culture :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ModernityLondon : Sage.
9) Burrows, R. & C. Marsh 1992. Consumption and Class : Divisions and ChangeLondon : MacMillian
10) Lunt. P. & S. Livingstone 1992. Mass Consumption and Personal IdentityMadison : Univ of Wisconsin Press.
11) 보들리야르, (1991 [1970]) 소비의 사회이상률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12) 안영로, 1993. “육체: 다듬기, 보이기, 말하기사회평론1993. 6월호 : pp.130-135.
13) 이경자, 1982. “우리의 의생활의 전통양식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논총 82-6 전통적 생활양식의 연구()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