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1) 한국학중앙연구원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학 용어 영문 사전 편찬 사전 작업으로써, 해외 석학과 전문가들이 영문으로 간행한 자료들에서 용어 번역 사례 17,000여건을 추출하여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DB로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 DB에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음이 분석되었다.
① 예산관계로 1차 용례 추출을 번역 전문 기업과 대학원생 등 비전문가에게 맡김으로서, 선정된 용례의 학문적 가치가 검증되지 않았음.
② 단기간에 용례추출 및 정리가 이루어진 관계로 예문 등에 포함된 오탈자 교정 및 예문의 적실성 등에 대한 검증이 미진하였음.
③ 용례 추출 및 축적에 1차 목적을 둔 관계로 수집된 용례의 분야별 균형성이 검증되지 않음.
④ 용례는 있으나 예문이 없어 그 용례의 적실성을 검증할 수 없는 사례가 나타남.
⑤ 한글 로마자 표기 등이 정확한 지침에 따라 정확하게 정리되었는지 검증이 되지 않음.
(2)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사전 시안본”을 편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① 기구축 자료를 용례의 적절성, 분야별 균형성, 오탈자, 한글 로마자 표기의 적절성 등 여러 측면에서 검증함.
② 검증 결과를 활용하여, “배포용 시안본” 편찬 이전에, 우선 “검토용 시안본”으로 가공하여 편찬함.
③ 검토용 시안본 편찬을 통해 차후에 진행될 본 사전 편찬을 위한 편찬 프로세스를 확립함.
④ 정리된 자료를 활용한 전산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함으로써 그 가능성과 유용성을 점검함.
⑤ 역사 문화적으로 우리나라와 영향을 주고받은 중국과 일본의 공구서 편찬 사례를 같이 연구하고 정리하여 차후에 진행될 본 사전 편찬의 지침으로 삼음.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 범위
(1)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구축한 영문 용례 DB에 수록된 용례를 분야별로 정리한 후, 분야별 망라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새로운 전거를 조사하여 부족한 분야의 자료를 보충함. 1945년 8월 15일 이후의 문화와 관련된 용어는 일반적인 한영사전에도 정리되어 있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제외함.
(2) 자료 구성을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에 따라 시안본 수록 대상 데이터를 확정함. 데이터의 구성은 표제어, 시대 분류, 주제 분류, 로마자 표기, 한글 용어 정의 등으로 이루어짐.
※ 생산된 정보에서 주제 분류와 로마자 표기는 보다 정밀한 검증을 위해 이번 책자형 시안본에는 포함하지 않음.
(3) 정리된 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단기간에 서적형 사전 편찬용 디지털 파일을 생성해 주는 전산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함.
(4) 생성된 디지털 파일을 이용하여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사전 검토용 시안본을 편찬함. 배포용 시안본은 6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내용, 형식, 오탈자 등에 대한 정밀한 교정을 거친 후 편찬함.
○ 연구의 진행
(1)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정리된 영문 용례 DB 데이터 분석 및 보완
① 저본의 권위, 한국학 용어로서의 적합성, 용례의 적정성 등을 바탕으로 이전에 정리된 영문 용례 DB 수록 데이터를 평가함.
② 시안본 수록 대상자료 1차 선별: 저본의 유형, 용어의 유형 등에 의거하여 용례를 추출하여 정리함.
③ 시안본 수록 대상자료 2차 선별: 1차 선별 결과를 분야별로 전문가가 검토하여 시안본 수록 여부를 결정함.
(2) 신규 데이터 확충
① 시안본 수록 용어의 분야별 균형성 확보를 위해 기존에 수집된 용례에서 미흡하다고 평가되는 분야에 대해, 다른 자료에서 수집하여 보충함.
② 신규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선별하여 신규 자료로 추가함.
(3) 정보처리
① 용례가 추출된 예문과 그 예문이 수록된 원전을 대조하고 확인함.
② 용례 및 주요 용어에 인명, 지명, 서명 등의 태깅 작업을 함.
(4) 시안본 편찬 간행
①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사전 시안본 자료 구성을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를 개발함.
② 검토용 시안본 수록 대상 데이터를 확정하고, 표제어, 시대 분류, 주제 분류, 로마자 표기, 한글 용어 정의 등 표준 프레임워크에 따라 정보를 생산함.
③ 한국학 용어 영어 용례사전 편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본문 및 색인 등 책자형 사전 제작을 위한 디지털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검토용 시안본을 제작함.
|
연구결과 |
60권의 참고문헌을 참조하여 4,585개의 영문용례를 정리하였고, 사전 편찬을 위한 전산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 이를 이용하여 사전 형태의 결과물을 산출하였다. 비록 양적으로는 많지 않지만 본격적인 용례사전 편찬을 위한 기본지침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1.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 사전 시안본 연구 및 편찬
가. 연구개요
1) 대상자료: 2008년까지 1차 정리된 한국학 영문 용어 용례사전(www.aks.ac.kr/glossary)에서 선정된 8,000여개 용례
2) 검토용 시안본 수록 용례: 4,585개
나.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 사전 시안본의 구성 및 내용
1) 일반적인 구성 및 내용
〈표제어 – 한자 – 영문표기(문화 체육 관광부 지정 로마자 표기법, M/R[메큔 라이샤워 표기법]) - 시대 – 한글의미 – 의미역 – 예문 – 출처〉의 순서로 구성
2) 다양한 용례를 보여주는 경우의 구성 및 내용
- 하나의 표제어에 같은 의미의 용례가 여러 개인 경우: ¶로 구분
- 하나의 표제어에 다른 의미의 용례가 여러 개인 경우: ????????????으로 구분
3) 시안본 구성의 기준
(1) 표제어 선정
(2) 한문 표기
(3) 로마자 표기
(4) 시대 분류
(5) 한글 의미
(6) 주제 분류
(7) 의미역
(8) 예문
(9) 출처
4) 저작권 관련 진행사항
① 용례추출에 이용된 전거의 저작권자 모두에게 자료사용 허가 요청.
② 일부 저작권자가 저작권의 소유처를 밝혀달라고 요구함에 따라 부록으로 수록된 자료명 뒤에 저작권자 표시를 “(c) 1984 by Edward W. Wagner“ 형식으로 함.
2.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 사전 시안본 전산 제작 프로그램 개발
이번 연구 사업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그동안 추진된 사업에서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서적형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사전 편찬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의 사전 편찬은 원고의 집필(전산입력), 교정, 조판 및 출판과정이 모두 분리되어 있었다. 따라서 한 과정에서 이루어진 결과가 자동적으로 다음 과정에 반영되기가 힘들었다. 즉 자료의 집필, DB구축 및 서적 출판을 서로 연계시키기가 힘들어 단계별로 이전의 작업을 중복하여 수행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사전 편찬 프로그램은 이러한 일련의 연구 성과를 자동으로 서적 출판용 파일로 제작해 줌으로써 연구 성과와 출판의 연계를 극대화시켜준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편찬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한편, 더 나아가 프로그램의 지속적 개선을 통한 범용 사전 편찬 프로그램으로 확장하는 방안도 모색하였다.
전산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 출판은 입력, 교정, 출력, 사전 발간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기존의 연구 사업에서 구축된 자료를 활용하여 사전 편찬 데이터로 출력하는 한편, 책자형식을 갖춘 데이터를 생산하는 것이다.
가. 출판 프로세스
1) 원시자료 제작
: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된 자료를 엑셀 스프레드쉬트 파일로 변환하여 교정 및 정리 과정 수행
• 원고 집필 또는 단어 수집 정리
• 예문 수집 및 정리
2) 태깅
: 한국학 영문 용어 용례사전 편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용례, 즉 한국학 용어가 영어로 번역되는 예문이라고 할 수 있다. 예문은 긴 문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예문에서 특정 용어의 번역 사례는 서적 출판 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용례의 앞과 위에 .. 태깅을 하였다. 이 외에도 나중에 별도의 목적을 위해 <인명><지명><서명> 등의 태깅도 부분적으로 수행하였다. 이것이 최종 출판되면 태깅된 부분이 진하게 인쇄됨으로써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 준다.
• 예문 속 단어에 정해진 방식으로 마킹
- 필수 태깅 : 의미역
- 선택 태깅 : 인명, 지명 등
3) 프로그램 처리 및 출력
: 편찬 프로그램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모든 형태의 자료 파일을 받아들여서 처리한 후 원하는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 연구 사업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활용한 사전 편찬의 유용성을 시험하는 만큼 우선 스프레드쉬트 파일(XLS) 파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① 출력 내용 선택
② 출력 방식 지정
③ 출력 형태 지정
④ 출력 파일 저장
• 워드프로세서 파일인 HWP 또는 DOC 형식으로 변환
4) 출판
• 최종 조판 완료
• 서적 출판
3. 국내외 관련 사례 조사 · 분석
가. 기존 한국학 영문 용어집 및 용어사전
1) 『한·영 우리문화용어집 Glossary of Korean Culture』 (송기중 편, 지문당, 2001, 516면). 『한국학 기본용어집 Basic Glossary of Korean Studies』 (송기중 편, 국제교류재단, 1993, 338면)의 개정 증보판.
2) Korea: A Historical and Cultural Dictionary (Keith Pratt & Richard Rutt, Richmond Surrey: Curzon Press, 1999, 568면)
3) 『한국문화재용어사전 Dictionary of Korean Art and Archaeology』 (ed. by Roderick Whitfield, Hollym, 2004, 332면)
나. 영문 동양학 공구서 및 연구 편찬물 고찰
1) 개요
- 연구의 목적
한국학 영문 용어 · 용례 사전의 어휘를 확장 보충하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한 기본 작업.
영어본 한국학 백과사전을 위한 준비 작업.
- 연구의 대상
중국학, 일본학의 영문 공구서 및 연구 편찬물 (*특히 법제, 예술 등에 중점을 둠.)
- 연구의 방법
공구서(사전, 핸드북, 용어집), 자료집, 원전번역, 통사, 개론서.
기타: 번역 연구서 및 비평서
문헌자료와 온라인자료를 병행 조사
- 연구 분야
공구서, 통사, 문학, 종교/사상, 법제, 과학/기술, 예술
- 연구시 주의사항
동아시아 공통의 배경을 중시할 것.
동일 용어이지만 의미가 다른 경우, 상이한 용어이지만 의미가 같은 경우에 유의.
2) 영문 공구서 및 연구편찬물의 대표적 사례
(1) 백과사전(일본학)
(2) 공구서(법제)
(3) 온라인 사전
(4) 원전의 번역(법제)
(5) 각종 대역어집
(6) 통사(중국사)
(7) 과학사
(8) 번역 관련 교재
4. 향후 발전 방향
(1) 개요
① 용어 사전(dictionary)의 성격상, 국문 정의 외에도 외국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문 정의를 함께 제시하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음.
② 영문 용례사전이므로 한국과 외국에서 동시에 출판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의 경우 Cornell East Asia Series 활용 가능.
(2) 표제 및 용례
① 표제어의 의미를 잘 드러내줄 수 있는 좋은 의미역의 지속적인 발굴이 필요함. 더불어 다양한 한국학 용어들을 포섭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
② 표제어 선정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분야별 표제어를 조사하여 참고할 필요가 있음.
③ 표제어 배열: 한글 표제어를 대상으로 가나다 순 배열을 기본으로 하되, 이용자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배열 방식을 취하여 부록으로 추가할 필요가 있음.
④ 제시된 예문을 통해 표제어의 의미역뿐 아니라 표제어에 관한 내용까지 알 수 있는 좋은 예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음.
(3) 체재
① 한글 표제 - (한자 표제) - 로마자 표기 – 분류 – 대역어 – 국문 정의 – 영문 정의 – 연관어로 하여, 표제어와 의미가 같은 동의어, 그리고 표제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연관어를 제시해 주는 방안 검토
② 로마자 표기는 맥퀸-라이샤워 표기법과 정부 표기법을 병기 (단 英譯에서는 맥퀸-라이샤워 표기법)
(4) 편찬
① 편찬 지침: 편찬 작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작성 후 사전의 일러두기 등으로 활용함.
② 시범 집필: 유형별 대표 표제어에 대한 시범 집필을 통하여 편찬상의 문제점을 사전 점검할 필요가 있음.
○ 기대효과
(1) 시안본 편찬을 통해, 차후 정식 용례사전 편찬에 파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다 효용성 있는 사전 편찬의 토대 마련.
(2) 최종적으로 편찬된 용례사전은 한국학 지식 영문 번역의 정확도와 신속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우수한 번역 성과의 양산에 기여할 수 있는 사전의 역할을 할 것임.
(3) 해외 한국학 연구자들의 국내 정보 자원 이용을 편리하게 하고, 국내 연구자들의 한국학 정보 자료 외국어 번역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국내외 한국학자들의 지식 소통에 기여.
(4)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자료 관리 및 편찬 시스템 구축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사전 수정 증보를 가능하게 함.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표제어 항목과 영문 한국백과 색인어를 중심으로 용례를 추출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를 영문으로 번역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됨.
○ 활용방안
(1)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사전 “본 사전” 편찬을 위한 편찬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음.
(2) 한국학 용어 표준 영문 대역어 확정 및 대역어 사전 편찬에 활용.
(3)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다국어 사전 개발의 저본으로 활용.
(4) 한영 자동번역기 탑재용 사전 DB로 구축하여 활용함과 동시에 한영 번역 및 교차언어 검색 등 인문정보학 기술 개발에 활용.
○ 제언
(1) 양질의 사전이 편찬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연구 사업으로 수행되어야 함. 따라서 본 사업의 경험과 성과를 지속시켜갈 수 있도록 장기 연구 프로젝트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즉, 연구가 지속되어야 시안본 편찬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와 성과물, 참여 연구진, 자료 교환 네트워크 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확대 재생산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