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7-철학종교-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해창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7-01-01 ~ 1998-05-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 연구배경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연구내용
연구자별 분담내역은 다음과 같음.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1. 현대의 반형이상학의 종언
|
||
연구결과 | 서양의 형이상학적 전통 가운데 1) 고전과 근대의 형이상학이 갖고 있는 문명적 함의를 살펴보고, 2) 플라톤 이래의 존재망각을 회복하기 위한 현대의 노력으로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을 존재사건학이라는 중심 개념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3) 경험을 통한 실증을 중시하는 영미의 실용주의적 전통에서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과 해체의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그것을 형이상학의 종언이라는 이름으로 개괄한다. |
||
참고문헌 |
세부과제별 요약 | |
---|---|
세부과제1 |
▨ 현대의 반형이상학의 종언 ··············· 정해창 (본원 교수)
형이상학의 종언은 그 형식이 형이상학의 제거이거나 완성이거나를 막론하고 전통적 형이상학적 탐구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철학의 공언된 목표, 기능, 역할에 대한 전통적 이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철학자들이 전통적으로 철학에 부여해온 지위, 즉 궁극적인 탐구로서 실재에 관한 포괄적 이해를 추구하는 정상에 위치한 학문으로서의 철학에 대한 회의가 형이상학의 종언의 원인이다. 철학은 과학의 경쟁자가 아니고 또 될 수도 없고, 도덕적 훈계자는 더더욱 아니라는 것을 인식한 현대 논리실증주의 철학자들이 선택한 “도피처”가 언어였다. 언어 분석의 방법에 의해서 언어의 의미가 명료하게 되면 모든 형이상학적 문제들이 사이비 문제라는 것이 밝혀진다고 확신한 그들은 다시 언어가 세계의 구조를 반영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체계의 구축으로 되돌아갔다. 비트겐시타인, 하이데거, 듀이 모두 이점을 꿰뚫어 보았으며 언어를 그냥 내버려두라고 외쳤다. 철학의 종언, 형이상학의 종언, 인식론의 종언 등은 모두 한 배를 타고 있어서 독자적 생존은 불가능하다. 로티가 주장하는 대로 사물들이 혼연일체를 이루는 방식을 살펴보는 “아마추어적” 역할을 맡음으로써 철학은 그 기능을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형이상학이나 인식론이라 불리우는 철학의 전통적 분과는 물론 종언을 고해야 할 것이다. |
세부과제2 |
▨ 전통적 형이상학의 문명철학적 의미 ··············· 김성진 (한림대 교수)
현대철학, 특히 20세기의 분석철학, 언어철학, 과학철학 그리고 실증주의 등의 형이상학 비판에도 불구하고, 형이상자와 형이하자의 구별은 여전히 인간의 존재이해방식의 근본원칙임을 확인한다. |
세부과제3 |
▨ 형이상에 대한 현대적 접근 :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 이기상 (외국어대 교수)
형이상학의 본바탕은 존재가 시간 속에서 주어지고 있는 존재사건임을 주장하고 있는 하이데거의 형이상에 대한 이해는 동서양간의 철학적 담론이 중요한 현시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제 우리는 우리의 시간 속에서 주어졌고 주어지고 있는 존재사건에 귀기울여 그 사건에 주체적으로 대응하여 우리 나름의 독특한 존재사건학을 정립하여 이 지구촌 시대에 한국철학이 기여할 바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세부과제4 |
▨ 주희의 형이상학의 구조와 문제 ··············· 한형조 (본원 교수)
주희의 형이상학은 〈도가의 자연학적 발상〉과 〈유가의 인문학적 요청〉의 독창적 종합이다. 그래서 자연과 당위, 소이연과 소당연, 자연세계와 인문세계가 이원화되어 있지 않고 연속되어 있다. 그래서 읽기가 쉽지 않다. 특히나 근대과학의 인식론에 젖어있는 사람들에게는 난감한 독단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논자는 우선 비판적 시각에서 그의 형이상학의 두 지평 혹은 계기를 분석하고 정돈했다. 그런 다음, 이 비판적 시각을 비판하면서 —즉 자연과 당위, 윤리와 자연의 엄격한 이분을 전형적인 근대의 소산으로 상대화하면서— 주희 형이상학의 근본통찰로 접근하고 해석하기 위한 시도를 해 보았다. |
세부과제5 |
▨ 緣起와 苦 : 불교와 형이상학 ··············· 이종철 (본원 교수)
제일장에서 우리는 ‘pratityasamutpada’(緣起)의 語形成立過程을 추적해 봄으로써 연기의 語義分析을 시도했으며, 또한 〈연기의 二句〉 해석에 관련된 제문헌을 분석해 봄으로써 ‘연기’의 含意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가 〈연기의 일반적 규정〉이라 부를 수 있는 기본적인 緣起 개념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