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역사-3
연구과제명
  • 국문 : 근대문명과 한국근대사
  • 영문 : -
연구책임자 권희영
공동연구자
  • 이만열 / 숙명여자대학교 / 교수
  • 윤경로 / 한성대학교 / 교수
  • 유병용 / 강원대학교 / 교수
  • 박성수 / 본원 / 교수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은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근대사회를 이루어 나가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다시 한 번 새롭게 정체성을 재정립하여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한국의 근대화 과정의 의미를 역사적 맥락에서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서양 근대문명이 한국 사회에 어떠한 충격과 변화를 주었으며 우리는 어떻게 주체적으로 근대화에 노력하여 왔는지를 점검한다.

   서양문명의 영향으로 이룩된 한국의 근대화과정이 내적으로 어떠한 정신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는가. 이 과정에서 어떻게 민족을 발견하고 우리 사회를 근대화시키게 되었는가를 살핀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기본적으로 문헌연구에 의존하되, 담론의 분석을 중점적으로 행하고 심성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도록 유의한다.

 

연구내용
   개화론의 전개와 그 의미
   서양근대문명과 애국계몽운동
   독립운동과 민족의 발견
   근대화의 심성
   한국근대사의 성격

   한국의 근대화는 서양문명의 충격에 의하여 촉발되었다. 한국은 서양의 우세한 힘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자기 자신을 지키기 위하여서도 서양문명을 통해 배우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서양문명을 배워나가고 거기에 동화해가는 근대화 과정이란 단지 기술적인 사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변화를 동시에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서양문명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는 곧 우리의 심성적 차원에서의 근대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의 변화 속에서 우리는 민족을 발견하고 우리의 사회를 근대사회로 전환시킨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한국의 근대화는 개성의 존중을 우선적 가치로 생각하는 서구의 근대화의 영향하에 시작되었으나 전통적인 가부장적 가치와 충돌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두 심성이 교차하는 가운에 한국은 민족을 발견하게 된다.

참고문헌

이광린, 한국개화사상연구, 일조각, 197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사상사대계, 1990-1993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한국의 근대국가형성과 민족문제, 문학과 지성사, 1986
강재언, 근대한국사상사연구, 한울사, 1983
최창규, 근대한국정치사상사, 일조각, 1972
유길준 전서
윤치호일기
김옥균전집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