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철학종교-2
연구과제명
  • 국문 : 形而上에 대한 동서양의 철학적 접근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해창
공동연구자
  • 이기상 / 외국어대학교 / 교수
  • 김성진 / 한림대학교 / 교수
  • 이종철 / 본원 / 조교수
  • 한형조 / 본원 / 조교수
연구기간 1997-01-01 ~ 1998-05-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인간은 현실 너머에 뿌리를 둔, 형이상학적 존재이다. 그렇지만 그 꿈의 구도와 문법은 서로 달랐다. 세속과 현실을 배타적으로 대표하는 과학이 초월적 지평을 덮기 이전, 형이상학은 동서양 공히 일상적 현실이었다. 이 기획은 인간성의 한 본질적 지향인 동서의 형이상학적 사유를 대비 검토함으로써 미래 인간학의 구축에 이바지하려 한다.

 

연구배경
   그리이스의 합리성의 우세에도 불구하고, 플라톤의 종교적 형이상학적 기조는 중세 신학과 융합되어 서구 정신사의 초석을 이루고 있다. 또 동양은 유불도 공히 보이는 세계 너머의 질서와 신비를 추구해 왔다. 기술과 산업의 발달은 합리적 세계에의 신뢰와 더불어 보이지 않는 세계, 인간이 닿을 수 없는 세계에 대한 외경을 더 깊이 절망적으로 인지시키고 있다. 후기 산업을 지향하는 지금, 신화와 종교, 형이상학의 복합체인 초월적 공간에 대한 정당한 인식이 필요하고, 그것을 미래 인간학의 유용한 자산으로 검토해야 할 단계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각자가 맡은 분야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를 진척시켜 개요와 보고서를 작성한다. 너무 협소한 분야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을 지양하고 문명사적 시야에서 접근해주기를 주문한다. 그래야만 동서의 만남과 융합의 시대에 의미있는 지평을 기약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접근방식과 연구방법은 각자에 맡기고 1차 토론회를 거쳐 성과가 수렴되도록 노력한다. 그런 다음 2차 보고회에서 각자의 성과를 토론하고 비판하며 종합하여 최종 보고서를 낸다.

 

연구내용
   방법적으로 서양철학에서의 형이상학을 독일 관념론과 근대 언어철학을 통해 검토한다. 그리이스의 사유가 플라톤의 이데아적 실재론을 통해 서구 신학에 접목되고, 그 비판적 포용이 독일관념론으로 나타났다. 경험을 통한 실증을 중시하는 영미의 전통이 과학을 이끌었다면 신학을 바탕으로 한 이성과 정신의 사유가 독일의 관념론을 특징지우고 있다. 칸트의 물자체와 헤겔의 절대정신이나 마르크스의 역사적 필연은 서구의 형이상학적 표현의 결정이라 볼 수 있다. 그것이 철학과 사회과학에 미친 영향 또한 지대하고 결정적이었지만 우리는 지금 의식적으로 그같은 철학적 사유를 관념론 즉 비현실적 공상쯤으로 치부하고 있다. 합리적 도구적 이성의 창궐이 형이상학적 전통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서구 정신사의 한 지평을 형이상학적 가능성이라는 거시적 잣대 위에서 검토해 보려 한다. 그래서 한편에서는 독일 관념론을, 한편에서는 그에 대항하고 있는 근대 언어철학과 실용주의적 전통을 맞세운다.
   또 동양의 경우, 세 주류인 도교와 유교 불교의 형이상학적 전통의 독자적 교설과 그 착종 종합을 검토한다. 유교의 형이상학은 주대의 원시 신학을 인문화시키는 과정에서, 그리고 과도한 사회정치적 질서에 대한 관심으로 하여 잊혀졌다가, 도교와 불교의 득세와 지배와 더불어 자각되고 강화되기 시작한다. 도교는 우주적 일자의 통일성과 포괄성으로 하여, 또 그 자연주의적이라는 이름으로 하여 그 심오한 형이상학적 성격이 간과되어 왔다. 그러나 도가는 동적 자연, 복삽적 자연의 신비에 대한 합일에 대한 이상과 그 외경이라는 점에서 형이상학을 본질로 하고 있다. 불교는 본시 인도유러피안 전통의 인식론과 형이상학을 본질적 속성으로 하고 있다. 세속과 열반, 성과 속의 이분법의 강조가 불교를 통투하고 있고, 초월적 세계에 대한 묘사가 불교 전적을 장엄(莊嚴)하고 있다. 화엄경은 형이상학적 법계의 세계를 문학적으로 그려낸 서사시이다.
   이들 도교와 불교의 형이상학에 맞서 유교 자체의 새로운 체계 정비가 신유학이다. 주희가 세운 형이상학은 理氣로 정식화되었고 이것이 중국과 한국의 지배적 패러다임으로 정착된다. 이 세계의 의미와 그 미래적 전망을 동시에 짚어봄으로써 인간과 세계의 인문학적 구축에 입지하려 한다.

 

   연구자별 분담내역은 다음과 같음.
   1. 현대의 반형이상학 : 정해창
   2. 형이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이기상
   3. 고전적 형이상학 : 김성진
   4. 형이상에 대한 유교적 접근 : 한형조
   5. 형이상에 대한 불교적 접근 : 이종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현대의 반형이상학의 종언
         ··············· 정해창 (본원 교수)
   1. 들어가는 말
   2. 하이데거와 듀이
   3. 무어와 러쌜
   4. 전기 비트겐시타인과 논리실증주의
   5. 후기 비트겐시타인
   6. 맺는말


2. 전통적 형이상학의 문명철학적 의미
         ··············· 김성진 (한림대 교수)
   1. 철학과 문명을 연관시키기 위한 문제 제기
   2. 20세기 철학과 형이상학
   3. 20세기의 시대적 상황과 형이상학
   4. 인간존재의 문명론적 소여분석
   5. 문명적 행동양식과 사변적 탐구의 형이상학적 근본전제
   6. 맺음말


3. 형이상에 대한 현대적 접근 :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 이기상 (외국어대 교수)
   1. 들어가는 말: 존재에 대한 놀라움
   2. 존재자 전체에로의 침입사건과 형이상학
   3. 존재론적 차이와 차이의 망각
   4. 표상하는 사유와 자연의 대상화
   5. 의 경험과 보존
   6. 존재의 사건은 존재 주어짐의 사건
   7. 세계-사방의 거울놀이
   8. 맺는 말: 존재의 사건에 내맡김


4. 주희의 형이상학의 구조와 문제
         ··············· 한형조 (본원 교수)
   1. 정리: 理氣의 독법
   2. 전개: 주희형이상학의 구상
   3. 문제: 자연(sein)과 당위(sollen)의 통합적 지평


5. 緣起: 불교와 형이상학
         ··············· 이종철 (본원 교수)
   0. 들어가는 말
   1. ‘緣起含意와 연기적 세계관
      1.1. ‘緣起에 관한 제해석
      1.2. ‘緣起含意 - 緣起二句(paryayadvaya) 분석
      1.3. 연기적 세계관의 특징과 전용 - 四諦
   2. 의 형이상학
      2.1. 문제제기
      2.2. 의 인식주체와 現觀
      2.3. 三苦性內包的 意味
      2.4. ‘一切皆苦再解釋
      2.5. ‘一切皆苦의 형이상학적 성격
   3. 맺음말

연구결과

   서양의 형이상학적 전통 가운데 1) 고전과 근대의 형이상학이 갖고 있는 문명적 함의를 살펴보고, 2) 플라톤 이래의 존재망각을 회복하기 위한 현대의 노력으로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을 존재사건학이라는 중심 개념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3) 경험을 통한 실증을 중시하는 영미의 실용주의적 전통에서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과 해체의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그것을 형이상학의 종언이라는 이름으로 개괄한다.
   이와 대비되는 동양의 형이상학적 전통 가운데 4) 불교의 그것을 라는 독특한 세계인식을 축으로 살펴보았다. 5) 공맹이래의 유교를 새로운 학문체계로 정비한 주희의 형이상학을 그의 理氣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도가의 자연학적 발상과 유가의 인문학적 요청의 독창적 종합을 근대적 인식의 자리에서 어떻게 해독할 수 있는가를 검토해보았다.

참고문헌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세부과제2, 세부과제3, 세부과제4, 세부과제5, )으로 구성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현대의 반형이상학의 종언

··············· 정해창 (본원 교수)

 

   형이상학의 종언은 그 형식이 형이상학의 제거이거나 완성이거나를 막론하고 전통적 형이상학적 탐구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철학의 공언된 목표, 기능, 역할에 대한 전통적 이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철학자들이 전통적으로 철학에 부여해온 지위, 즉 궁극적인 탐구로서 실재에 관한 포괄적 이해를 추구하는 정상에 위치한 학문으로서의 철학에 대한 회의가 형이상학의 종언의 원인이다. 철학은 과학의 경쟁자가 아니고 또 될 수도 없고, 도덕적 훈계자는 더더욱 아니라는 것을 인식한 현대 논리실증주의 철학자들이 선택한 도피처가 언어였다. 언어 분석의 방법에 의해서 언어의 의미가 명료하게 되면 모든 형이상학적 문제들이 사이비 문제라는 것이 밝혀진다고 확신한 그들은 다시 언어가 세계의 구조를 반영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체계의 구축으로 되돌아갔다. 비트겐시타인, 하이데거, 듀이 모두 이점을 꿰뚫어 보았으며 언어를 그냥 내버려두라고 외쳤다. 철학의 종언, 형이상학의 종언, 인식론의 종언 등은 모두 한 배를 타고 있어서 독자적 생존은 불가능하다. 로티가 주장하는 대로 사물들이 혼연일체를 이루는 방식을 살펴보는 아마추어적역할을 맡음으로써 철학은 그 기능을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형이상학이나 인식론이라 불리우는 철학의 전통적 분과는 물론 종언을 고해야 할 것이다.

세부과제2

전통적 형이상학의 문명철학적 의미

··············· 김성진 (한림대 교수)

 

   현대철학, 특히 20세기의 분석철학, 언어철학, 과학철학 그리고 실증주의 등의 형이상학 비판에도 불구하고, 형이상자와 형이하자의 구별은 여전히 인간의 존재이해방식의 근본원칙임을 확인한다.

세부과제3

형이상에 대한 현대적 접근 :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 이기상 (외국어대 교수)

 

   형이상학의 본바탕은 존재가 시간 속에서 주어지고 있는 존재사건임을 주장하고 있는 하이데거의 형이상에 대한 이해는 동서양간의 철학적 담론이 중요한 현시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제 우리는 우리의 시간 속에서 주어졌고 주어지고 있는 존재사건에 귀기울여 그 사건에 주체적으로 대응하여 우리 나름의 독특한 존재사건학을 정립하여 이 지구촌 시대에 한국철학이 기여할 바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세부과제4

주희의 형이상학의 구조와 문제

··············· 한형조 (본원 교수)

 

   주희의 형이상학은 도가의 자연학적 발상유가의 인문학적 요청의 독창적 종합이다. 그래서 자연과 당위, 소이연과 소당연, 자연세계와 인문세계가 이원화되어 있지 않고 연속되어 있다. 그래서 읽기가 쉽지 않다. 특히나 근대과학의 인식론에 젖어있는 사람들에게는 난감한 독단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논자는 우선 비판적 시각에서 그의 형이상학의 두 지평 혹은 계기를 분석하고 정돈했다. 그런 다음, 이 비판적 시각을 비판하면서 즉 자연과 당위, 윤리와 자연의 엄격한 이분을 전형적인 근대의 소산으로 상대화하면서주희 형이상학의 근본통찰로 접근하고 해석하기 위한 시도를 해 보았다.

세부과제5

緣起: 불교와 형이상학

··············· 이종철 (본원 교수)

 

   제일장에서 우리는 ‘pratityasamutpada’(緣起)語形成立過程을 추적해 봄으로써 연기의 語義分析을 시도했으며, 또한 연기의 二句해석에 관련된 제문헌을 분석해 봄으로써 연기含意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가 연기의 일반적 규정이라 부를 수 있는 기본적인 緣起 개념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제이장에서 우리는 형이상학적 용법으로 쓰이는 外延內包에 대한 분석을 통해, “一切皆苦聖者現觀이란 인식행위에서 제시된 命題라는 점, ‘의 성립근거가 聖者들에게 거슬림’(aryanampratikulatva)이라는 사실에 있음을 밝혔다.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