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어문-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방언지도 작성을 위한 연구 I
  • 영문 : -
연구책임자 송기중
공동연구자
  • 이병근 / 서울대학교 / 교수
  • 이익섭 / 서울대학교 / 교수
  • 전광현 / 단국대학교 / 교수
  • 최명옥 / 서울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개원 이래 본원 어문연구실에서 추진하여 온 전국방언조사연구사업의 제1단계 목표인 한국방언자료집1995년에 완결됨에 따라, 2단계 목표인 한국방언지도작성 사업을 3개년 계획으로 추진한다.
   1차년도에는 1)방언지도 작성을 위한 예비연구, 2)예비연구 결과의 검증, 3)방언지도 시작(試作)을 수행한다.

 

   方言地圖作成方言硏究 事業最終的段階. 方言地圖1) 方言 調査 項目選定 2) 質問紙 作成, 3) 調査員選定訓練, 4) 現地調査, 5) 資料整理 出版의 제 段階完了한 후에, 蒐集 · 整理資料 중에서 6) 代表的 方言地圖選定, 7) 方言地圖 試案 作成, 8) 問題點發見 解決 方案 硏究, 9) 必要的 確認調査 實施, 10) 方言 項目確定 最終 方言地圖 作成段階로 이루어진다.
   以上諸段階에서 1978本院開院同時에 시작된 全國方言調査硏究事業으로 19955단계까지의 過程完了된다. 本 硏究計劃書6단계 이하의 過程推進하기 위한 目的에서 作成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本 課題3 年 計劃으로 推進될 것이다.

 

   1 次年度
   1. 文獻에 의한 硏究
      주로 文獻에 의하여 아래와 같은 分野別 基礎硏究遂行한다.
      1) 方言地圖作成節次
      2) 地圖作成을 위한 語彙選定原則
      3) 語彙選定
      4) 컴퓨터의 利用 可能性 與否
   2. 豫備硏究 結果發表 檢證
      硏究者 協議會 혹은 公開 學術會議를 통하여 基礎硏究 結果發表하고, 論評 등에 의하여 그 妥當性檢證한다.
   3. 方言地圖試作
      방언지도의 일부를 試作하여 問題點發見하고 解決策講究한다.

 

   2 次年度
   1. 方言地圖 作成
      1次年硏究 結果에 의하여 選定 · 確定200-300語彙項에 대한 方言分布圖를 작성한다.
   2. 語彙項別 問題點解決
      어휘항별로 지도를 제작할 때에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現地確認調査 등을 실시한다.


   3 次年度
   1. 確定 方言地圖 作成
      1-2차년 사업에 의하여 확정된 방언지도의 출판을 위한 확정 지도를 작성한다.
   2. 出版
      韓國方言地圖를 출판한다.

 

연구내용
   1. 豫備硏究
      1) 外國方言地圖 등을 參考하여 方言地圖 作成節次方法에 대하여 硏究한다.
      2) 道別로 발행된 韓國方言資料集9권에는 各卷에 동일한 分章(I.語彙, II.文法, III.音韻)과 동일한 標題番號 標題語2040個 語彙項目들이 各項 郡單位로 수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地域別 方言差異確然하게 시현하는 項目들을 選定한다. 選定項目의 수효도 예비연구에서 결정된다.
      3) 방언지도 작성을 手作業으로 수행할 것인가, 컴퓨터로 수행할 것인가 연구하여 결정한다.
   2. 硏究者協議會 혹은 公開學術會議
      예비연구 결과의 適切城檢證하기 위한 硏究者協議會 혹은 公開學術會議開催한다.
   3. 方言地圖 試案 作成 問題點 發見
      確定節次方法에 의하여 方言地圖試案適當量 作成하면서, 必然的으로 발생하는 諸般 問題點들을 발견하고 解決 方案摸索한다.
   4. 方言地圖 作成
      選定된 모든 項目들에 대한 方言地圖作成한다.
   5. 作成方言地圖出版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본 연구는 성격상 최종년인 3차년도에 완성되기 때문에, 금년도 결과로 제출되는 자료는 중간 단계를 시현할 뿐이다.
2) 도별 방언지도 중에는 95년 이전에 시험적으로 작성된 것들도 포함되어 있다.
3) 컴퓨터에 의한 방언지도 작성의 가능성을 연구한 논문(경북대 김덕호)도 고려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