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2005-30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윤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8-05-30 ~ 2008-11-30 | 연구형태 | 개인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 지금까지 세종대왕에 관한 연구는 관심있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주로 세종대왕이 인자하며 호학(好學)했던 군주임을 강조하거나 그의 사상과 철학, 그리고 문화정책을 드러내어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이엇다. 그리고 지금까지 우리는 대체로 세종대왕이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위인"으로 존경받는 까닭은 그가 "어느 누구보다도 상상할 수 없는 남다른 성현의 덕성과 인격을 아울러 갖춘 어른이었기 때문"이라는 평가를 당연시하고 지내왔다. 한 마디로, 그동안 우리 학계에서는 세종대왕을 능역있는 정치지도자로서보다 인간성과 학문이 탁월했던 인격자로 평가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 본 연구에서 필자는 분석목적상, 세종대왕의 처세를 "보살핌의 정치(politics of caring)"로 규정한다. 왜냐하면 세종시대에 있어서 정치적 주권자는 군주 1인이었고 백성들은 군주로부터 일방적인 수혜를 받는 수동적인 위치에 있었을 뿐 아니라, 세종 자신이 유교적 위민 혹은 애민사상에 충실했던 군주로서 백성들의 삶을 자신의 권력과 통찰력으로 챙기고 보듬는 일에 최선을 다했던 정치지도자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종이 재위 32년에 훙(薨)했을 때 사관이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기를 즐겨한지 무릇 30여년(民樂生生者 凡三十餘年)”이라고 기록한 것과 후일 율곡 이이(1536-1584)가 “세종께서 국가를 안정시켜 후손에게 잘 살 수 있는 길을 터놓았으며, 우리나라 만년의 기틀을 다져놓았다”라고 평가한 것은 세종대왕이 유교적 이념에 충실한 “보살핌”의 정치를 통하여 사실상 평가할 만한 구체적인 업적을 내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세종의 천민/대천이물의 정치사상, 인간존중의 국가경영, 민생해결의 국가경영, 교화소통의 국가경영, 현대적 함의의 순으로 연구하였으며, 세종실록과 관련 연구성과들의 내용분석을 기본으로 하였음. - 세종대왕의 "보살핌"의 정치의 사상적 기저를 다루는 것으로 보이는 그의 "천민(天民)"과 "대천이물(代天理物)"의 정치사상을 먼저 검토한 다음, 그의 "보살핌"의 정치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의 정책적 조치들로 전개되었는지를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같은 세종대왕의 "보살핌"의 정치를 요약하고 그 현대적 함의를 간단하게 짚어보고자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200자 원고자 124매의 분량으로 마쳤음.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