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역사-2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려시대 연구(1)
  • 영문 : -
연구책임자 허흥식
공동연구자
  • 박종기 / 국민대학교 / 교수
  • 정병삼 / 숙명여자대학교 / 교수
  • 채상식 / 부산대학교 / 교수
  • 허성도 / 서울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7-01-01 ~ 1998-06-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한국사에서 고려시대에 대한 首都都巿構造都巿計劃, 經濟運送, 祖上崇拜寺院, 創作活動, 文字生活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한다. 이 작업에 소용되는 자료는 사서는 물론, 문집, 고문서와 금석문을 포함하여 유적과 사진 또는 평면도 등도 이용된다.

 

연구배경
   지금까지 고려시대에 관한 연구는 정치사를 중심으로 사건과 제도, 및 세력에 대해서 밀집된 연구가 추진되었으나 이를 벗어나 수도의 건물 배치나 금석문의 譯註와 문자생활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시킨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고려시대사에 관한 위의 다섯 가지 주제를 다음과 같은 제목으로 분담하여 연구를 추진하고 이를 모아서 단행본으로 간행한다.

 

   허흥식 : 陵墓寺院과의 관계
   정병삼 : 開城都巿 計劃建物 配置
    허성도 : 高麗時代僻字使用
    박종기 : 經濟運送
    채상식 : 創作活動文集刊行

 

연구내용
   고려시대의 연구에서 미진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진척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시킨다.
   1. 高麗高僧碑 譯註課題方向
   2. 종교시설과 陵墓와의 관계
   3. 高麗墓誌銘 譯註現況問題點
   4. 史書와 문집, 금석문 등에 나타난 漢字使用上僻字問題
   5. 崔瀣文集著述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高麗高僧碑 譯註課題方向
高麗墓誌銘 譯註現況問題點
高麗時代僻字使用電算處理
崔瀣文集著述
陵墓寺院과의 關係

연구결과

   고려의 대표적 유적인 왕릉과 왕실사원과의 관계, 묘지와 묘비의 연주작업의 실예와 현황, 최해문집저술과 졸고천백에 대한 연구, 고려사의 한자사용빈도와 벽자의 전산화를 위한 기초조사 등 고려시대 연구와 전산화를 위한 기초작업을 수행하였음.

참고문헌

金富軾, 〈〈三國史記〉〉
一然, 〈〈三國遺事〉〉
鄭麟趾 等, 〈〈高麗史〉〉
金宗瑞 等, 〈〈高麗史節要〉〉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成均館大 大東文化硏究院 編 〈〈高麗名賢集〉〉 1~5
徐居正 編 〈〈東文選〉〉
鄭道傳, 〈〈三峯集〉〉
權近, 〈〈陽村集〉〉
李荇 等, 〈〈新增東國輿地勝覽〉〉
朝鮮總督府 編, 〈〈朝鮮金石總覽〉〉
李蘭暎 編, 〈〈韓國金石文追補〉〉 (1968, 亞細亞文化社)
黃壽永 編, 〈〈韓國金石遺文〉〉 (1976, 一志社)
許興植 編, 〈〈韓國金石全文〉〉 (1984, 亞細亞文化社)
劉燕庭 編, 〈〈海東金石苑〉〉 (1976, 亞細亞文化社)
金龍善 編, 〈〈高麗墓地銘集成〉〉
震檀學會(李丙燾), 1970 〈〈한국사〉〉 中世乙酉文化社
金庠基, 1985 〈〈高麗時代史(개정판)〉〉 서울대 出版部
朴龍雲, 1987 〈〈高麗時代史〉〉 一志社
국사편찬위원회, 1974 〈〈한국사〉〉 4~8
한길사, 1994 〈〈한국사〉〉 5, 6
李相佰, 1947 〈〈朝鮮文化硏究論攷〉〉 乙酉文化社
李丙燾, 1948 〈〈高麗時代硏究〉〉 乙酉文化社
金庠基, 1948 〈〈東方文化交涉史論攷〉〉 乙酉文化社
李相佰, 1949 〈〈李朝建國硏究〉〉 乙酉文化社
김석형, 1957 〈〈조선봉건시대 농민의 계급구성〉〉 사회과학연구원
박시형, 1960 〈〈조선토지제도사〉〉 /하 사회과학연구원
李光麟, 1961 〈〈李朝水利史硏究〉〉
李基白, 1968 〈〈高麗兵制史硏究〉〉 一潮閣
邊太燮, 1971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旗田魏, 1972 〈〈朝鮮中世社會史硏究〉〉 法政大學 出版部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