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5-사회민속-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문옥표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5-01-01 ~ 1995-12-15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한국인의 전통생활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가정의례에 접근하여 연구계획의 첫 해인 1994년도에는 관례와 혼례를 분석하였으며, 이어 2차년도인 금년도에는 상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연구배경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연구내용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성재집과 읍혈록이 모두 사대부의 家禮기록이나 성재집의 상례는 가난한 선비의 경우로 의례에서 禮에 어긋나지 않으면서 생략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부분을 상세히 보여준다. 반면 읍혈록 중 특히 母喪의 기록은 尹行恁이 二品이 되어 어머니에게도 貞敬夫人이 받쳐진 뒤라 民家에서는 으뜸가는 상례의 禮를 보여주고 있다. 복식관계, 당대의 음식 등의 면에서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