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7-37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병련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7-12-21 ~ 2008-02-29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이 연구과제는 새로운 정부에서 국책연구지원기관에 대해 새로운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따를 것을 요구할 것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으로 시작되었다. 새로운 정부는 효율성과 경쟁성을 이유로 구조 및 조직 개편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교육부의 학술진흥과도 여러 개과로 개편되면서 한국학 지원 정책이 새롭게 논의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러한 외부의 변화에 대해 한국학중앙연구원도 한국학의 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변화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한중연의 역할 모델개발과 발전전략을 담은 청사진 제시가 필요하다. 한중연의 역할모델개발과 발전전략을 담은 청사진을 위해 우선 국가 브랜드 제고를 위한 한국학 비전을 제시하고 한국학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중추기관이자 핵심기관으로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위상을 정립하고 그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발전전략과 로드맵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현재 각국의 자국학 발전 지원기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과 비교 분석
○ 연구내용 I. 서론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본 연구과제는 한국학 발전과 한국학 관련기관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방향과 제안을 담고 있다. 우선, 한국학 연구지원정책과 관련하여 이제까지의 학술연구지원정책을 벗어나 인문사회 분야에서도 국가 용역 프로젝트와 같은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해 프로젝트에 기반한 장기 기획 연구지원 시스템(PBS)의 도입을 주장했다. 이러한 PBS에 기반한 연구지원시스템은 역주조선왕조실록과 같이 장기간의 연구기간이 필요한 한국학 연구에 맞는 지원시스템으로 연구결과 예측, 연구결과 시너지 효과, 타 학문과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PBS에 기반한 연구지원시스템은 프로젝트 중심으로 연구기관을 상호유기적으로 연결해 연구 결과의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과제는 이러한 PBS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한국학 육성 프로젝트 지원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한중연과 같은 한국학 중추기관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런데 한중연이 이러한 중추기관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한중연도 프로젝트 중심의 연구 · 교육 기관으로 발전해야 한다. 한중연이 프로젝트 중심에 기반한 한국학 연구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연구 · 교육 · 정보화와 세계화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현재 한중연의 조직이나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과제는 한중연의 발전방향과 단계별 발전전략과 목표 등을 담아 놓았다.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