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한국음악사 연구에 기본 사료로 활용되는 고악보 가운데 30%를 차지하고 있는 양금 고악보에 관한 연구는 거문고 고악보에 비하여 학술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의 하나는 양금 악보가 주로 조선 후기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또 하나의 이유는 양금 고악보의 기보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던 때문으로도 보인다. 그간 학계에서 고악보를 해독하는 방법은 현행 악곡과의 비교를 통하여 음고와 시가를 해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각 시기별로 그 시대의 음악이 지니는 양식상의 특징은 그 악보가 담고 있는 음악적인 정보를 정확하게 해석했을 때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각 악보의 時價 해석에 관한 논의가 활발한 편이다.
삼조표는 양금악보에 주로 사용되었지만, 본 연구자에 의하여 거문고 고악보의 삼조표 연구가 먼저 발표되었다(1992). 자료의 양적인 측면이나 중요성으로 비추어 양금 고악보의 삼조표 연구는 학계에 시급한 과제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양금 고악보에 기보된 삼조표의 해석을 위한 연구가 될 것이다. 즉, 삼조표의 각 부호가 나타내는 시가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1. 자료 수집
2. 자료의 정리 및 해독
3. 비교, 분석 → 삼조표의 해석
4. 거문고 삼조표와의 비교
5. 외국의 유사한 기보방식과의 비교
6. 한국의 삼조표(양금 및 거문고) 해석.
○ 연구내용
『일사금보』, 『서금가곡』,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양금보』, 『장금신조』, 『서금』, 『서금보』, 『양금주책』, 『영산회상』, 『조선음율보』 등의 악곡을 해독하여 각 악보에 표기된 삼조표의 시가 표기 방법을 팡가하고, 선행 연구된 거문고의 삼조표와 비교 검토함. 나아가 19세기 후반에 일본 · 중국 등 음악에 보이는 루소式 숫자보와의 관계도 고찰함.
|
연구결과 |
당초 원고 250매 정도를 예정하였으나, 원고의 많은 부분을 도표로 정리 · 처리하여 본문의 분량을 줄였음. 따라서 본문 120매 정도와 〈표〉 9개 및 악보 · 그림이 포함되었음.
원본 자료를 오선으로 해독한 오선악보(A4) 16매, 원본 자료 8매가 포함됨.
① 삼조표는 양금고악보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시가 기보 수단의 하나이다.
② 삼조표는 시가기보법의 하나로 장단을 달리하는 악곡에 따라 구체적인 시가의 해석방법이 달라지기도 하다.
③ 『일사금보』, 『서금보』, 『이보형 소장 양금보』의 삼조표는 비교적 시가표기에 일관성이 있으나, 『김동욱 소장 서금』, 『장금신보』, 『예약비고』의 삼조표는 시가표기에 일관성이 적다. 즉 삼조표는 그 사용 초기에는 비교적 정확한 시가 표기를 하고 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비망(備忘)의 기능으로 사용된 듯하다.
④ 양금 고악보에 사용된 삼조표와 거문고 고악보에 사용된 삼조표는 대체로 그 기능이 같다.
⑤ 5소박 또는 2소박으로 기보된 고악보의 〈타령〉도 현해오가 같이 3소박 4박자 한 장단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⑥ 『유예지』 · 『구라철사금자보』의 •-•표는 ‘채굴림’ 주법으로 보기 어렵고, 세부적인 리듬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일 것으로 추정된다.
|
참고문헌 |
〈관련 논문〉
김영운, “한국의 고악보 현황”, 『문화예술』(서울: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110호(제14권 2호) 92-120쪽.
김영운, “한국전통음악의 기보법 연구(1) ㅡ분류법과 음고기보법을 중심으로ㅡ”, 『한국전통음악논구』 (서울: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171-228쪽.
김영운, “양금 고악보의 기보법에 관한 연구 ㅡ협율대성 양금보의 시가 기보법을 중심으로ㅡ”, 『한국음악연구』(1986), 제15.16집 합병호, 67-92쪽.
김영운, “삼조표연구 ㅡ거문고 고악보의 삼조표를 중심으로ㅡ”, 『국악학논총』(국악고동창회, 1992) pp.59-102
김우진, “고악보의 시가 해독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연구』(서울:한국국악학회, 1995) 제23집, 260-312
〈원전자료〉
『일사금보』,
『서금가곡』,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양금보』,
『장금신조』,
『서금』,
『서금보』,
『양금주책』,
『영산회상』,
『조선음율보』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