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6-18
연구과제명
  • 국문 : 문화예술의 발달과 한국경제의 선진화
  • 영문 : Development of the Art and Culture and Advancement of Korean Economy
연구책임자 전택수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6-04-24 ~ 2007-11-30 연구형태 저서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는 창조성이 모든 영역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 하에서 문화예술이 선진화를 추구하는 한국경제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이를 바탕으로 정부와 기업이 R&D투자 관점에서 문화예술을 지원할 논리를 개발하고, 나아가 구체적인 문화지원정책 처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및 내용

   먼저 한국경제의 국제적 위상과 선진국 진입에서 맴돌고 있는 이유를 파악하고, 선진국 진입을 위한 과제로서 창조성을 경제 및 생활일반에 도입하여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이어 창조성은 다양하고도 개방적인 분위기에서 발현된다는 점을 밝히면서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을 조사한다.

   다음으로 한국경제를 둘러싸고 있는 국제환경의 흐름을 선진국시장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갈음하고, 창조성시대의 특성을 정리한다. 그러면서 문화예술이 창조성의 원천임을 체험과 상상력의 연결고리를 통해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예술이 각 산업별 경쟁력 강화와 지역균형발전에 어떤 과정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제학적 이론으로 정립한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R&D투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밝히기로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예상되는 목차는 다음과 같다(변경 가능).


서장 문화와 경제: 통합-결별-재회의 과정
1장 선진국시장의 특성과 창조성시대
2장 한국경제의 위상과 과제
3장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
4장 창조성 원천으로서의 문화예술
5장 문화예술과 산업별 경쟁력 강화
6장 문화예술과 지역균형발전
7장 R&D 투자로서의 문화예술지원
8장 결론

연구결과

○ 기대효과

   대학교재, 문화정책 및 산업정책 방향에 대한 가이드, 교양서적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