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5-철학종교-3
연구과제명
  • 국문 : 실학의 현대적 의미 - 실학과 실용주의 비교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해창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5-02-01 ~ 1996-06-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급변하는 시대가 도래하게 되면 언제나 그 시대적 변화에 따라 무엇으로부터 전환하는 새로운 인식론적 틀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난다. 조선조 후기에 제기된 실학자들의 탐구는 과학, 기술에 대한 열망을 넘어 그 기저에는 사상적 전환의 자세가 기초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사상적 기초를 오늘날의 담론형식에 대한 논의에 비추어 비교연구함으로써 실학의 현대적 의미를 추론하고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실학자들의 언표들을 오늘날의 담론형식에 비추어 비교연구함.

 

연구내용

   조선조 실학을 주로한 철학자들의 새로운 인식방법론에 대한 고찰

   1. 조선후기 실학사상에 관한 연구서들을 비교분석
   2. 현대적 담론형식에 대한 논의검토
   3. 1)2)를 비교하여 전황적 인식방법론을 시도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주지하다시피 다산은 자신의 철학세계를 주희의 주석을 텍스트 삼아서 비판적으로 주석하는 이른바 창조적주석자였다. 반면에 실용주의자들은 전통적으로 고전으로 간주되어온 철학적 권위들에 무관심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상의 기본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몇가지 교차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두 사조 모두 실용성이라는 느슨한 테두리 안에서 모여 있는 학문적 방법이고 개방성을 표방한다. 둘째, 관념론에 대한 반박, 셋째, 존재론적 실체개념의 부정과 아울러 이원론의 거부, 넷째, 영원성 개념의 거부, 다섯째, 과거 현재 미래의 흐름이라는 시간성의 회복, 여섯째, 인간은 세계의 주체, 일곱째, 세계는 미완성이고 인간은 창조적으로 세계를 만들어간다.

참고문헌

조선조 실학사상을 연구한 국내서적들을 비교검토하여 그 이론적 기초를 현대적 담론형식을 통해 서술함.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 정성철
조선후기의 실학사상- 황의동
실학의 정치사상- 김한식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 이성무
다산학 연구- 김상홍 외
조선조 유학사상의 탐구- 정병련 외
원시유교- 김승혜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조병기 외
한국유학논고- 윤사순
한국유학사- 배종훈
한국유학사- 현상윤
한국의 사상- 윤사순 외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