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역사-4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조의 고문서에 대한 기초연구(1) - 조선조 호남지역 생활사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구복
공동연구자
  • 이해준 / 공주대학교 / 교수
  • 이영훈 / 성균관대학교 / 교수
  • 김현영 / 국사편찬위원회 / 교육연구사
  • 박병호 / 본원 / 객원교수
연구기간 1997-03-01 ~ 1997-12-3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본 연구원에서는 귀중한 고문서를 소장자 중심으로 영인하여 고문서집성을 출판하고 있다. 이에 대한 기초적 자료연구를 하여야 이 자료가 학계에 널리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고문서의 연구는 지역적으로나 내용면에서 구체적 문제로서 한국사의 아직 밝혀지지 않은 공백을 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문서학적, 역사적 사회사적 경제사적인 연구를 포함할 것이며 본원에서 발간한 자료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고문서를 통하여 양반가문의 생활사를 체계적으로 재구성하여 고문서자료의 실용적 연구형식을 개발하고자 한다.
   1997년도의 연구는 5개년 연구계획의 1차연도로 1983년에 출간된 부안김씨고문서, 1987년에 출간된 해남윤씨편, 1995에 출간된 영암의 남평문씨고문서(고문서집성(21, 22))1996년에 출간된 영광의 영월신씨고문서(고문서집성27~28)가 다루어질 것이다.
   영인본자료의 판독도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실린 초서 내지는 반초서로 된 내용의 판독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원본의 직접 조사도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배경
   본원에서는 1993년부터 교육부의 특별지원하에 전국의 고문서를 수집하여 정리, 촬영하고 이를 영인본으로 출간하는 사업이 진행 중으로 귀중한 많은 고문서가 출간되었다. 이들 자료는 영인본이기 때문에 개별문서를 연구자가 참고하기에는 대단히 좋지만 문서간의 연관관계나 그 고문서가 가지고 있는 총체적 성격, 그리고 그 고문서가 말해주는 역사적 상황이나 고문서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자료의 발간으로 이제 시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원에서 이런 고문서의 기초적 연구는 광산김씨의 자료를 이용하여 본연구자와 이영훈 이수건 셋이 한 번 시도한 적이 있다. 그 결과는 한국사학910집에 이미 발표되었으나 고문서의 이용방법론이 미숙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문서 연구의 방법론 개발의 의미도 있다.

 

자료
   본 연구에서 활용될 자료는 부안김씨고문서의 마이크로필름화된 자료와 판독된 자료(인쇄본), 해남윤씨의 마이크로필름자료와 판독된 자료, 1995년에 출간된 영암의 남평문씨고문서(고문서집성(21, 22))1996년에 출간된 영광의 영월신씨고문서(고문서집성27-28)이며 이와 관련된 족보류와 문집자료가 보완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자료가 원본 그대로 영인된 것은 일반학자가 이를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고 인쇄본은 판독에 있어서 허다한 오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고문서학적 방법, 문헌실증적인 방법, 인문사회과학적 방법 이외에 현장조사의 방법이 가해질 것이며 원본의 조사를 위하여 그리고 토지매매 등에 나오는 자연촌의 위치확인, 생활공간의 연구 등을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현지출장을 할 것이다. 현장조사는 1주일 정도의 출장조사가 4회 이상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연구이다. 그러나 같은 시기의 다른 지역과의 비교 연구방법도 병용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고문서 이용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의 전형을 개발한다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연구를 통하여 연구자 상호간에 원자료에 대한 철저한 기초연구를 시도할 것이다.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각 연구자의 연구제목은 다음과 같다.

   - 정구복: 조선조 호남지역 고문서의 성격
   - 이영훈: 조선조 호남지역 경제관련 고문서
   - 이해준: 조선조 호남지역 사회관련 고문서
   - 김현영: 조선조 호남지역 문화관련 고문서
   - 박병호: 조선조 호남지역 법률관련 고문서

 

   본 연구에는 다음의 사항이 포함될 것이다.
   1. 원문의 판독, 고문서학적인 고찰
   2. 가문의 구성과 인간의 교류관계 및 사회활동
   3. 농촌경제의 구조와 실상 및 변화
   4. 향촌의 운영방식과 운영조직에 관한 연구
   5. 향촌민과 관과의 관계
   6. 그들의 의식구조(예속, 가치관 등)

 

   가설: 조선조 호남지역은 경상도나 충청도지역과는 큰 범위에서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지만 지역적 특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성리학의 시대로 이해되고 있으나 사회저변에는 전통적인 관습이 강하게 깔려 있고 사림을 중심으로 향촌사회에서는 17세기 이후에야 성리학적 이데올로기가 정착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인구나 경제도 조선후기에 점진적으로 발전하였다고 생각한다. 토지에서의 단위 소출량의 증가함은 경작방법의 발전과 품종개량을 통하여 부단히 발전하여 왔다고 여겨진다.
   또한 지방 양반(사림)들은 계의 조직을 통하여 친목을 돈독히 하고 공동체의 유지를 위하여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그들의 세계관 윤리관은 아직 개방적이 아니라 폐쇄적인 경향이 있지만 중앙과 지방의 교류를 통하여 부단히 발전하면서도 전통의 묵수라는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였다. 윤리관은 씨족적인 유대관계가 중시되면서 혈연적 지연적 관계가 중시된 점에서도 중세 말기의 현상을 볼 수 있다. 지역공동체로서 노비나 상민과의 갈등은 그들이 법적으로 제기한 산송의 문제에서 잘 보여지고 있다. 조선 후기의 지방행정의 모습은 조선초기의 중앙주도적 성향에서 벗어나 지방민의 의사를 존중하여 절충하는 성향으로 진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는 기왕에 출간된 부안김씨고문서와 해남윤씨고문서의 마이크로필름을 복사하고 현지답사를 여러 차례 하여야 할 것이므로 1명의 조교와 현지조사비가 추가되어야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조선조 호남지역 고문서의 성격
         ············· 정구복
1. 머리말
2. 부안김씨 가문의 거주지
3. 우반동의 인문환경
4. 고문서를 통해 본 한 양반 가문의 생활 모습
5. 맺음말
. 해남 연동마을의 역사와 해남윤씨


조선조 호남지역 경제관련 고문서
         ············· 이영훈
(* 판독 불가)


조선조 호남지역 사회관련 고문서
         ············· 이해준
1. 머리말
2. 촌락 관련 자료의 유형
3. 고문서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기 촌락 문화
   1) 입촌 과정과 경제 기반
   2) 촌락의 조직
   3) 촌락의 부세 운영
   4) 촌락의 생활문화
4. 맺음말


조선조 호남지역 문화관련 고문서 
         ············· 김현영
1. 머리말
2. 제사의례의 변화를 통해 본 가족과 친족
3. 가훈, 분재기에 나타난 가족과 친족
4. 동족조직문서ㅡ족계류ㅡ를 통해 본 친족 결합의 양상
5. 맺음말
부록: 호남지방 고문서의 가족 및 친족 관련 자료 목록


조선조 호남지역 법률관련 고문서
         
············· 박병호
I. 硏究範圍方法
II. 私的 物貨去來 生活文書
III. 權利保全文書
IV. 所志를 통한 紛爭類型分析
V. 扶安金氏家孝烈褒揚
VI. 結語
VII. 寧越辛氏 所志草書題辞 正書

연구결과

   문중고문서 자료를 지금까지는 개별문서로 이해하여 온 것을 문중의 세거지역, 그 촌락의 형성시기, 그 촌락의 역사 등을 규명함으로써 공간적인 이해 위에 다른 문서와의 관련성을 찾아 해석하였고, 그 문중의 통혼권, 당색, 재산운영의 방식, 가훈 등을 추적하고 경제, 사회, 문화, 법률 관련 문서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병행되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읍지
족보
고문서연구 1-8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간 1981.
조선시대고문서국립전주박물관
고문서자료집광주민속박물관 1995.
이수건 영남의 사림파의 형성1979.
이수건 영남 사림파의 연구1995.
기 타: 고문서관련논문 목록 생략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세부과제2, 세부과제3, 세부과제4, 세부과제5, )으로 구성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조선조 호남지역 고문서의 성격 ㅡ부안김씨 000017을 중심으로ㅡ        / 정구복

 

   부안김씨 김석필 가문의 당색은 노론이며 세거지는 7차례나 이동하여 마침내 부안 우반동에 정착하였고, 결혼은 지역의 한미한 가문과 통혼하였다. 재산 상속은 남자 위주로 함으로써 300년간의 세거 기반을 확보하게 된 과정을 소상히 밝혔으며, 생활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는 자료를 주석 번역하여 해설하고, 정서본의 오탈자를 원문과 일일이 대조하여 바로 잡았음.

세부과제2

조선조 호남지역 경제관련 고문서        / 이영훈

 

   여타 지방에 비해 호남고문서에서 근대 경제와 연결되는 경제의 장기변동, 중기변동의 추세를 발견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米價1860년대를 기점으로 급상승하는 단절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토지 성장성도 1860년대 이후 하락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보이는데,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좀더 엄격한 자료의 고찰이 요구됨.

세부과제3

조선조 호남지역 사회관련 고문서 ㅡ촌락 관련 고문서를 중심으로ㅡ        / 이해준

 

   촌락 관련 자료의 유형을 제시하고 각 문중의 경제기반, 촌락의 조직, 촌락의 부세 운영, 촌락의 생활 문화 등을 구체적으로 고문서를 통하여 밝혔다.

세부과제4

조선조 호남지역 문화관련 고문서 ㅡ호남지방 고문서를 통해 본 가족과 친족ㅡ        / 김현영

 

   4개 가문의 자료의 성격은 그들의 경제력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가문에서 제례와 가계 계승의식이 문중 중심적으로 바뀌어 가고 있었다. 그것은 소농 경제의 발달과 대응하는 것으로 종가의 강화와 동족조직의 발달이 있었고 이에 따른 친족간의 결속과 대립의 양상들이 나타났다.

세부과제5

조선조 호남지역 법률관련 고문서        / 박병호

 

   호남지역 고문서로 기존에 출판된 4개 가문의 고문서 6책을 모두 섭렵하고 법률 관계 문서를 문서 종류별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조선조 호남지역의 법률 생활의 특성과 일반성을 부각시키려 하였다.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