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7-철학종교-3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상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7-01-01 ~ 1997-12-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 연구배경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연구내용
다음의 다섯 개 주제로 나누어 연구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1. 한국 장로교에 대한 역사적, 신학적 조망
2. 한국 감리교의 역사와 그 특성
3. 성결 교단의 역사적, 신학적 정체성과 새로운 가능성의 모색
4. 침례교의 특징과 전개
|
||
연구결과 | 한국 개신교 中 주요 교파로 사료되는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그리고 오순절교에 대한 역사적, 사회학적, 신학 · 종교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
||
참고문헌 |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3 |
세부과제별 요약 | |
---|---|
세부과제1 |
▨ 한국 장로교에 대한 역사적, 신학적 조망 / 이상훈
한국의 장로교는 선교 초기 이래 한국사회의 제반영역에서 그 활동성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史(*판독미흡)를 통해 오늘날 주요 교단으로 성장하고 있다.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한국 장로교회는 그러나 안팎으로 많은 도전과 시련에 봉착하고 있다. 이러한 도전은 한국 장로교회가 새로운 성서적, 신학적 파라다임을 구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국 장로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서 오늘의 상황 진단이 먼저 정확히 내려져야 한다. 한국 장로교회는 한국 기독교의 구심점으로 계속 남아, 순기능을 발휘해야 한다. |
세부과제2 |
▨ 한국 감리교의 역사와 그 특성 / 이진구
본 연구는 한국 감리교의 성격을 개관하기 위해 역사적 方法과 구조적 이해를 위한 사회분석적 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감리교의 기초가 되는 웨슬레 신학의 개요와 감리교 의례 및 조직을 개관하고 감리교의 발생 및 전파 경로에 따라 영국과 미국의 감리교 역사 및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감리교의 역사를 개관하고 한국 감리교의 성격을 교리, 의례, 조직의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감리교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
세부과제3 |
▨ 성결 교단의 역사적, 신학적 정체성과 새로운 가능성의 모색 / 조태연
본 연구의 수행은 역사적, 신학적, 성서학적 차언에서 사중복음의 성결교 신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지난 90년 동안 성결교회는 언제나 보수적, 수구적, 배타적 신학을 추구해왔다. 그러나 미래 시대의 선교와 관련하여 성결 교단은 진보적, 발전적, 포용적 신학을 추구하되 성결교회의 전통과 함께 얼마나 성서적 · 역사적 정당성을 확보하느냐?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과제에 대한 신학적 응답을 추구하고 있다. |
세부과제4 |
▨ 침례교의 특징과 그 전개 / 강돈구
함께 그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살펴 개신교를 포함한 기독교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세부과제5 |
▨ 오순절교의 특징과 전개 / 강돈구
본 연구에서는 소위 ‘고전적 오순절주의’ 계통의 교단을 주로 그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본고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처음에는 오순절교의 교리적 측면과 의례 및 조직적 측면을 중심으로 오순절교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피고, 이어서 오순절교의 기원과 세계사적 전개를 간략히 살피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오순절교를 광복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