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2005-2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양동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8-04-22 ~ 2008-11-30 | 연구형태 | 개인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 연구의 목적은 1947년 10월 남북한의 정치세력들이 남북협상을 제의한 동기, 남북협상을 성사시키기 위한 남북한 정치세력들의 노력, 그러한 노력에 대한 남한 우익세력의 대응, 남북협상에 대한 소련과 미국의 대응, 1948년 4월 평양에서 개최된 남북협상 회의(남북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및 남북요인회담)의 구체적인 진행상황, 그 회의에서 채택된 문서들의 내용분석, 남북협상에 참여한 남한 측 인사들의 북한에서의 동태, 남북협상이 남북한 정치성향에 미친 영향 등을 객관적인 자세로 정밀하게 분석·정리하는 것이다. 48년의 남북협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남북협상에 참여한 남한 측 정치세력, 그중에서도 주로 김구와 김규식의 주장과 활동을 중심으로 남북협상을 서술했다. 따라서 남북한의 모든 정치세력이 관여했고 남한주둔 미군과 북한주둔 소련군이 영향을 미쳤던 48년의 남북협상의 총체적 진상을 그려내지 못했다. 남북협상에 대한 기존연구들의 그러한 실상이 본 연구를 하게 된 학문적 배경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항목들로 구성될 계획이었다. (1) 남북협상론의 등장 배경 (2) 북한정권의 통일전선론 (3) 남한 중도파의 남북요인회담론 (4) 남북협상 성사를 위한 북한 정권과 남한 중도파의 노력 (5) 김규식과 김구의 남북협상론 동조 (6) 북한정권과 김구·김규식의 접촉 (7) 남한 우익진영의 남북협상 추진에 대한 대응 (8) 소련과 미국의 남북협상 추진에 대한 대응 (9) 평양 회의의 진행과정 (10) 평양 회의에서 채택된 결의들의 내용분석 (11) 평양 회의 폐막 이후 남한 측 참여자들의 동태 (12) 남북협상의 정치적 영향 (13) 결론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로 구성되었다. (1) 남북협상론의 등장 배경 (2) 북한정권의 남북협상제의 및 남한 정치인 포섭공작 (3) 남한 중도파의 남북협상 제의 및 추진 (4) 김구·김규식과 북한정권의 접촉 (5) 북한 측의 일방적인 회의 준비 (6) 남북협상 추진에 대한 남한 우익진영의 대응 (7) 남북협상 추진에 대한 소련과 미국의 대응 (8) 평양회의의 진행과정 (9) 연석회의 및 요인회담에서 채택된 문서들의 내용 분석 (10) 평양회의 폐막 이후 남한 측 참여자들의 동태 (11) 남북협상의 정치적 영향 (12) 결론
※당초 계획의 (2), (3), (4)의 구성을 변경했다. 당초의 계획에서 (2)북한정권의 통일전선론, (3)남한 중도파의 남북요인회담론, (4)남북협상 성사를 위한 북한 정권과 남한 중도파의 노력 등이었던 것을 연구결과에서는 (2)북한정권의 남북협상제의 및 남한 정치인 포섭공작, (3)남한 중도파의 남북협상 제의 및 추진으로 변경했다. 당초 계획의 (5)김규식과 김구의 남북협상론 동조, (6)북한정권과 김구·김규식의 접촉을 연구결과에서는 (4)김구·김규식과 북한정권의 접촉으로 통합했다. 당초 계획에 없었던 장의 제목인 ‘북한 측의 일방적인 회의 준비’를 연구결과에서는 (5)로 삽입했다. 당초 계획의 (10)평양 회의에서 채택된 결의들의 내용분석을 연구결과에서는 (9)연석회의 및 요인회담에서 채택된 문서들의 내용 분석으로 변경했다. 변경을 하게 된 이유는 서술을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하려는데 있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