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학술대회-3
연구과제명
  • 국문 : 세종시대 문화의 현대적 의미(학술대회)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영운
공동연구자
  • 최정호 / 연세대학교 / 교수
  • 김재영 / 전북대학교 / 교수
  • 심희기 / 영남대학교 / 교수
  • 권영훈 / 한양대학교 / 교수
  • 송상용 / 한림대학교 / 교수
  • 조남욱 / 부산대학교 / 교수
  • 홍윤표 / 단국대학교 / 교수
  • 송혜진 / 국립국악원 / 학예연구관
  • 정구복 / 본원 / 교수
  • 외 16명 / - / -
연구기간 1997-07-01 ~ 1997-11-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본원에서는 매년 그해의 학술활동을 총결산하는 의미에서 특정한 주제를 설정하여 인문 · 사회과학 분야를 망라하는 거원적인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금년은 세종대왕 탄신 6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로 그 역사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견지에서, "세종시대 문화의 현대적 의미"라는 대주제 아래 정치 · 법제 · 경제 · 과학기술 및 의약 · 사상 · 어문 · 예악 · 역사의식 등 8개 분야로 대별하여 세종시대의 문화가 21세기를 앞둔 오늘의 시점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당시의 문화전반을 상고하여 다가오는 세기의 민족문화 창조에 있어 바람직한 비젼과 전략을 모색하는 학술대회를 갖고자 함.

 

연구배경
   ▨ 세종시대의 문화에 대한 종래의 학술적 조명작업은 본원을 비롯하여 특히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등 유관기관에 의해서 여러 차례에 걸쳐 체계적으로 수행되어 상당한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있다.
   ▨ 따라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당대의 역사적 사실을 구명하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21세기의 새로운 시대를 내다보는 문제의식에서 문화창조의 비젼과 전략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게 될 것임.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 문헌연구
   ▨ 전문가 집단의 발제 · 논평 · 토론

 

연구내용

   ◆ 기조발표 : 세종시대의 문화와 21세기 한국 최정호(연세대)
   ◆ 1분과 주제발표 및 논평, 토론
      (1) 정치분야·                 발표자: 김재영(전북대)         논평자: 김호성(서울교대), 정윤재(본원)
      (2) 법제분야·                 발표자: 심희기(영남대)         논평자: 이종일(법제연구원), 김창록(부산대)
      (3) 경제분야·              발표자: 권영훈(한양대)         논평자: 유임수(이화여대), 박흥기(본원)
      (4) 과학기술·의약분야 발표자: 송상용(한림대)         논평자: 김영식(서울대), 박성래(외국어대)
   ◆ 2분과 주제발표 및 논평, 토론
      (1) 역사의식분야·      발표자: 정구복(본원)                   논평자: 한영우(서울대), 이성무(본원)
      (2) 사상분야·                발표자: 조남욱(부산대)              논평자: 윤사순(고려대), 한형조(본원)
      (3) 어문분야·             발표자: 홍윤표(단국대)              논평자: 정광(고려대), 신창순(본원)
      (4) 예악분야·             발표자: 송혜진(국립국악원)      논평자: 신대철(강릉대), 김영운(본원)
   * 논평자 이외에 분야별로 3인의 지정 토론자를 두어 각 분야별 토론에 참여케 하고, 전체 학술대회의 총평자 1인을 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기조발표: 세종시대 문화와 21세기의 한국    / 최정호(연세대)
역사분야: 세종조 역사의식의 계승    / 정구복(본원)
사상분야: 세종의 통치이념과 그 현대적 의미    / 조남욱(부산대)
어문분야: 훈민정음의 현대적 의미    / 홍윤표(단국대)
예악분야: 세종조 음악문화를 통해 본 현대국악의 미래    / 송혜진(국립국악원)
정치분야: 세종대왕의 정치 지도력    / 김재영(전북대)
법제분야: 한국적 전통과 시민적 덕성    / 심회기(영남대)
경제분야: 한국경제에 있어서 세종시대 문화의 의미    / 권영훈(한양대)
과학분야: 오늘에 되새겨보는 세종대 과학기술    / 송상용(한림대)

연구결과

기조발표 논문 1
분야별 발표논문 총 8
              논평            16
              토론            24
총평 1

 

   조선왕조는 전형적인 유교사회였다고들 하나 유교적 원리에 충실했고 유교적 이상에 근접했던 것은 世宗時代였다. 그런 점에서 세종시대는 조선시대와 유교적 전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첫째로 世宗 이전의 정치는 士族大衆이 아니라 과 소수의 勳戚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世宗 때는 사족대중이 널리 등용되었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세종시대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주로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한글 창제, 과학기술의 발달, 영토 확장 등에 초점을 두었었지만 실제 世宗時代의 특징은 종전과 같은 儒敎中國化가 아니라 유교의 土着化를 위한 노력이 경주된 시기였다는 점에서 21세기를 앞둔 우리에게 귀감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참고문헌

- 세종조 문화의 재인식(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 세종조 문화연구(I) (박영사, 1982)
- 세종조 문화연구(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21세기 문화 · 과학을 위한 세종대왕 재조명(세종대황기념사업회, 1987)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