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1. 작품 조사 : 하바드대학교 연경도서관 소장 한국고전소설의 목록을 작성한다.
2. 총체적 조망 : 이들 작품이 갖는 의미 및 가치를 살펴 본다.
3. 개별 작품 검토 : 개별 작품과 이본에 대해 살펴 본다.
○ 연구내용
1. 연구 내용
(1) 하바드대학교 연경도서관본 한국고전소설작품에 대한 총체적인 조감을 통해, 그 의의 및 가치를 살펴 본다.
(2) 개별 작품에 대해 검토한다.
(3) 이본에 대해 언급하고, 필요한 경우 대비 검토한다.
2. 가설
(1)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거나 희귀한 작품도 있어, 이들에 대한 검토는 곧 한국고전소설자료의 확충에 기여한다.
(2) 개별 작품에 대한 검토로 학문적 관심을 유도한다.
(3) 해외에 산재한 우리 문화 유산에 대한 관심을 제고한다.
3. 역할 분담
(1) 40여종의 작품을 4인이 1년에 다섯 작품 정도를 맡아 검토한다.
(2) 송성욱은 자료의 전달 및 보존을 함께 맡아 한다.
4. 소장 고전소설 목록
금산사창업연록(1권 1책, 이하 앞의 글자는 권 수, 뒤의 글자는 책 수를 나타냄), 김원전(1/1), 김윤전(6/6), 남정기(2/2), 남정기(1/1), 목충호전(1/1), 민시영전(1/1), 박부인전(1/1), 박씨전(1/1), 朴氏傳(1/1), 별춘향전(1/1), 별주부전(1/1), 소대성전(1/1), 송부인전(1/1), 숙향전(4/4), 심청전(1/1), 옥단춘전(1/1), 옥란기연(7/7), 월봉기(1/1), 유생전(1/1), 유소저전(1/1), 윤지경전(1/1), 이대봉전(1/1), 이진사전(1/1), 임경업전(1/1), 장경전(1/1), 정두경전(1/1), 정을선전(2/2), 정을선전(1/1), 조웅전(2/2), 중산망월전(1/1), 진대방전(1/1), 진대방전(1/1), 창란호연(10/10), 화문효행록 下(2/2), 화산중봉기(1/1), 화진전(2/2), 흥보전(1/1), 흥무왕삼한전(구활자 77장본).
- 도합 35종(이본 5종 포함시 40종) 65책 65권(흥무왕삼한전을 1권 1책으로 보았음).
|
연구결과 |
먼저 이상택은 하바드 대학교 연경 도서관 소장본 한국고전소설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통하여 이들 자료의 기본적인 서지 사항 및 의미를 밝힘으로써, 이들 지료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이어 다른 연구자들이 처음에 약속한 체제를 거의 수용하여 개별 작품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자들이 분석한 결과 가운데 하나씩만 요약 제시하겠다.
박희병은 〈사씨남정기〉 분석에서, 여러 한문본을 비교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그 한역 과정에 최소한 두 가지의 한문 무본이 있었을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연경 도서관 소장본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였다.
송성욱은 〈진대방전〉 분석에서, 다양한 이본들을 두루 검토하면서 연경 도서관 소장본의 가치를 찾아 보았으며, 작품 분석을 통하여 이 작품이 보다 소설적인 구성에 힘을 기울인 흔적인 보인다는 점을 밝혔다.
임치균은 〈유생전〉 분석에서, 이 자료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없었던 자료임을 강조하고, 나아가 이 작품이 〈유문성전〉과 관련이 있으나, 현존하는 자료가 본래의 모습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작품 분석에서는 〈유생전〉이 혼사 장애 주지를 중심으로 전개되면서 전체적으로 설화적이며 전기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연구자들이 행한 다른 자료에 대한 분석도 대체로 이러한 체제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밝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