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정책과제 | ||
---|---|---|---|
과제코드 | 2007-36-3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신종원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7-11-09 ~ 2008-02-29 | 연구형태 | 자체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 연구는 동아시아역사문화연구소의 중장기연구사업 과제개발의 연구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한국고대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료에 대한 접근성의 용이성과 정확한 해석이다. 이것은 학문연구의 초석이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1) 한국학 기초사료의 번역과 주석 2) 한국의 제사유적 · 유물 자료집성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계획을 마련하고 추진한다. 이것은 절대적으로 사료가 부족한 고대사 연구상황에서 연구한 기초사료의 보급을 통해서 학문연구의 양호한 토대를 마련하고, 연구를 심화시켜 우리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첫째, 기초사료 번역과 주석작업에는 『신찬성씨록』과 『조선지명지지』에 대한 사업이다. 『신찬성씨록』은 삼국시대 골품제, 대성팔족, 단성과 복성의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주고, 1910년대 초의 전국지명을 조사하여 수록한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54책의 필사본인 『조선지명지지』는 인간과 그들의 생활공간인 토지와의 관계에서 명명된 지명이 어떻게 우리의 삶 속에서 생성, 변화, 발전, 소멸하였는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둘째, 자료집성편찬으로 한국고대제사유적유물집성 편찬이 이에 해당한다. 전근대 동아시아 여러 국가의 중요한 행사 가운데 하나인 제사에 대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한국고대 제사의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것이며, 고대국가의 정치원리 및 운영원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본 연구는 기초사료의 보급을 통해 학문연구의 양호한 토대를 마련하고 연구를 심화시켜 우리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대한다는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크게 학문연구의 초석인 기초사료에 대한 번역역주사업과 자료집성의 편찬이라는 두 개의 축에서 과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원에서는 이미 『삼국사기』 『삼국유사』 『경국대전』 등과 같은 기초사료를 번역하고 역주하여 보급함으로써 연구의 기초를 튼튼하게 하고, 연구의 폭을 확대하는 데 앞장서 왔다. 기초사료에 대한 번역, 역주, 자표집의 편찬 등은 노력과 시간이 많이 드는 지난한 작업이지만, 중국의 동북공정이나 일본의 역사왜곡 등의 불건전한 연구환경을 개선하고 논리를 개발하며, 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해 선결되어야 할 작업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과제개발에서는 번역 역주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고대 한국과 일본의 관계와 고대 한국의 성씨문제의 열쇠를 쥐고 있는 『신찬성씨록』과 1910년대의 전국지명을 수록하고 있는 『조선지명지지』에 대한 연구계획을 작성하였으며, 기초자료집의 편찬에서는 고대국가의 정치원리 및 운영원리의 초석인 제사유적유물자료집성에 대한 계획서를 작성하였다.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