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기획과제-7
연구과제명
  • 국문 : 21세기 문명사적 도전과 한국의 선택 : 국가경영의 비전과 과제를 중심으로 〈기획과제〉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광식
공동연구자
  • 이홍구 / 신한국당 / 고문
  • 이상우 / 서강대학교 / 교수
  • 구범모 / 본원 / 교수
  • 이어령 / 이화여자대학교 / 석학교수
연구기간 1997-09-01 ~ 1997-11-3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 21세기의 도래를 목전에 두고 있는 세기적 전환점에서 새로운 문명사적 조류의 추세와 더불어 한국이 처하게 될 국제환경적 조건의 성격에 대한 면밀한 진단을 바탕으로, 국가 경영 철학과 리더십, 문화양식과 국민적 자세 등을 조명하여 국가경영적 차원의 대비책을 체계적으로 강구
   차기 대통령 선거에서 원용될 정책공약 개발과 국민적 정책선안의 제고에 기여

 

연구배경
   금년 12월에 실시되는 대통령 선거는 21세기 한국의 장래를 열어나갈 국가지도자를 선출하는 매우 중요한 국가적 행사이거니와, 이러한 중요한 행사에 임하는 선거 캠페인이 21세기의 비젼을 제시하는 정책경쟁 위주로 전개되어야 하고 또 국민적 관심도 이러한 방향에서 경주되어 세기적 의미의 국가적 행사가 성공적으로 치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국민적 과제임.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기 위한 정책 담론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연구임.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및 전문가 워크샵
   정책담론에 회부, 담론결과의 채록 발간.

 

연구내용
   1: 세부 주제별 발제 연구
      (1) 21세기 국가경영의 비젼과 과제 (이홍구)
      (2) 21세기 한국의 시대적 및 환경적 여건 전망 (이상우)
      (3) 21세기를 내다보는 국가경영철학 및 리더십 (구범모)
      (4) 21세기를 내다보는 문화양식과 국민적 자세 (이어령)
   2: 담론 형식의 전문가 워크샵 연구
      (워크샵 참가자: 김중위, 조순승, 김현욱, 김경원, 김형효, 양동안, 박흥기, 강광식)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전문가 발제 연구
   (1) 21세기 민족공동체의 비전과 과제
   (2) 21세기 한국의 시대적 환경
   (3) 21세기 국가경영철학과 리더십
   (4) 21세기를 내다보는 문화양식과 국민적 자세 : 한국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
2: 담론형식의 전문가 워크 · 샵 연구

참고문헌

- 구범모 외, 세계화와 민족문화의 발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 Samuel P. Huntingtom, “The Clash of Civilization“, Foreign Affairs, (Summer, 1993)
- Anthony Giddens,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Univ. Press, 1990)
- 문정인, 세계화의 위협구조와 국가전략, 계간 사상(1995, )
- 21세기 국가발전연구원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oward the 21st Century and Choices for Korea. (세미나 주제논문집, 1997. 7. 4-5)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