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5-역사-4
연구과제명
  • 국문 : 해외 한국학 진흥방안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성무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한국의 경제발전으로 세계 각국에서 한국학 연구의 열의가 고조되고 있다. 한국이 무한경쟁 속에서 살아 남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한국문화를 세계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세계 각국의 한국학 연구를 적극 지원 · 육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해외에서 한국학 연구를 진흥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가 문제이다. 본 논고에서는 바로 이러한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배경
   본인은 한국학술진흥재단 해외 한국학 심의위원으로서 오랫동안 활동하여 왔으며 1993년부터는 한국국제교류재단 사업자문위원으로서 지금까지 해외 한국학 지원업무를 심의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화 추세에 있는 지금 한국의 입장에서 해외 한국학 지원이 왜 필요하며, 해외 한국학 현황은 어떠하고, 지원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이 무엇인가를 제시하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해외 한국학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어 자료를 수집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고 그 개선방안이 무엇인가도 아울러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그동안 산업협동재단,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사편찬위원회의 해외한국학 지원 사업을 정리해 보고 해외한국학의 현황을 점검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계속되어 온 해외한국학 진흥 사업과 앞으로 미진한 분야를 어떻게 보완 · 강화해 나갈 것인가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연구내용
   해외한국학 진흥을 위해서는 국가적인 관심하에 재정지원이 우선해야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해외한국학 교육을 활성화 해야 한다. 해외한국학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해외한국학 교수 요원의 확보와 해외한국학 교재의 편찬, 한국학 논저의 외국어 번역, 외국어로 된 한국학 저널의 발간, 한국학에 대한 국제학술회의 개최, 한국학 연구자의 교류 등이 활발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연구기관 · 대학 · 언론이 서로 협력하고 효율적으로 역할을 분담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990년도에 들어와 한국은 세계화 정책을 수립하였다. 해외 한국학지원은 그 일환으로서 강화되어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주축이 되어 기금을 늘리고 지원 대상과 범위도 늘려 우선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을 개시하였다. 과거보다 10배가 넘는 돈을 해외에 뿌리다보니 교수직은 많이 생겼는데 수행할 인력이 없어 해외 한국학 교수요원 양성문제가 시급하게 제기되고 있다. 또 가르치는 교과서와 한국학 서적의 영역본도 없어 이부분도 보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국내 국학은 사양길을 걷는데 해외 한국학만 부양하는 것도 큰 결함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새시대에 맞는 새로운 문화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참고문헌

[학술진흥재단 10년사] [국제교류재단 소식]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0년사]
[학술진흥재단 소식] [AKSE News Letter] 및 각종 해외한국학 지원 실적 및 계획서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