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7-21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려사 역주 연구, 8
  • 영문 :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Koryeosa
연구책임자 허흥식
공동연구자
  • 김일권 / 본원 / 조교수
  • 정구복 / 본원 / 교수
  • 박용운 / 고려대학교 / 교수
  • 채웅석 / 가톨릭대학교 / 교수
  • 김용선 / 한림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2007-05-17 ~ 2007-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475년간 지속되었던 고려국가는 한국중세의 핵심을 이루며 이 시기에 대한 대표적인 정인지 등이 편찬한 고려사이다. 역사전공에서 그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학계열에서 이룩한 대사업으로 삼국사기, 삼국유사, 경국대전이 있으며, 이번에는 장기적이고 앞서보다 큰 작업으로 고려사 역주연구를 대상으로 삼았다. 고려사 역주는 약 500년간 계속된 고려국가의 역사를 통괄할 뿐 아니라 고대사는 물론 근대사에도 체계적인 연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고려사는 고려시대에 대한 대표적인 사서이므로 한국중세사의 전공자들이 끊임없이 해석과 주석을 더하였고, 각 부분에 대한 역주와 주석도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현재까지 간행된 저본과 활자본, 영인본, 해설이 있으며 전반적인 역주본도 남북한에서 3차에 걸쳐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東亞大學校 古典硏究室 譯註高麗史동아대학교출판부,1965 (색인 1973)
      [고려사] 북한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11, 1962-1966
        신서원편집부 北譯高麗史신서원 1992 위의 고려사+동방학연구소 영인본
      金鍾權 完譯高麗史 7廣曺出版社, 1976

 

      이번 역주작업은
        1) 기왕의 연구성과
        2) 이후에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연구성과를 반영하고,
        3) 
기존의 연구에서 잘못되거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4) 
아울러 문집, 금석문, 고문서, 유적과 유물을 고려사에 연결시켜 확대하고,
        5) CD-ROM
등 전산화를 이용한 간행하여 국내외의 고려사 연구자에게 제공함을 목표로 삼는다.

연구방법 및 내용

   고려사를 연대기적 세가와 문물제도를 서술한 各志, 인물에 대한 열전으로 나누어 3개의 작은 작업팀을 구성하고, 각 분야로 연구를 확대하고 기존의 성과를 검토하여 취사선택과 산삭을 더한다. 고려사에서 각지는 고려국가의 정사를 주제별로 정리한 내용이고, 고려시대의 문물제도를 연구하는 전문가에게 중요하지만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이를 제대로 해석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고도의 지식과 체계로 정확하게 번역하고 주석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1인 1지로 연구 업적이 탁월전문가가 담당한 연구와 역주결과를 모아서 발표합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예지        / 정구복(본원, 교수)

▶ 백관지     / 박용운(고려대, 교수)

▶ 형법지     / 채웅석(가톨릭대, 교수)

▶ 오행지     / 김일권(본원, 조교수)

▶ 병지        / 김용선(한림대, 교수)

▶ 선거지     / 허흥식(본원, 교수)

연구결과

   본원에서 그동안 진행한 고려시대 연구의 연속된 출판으로 간행하여 연구자에게 배포하고 나머지는 시중에 판매함.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전문가가 담당하여 풍부한 해설과 주석을 더하였으므로 이해를 증진시키고 연구자에게 유용하게 활용되리라 기대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