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7-어문-5
연구과제명
  • 국문 : 개화기 일제시기 국어표기법사 연구(IV)
  • 영문 : -
연구책임자 신창순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7-03-01 ~ 1999-04-09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구한말 국문연구소는 세종대의 정음청이래 처음으로 설치된 국가적 언문 문제 연구기관이었으나 일제의 한국 합병에 의하여 폐쇄되었다. 거기서의 연구 결과는 국어표기법 발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사실은 국문연구의정안가운데 주시경이 구상한 새 철자법안이 뒤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으로 꽃피는 것이다. 당시 항간에서의 한글 철자법을 이해하고 이것과 위 의정안의 의견들과를 서로 비교하면서 철자법 사상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배경
   국문연구소의 연구위원들의 보고서 국문연구의정안에 대해 종래 몇몇 고찰이 있으나 본격적인 것은 못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보고서를 면밀히 검토코저 한다. 그런데 위 작업을 위해서는 당연히 당시의 국어표기법 특히 철자법의 실제 상황에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이 과제 ㅡ 개화기 국어철자법의 이해 ㅡ 자체가 작지 않은 연구과제이며, 더욱이 이를 위해서는 또한 근대국어 표기법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근대사회롤 들어선 우리나라의 근대적 문장어 수립의 사회적 의의에 대해서도 고찰이 있어야 하겠다.

 

자료
   1. 개화기의 문헌들(독립신문, 교과서, 기독교 문헌, 간행물, 신소설 등)
   2. 국문연구소 국문연구의정안
   3. 이들에 대한 연구논문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 단독연구.
   ◦ 참고문헌, 자료 등을 조사, 분석하여 논문으로 기술함.

 

연구내용
   I. 서론
   II. 1) 개화기(19세기 말)의 한글 철자법
 
 II. 2) 근대국어 표기법의 이해
   III. 1) 국문연구소 설치의 계기, 내력

   III. 2) 국문연구 의정안의 분석 · 검토, 한글 철자법 사상의 의의 고찰
   IV. 1) 근대적 국어문장어 수립의 시대적 의의

   IV. 2) 이전 시기의 국어문장어 당시의 상황, 앞으로의 지향과 과제
   IV. 3) 서양 선교사, 일본의 문장어 등의 영향과 그 의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원래의 계획대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연구과정에서 성경철자법에 대한 이해가 전제가 되어야 하므로 이를 확대시켜 연구에 전반을 이루었다. 다음 국문연구소의 전말을 세밀히 기술하고 그 연구결과인 국문연구의정안을 면밀히 검토하였으며, 위원중 주시경과 그 뒤로의 표기법사와의 관계규명이 중요하므로 이것으로서 그 앞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결론으로 이끌었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