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7-20
연구과제명
  • 국문 : 전통회계와 내부통제시스템 연구
  • 영문 : A Study of Traditional Accounting Techniques and Internal Control Systems in Early Korea
연구책임자 전성호
공동연구자
  • 허흥식 / 본원 / 교수
  • 권순백 / 대구가톨릭대학교 / 교수
  • 박원택 / 안동대학교 / 교수
  • 이중희 / 계명대학교 / 교수
  • 정기숙 / 계명대학교 / 명예교수
연구기간 2007-05-01 ~ 2007-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 조선왕조 국가 조직 회계자료 및 민간 영리 · 비영리 조직 회계자료를 수집 · 정리하고, 탈초 · 정서화하여 활자본 · 영인본 자료집 중 2007년도 중점과제는 민간영리조직 개성상인 자료집 발간에 총력을 기울인다.

   • 국내외 산일된 개성상인회계장부를 수집하고 탈초하여 원문/정서화/한글번역하여 가칭 傅統會計資料集成 I (開城商人日記冊), 傅統會計資料集成 II (開城商人外上長冊他給長冊), 傅統會計資料集成 III (開城商人會計冊)”을 발간한다.

   • 조선왕조 국가 조직 회계자료 및 민간 영리 · 비영리 조직의 회계실태를 파악하여 조선왕조 내부통제 시스템을 발굴 · 조명한다.

   • 조선왕조 민간 조직 회계실태를 현대 회계이론으로 검증하여 조선왕조 회계기법과 그 체계의 우수성을 증명한다.

   • 조선왕조 회계기법의 전통성을 구명한다.

   • 회계시스템에 기반한 조선왕조 내부통제시스템을 공동연구 주제로 하여 가칭 전통회계연구기획시리즈 I (朝鮮王朝內部統制體制硏究)”를 발간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3.1. 傅統會計資料集成 I (開城商人日記冊), 傅統會計資料集成 II (開城商人外上長冊他給長冊), 傅統會計資料集成 III (開城商人會計冊)

3.2. “전통회계연구기획시리즈 I(朝鮮王朝內部統制體制硏究)
   3.2.1. ”조선의 관청회계장부로서의 重記“ (박원택)
   3.2.2. ”조선왕조의 수탁회계책임“ (이중희)
   3.2.3. ”조선시대 서원의 회계제도와 경영“ (정기숙)
   3.2.4. ”송도 사개치부법과 베니스식 부기법의 재정립 연구“ (권순백)
   3.2.5. ”고려시대 회계용어 및 자료연구“ (허흥식)
   3.2.6. ”한국 전통회계기법 진화과정 연구“ (전성호)

    

   • 세계 각국 회계사 연구에서 정립된 복식부기 성립 요건대로 수집된 개성상인회계장부를 분류하고 장부 간의 유기적 연관성을 적출하여 일 단계 원본 파일, 이 단계 탈초 정서화 파일 삼 단계 한글 번역 파일을 만들어 좌우대조형 자료집을 생성한다.

   • 개성상인 회계장부에 기재된 각종 특수부호를 유사한 사례끼리 분류하고 정리하여 그 회계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생성된 한글 자료 파일은 현대 회계학 요건대로 T 계정으로 전환하여 한문이나 초서를 모르는 현대 회계이론 전공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 전통회계연구기획시리즈 I(朝鮮王朝內部統制體制硏究)를 발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조선시대 서원의 회계제도와 경영

고려시대 회계용어 및 자료연구

조선왕조의 수탁회계책임

조선의 관청회계장부로서의 중기

한국 전통회계기법의 진화과정 연구

사개치부법과 베니스부기법의 복식부기구조 비교연구

연구결과

   • 한국 전통회계 연구사업의 연구 결과물 및 영인본을 한국 회계 및 합리주의 문화 연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연구기관과 연구자들에게 무상으로 보급하여 한국학 연구 토대를 사회과학분야로까지 확대 증진시킨다.

   • 한국 전통회계 연구사업의 결과물을 웹상에서 활용하여 이미지 제공, 자료의 해제를 통하여 연구자 및 일반인들이 손쉽게 접근하여 사용하게 한다.

   • 이집트, 그리스, 로마, 중국 등 세계 주요 문명 발상지에서 회계문명과 관련된 문화콘텐츠 사업을 전개하여 왔듯이 한국 고 회계자료를 영문으로 발간하고 영문 인터넷 서비스를 실시하여 해외에 한국 고유 회계 문명의 실상을 알린다.

   • 한국 전통회계 관련 자료집과 연구 결과물을 이용한 박물관 특별 전시회를 개최하여 일반인에게 한국 회계문명의 정수를 전달하는 교육의 장으로 이용한다.

   • 한국 전통회계 장부 중 완벽한 셋트를 구성하고 있거나 유일본 혹은 가장 오래된 문서를 선별하여 문화재 지정을 추진한다.

   • 북한에 소장 중인 1792~1820년 개성상인 회계장부의 복사를 꾸준히 추진하여 장기적으로 한국 전통회계장부를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것을 추진한다.

 

연구성과

   개성상인일기11887.8-1894.4(탈초교열)(A4 116)
   개성상인일기21894.4-1898.9(탈초교열)(A4 106)
   개성상인일기31898.9-1901.4(탈초교열)(A4 116)
   개성상인일기41901.4-1903.10(탈초교열)(A4 115)
   개성상인외상타급장책 탈초미교열(A4 126)
   개성상인각인물출입기 탈초미교열(A4 87)
   개성상인각인회계책 탈초미교열(A4 116)
   개성상인주회계책 탈초미교열(A4 39)
   개성상인외상초 탈초미교열(A4 21)
   전통회계연구기획시리즈 I(朝鮮王朝內部統制體制硏究)(A4 186)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