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7-16
연구과제명
  • 국문 : 현대 한국경제사 – 해방 이후 한국경제의 선진화 과정
  • 영문 : Current Economic History in Korea
연구책임자 유광호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7-02-01 ~ 2007-11-22 연구형태 단독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해방과 분단 직후 한국경제의 현황과 시장경제체제의 성립, 전쟁과 원조경제, 초기의 경제개발계획을 통한 국민경제의 형성과정을 밝히고,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전략과 경제개발5개년계획, 중화학 공업건설 등 고도성정장기의 배경 · 원인 · 과정 등을 분석하며, 1987년을 전후한 한국경제의 민주화와 세계화, 외환위기와 그 극복과정, 개발전략의 수정과 IT산업 등 첨단산업의 육성 등 한국경제의 세계화와 선진화를 위한 시도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해방 이후 한국경제발전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사건과 전개과정 및 그 결과에 대한 통사적 분석과 서술을 하고자 함.
   이 연구는 2006년도 연구자가 저술하여 발간한 근대 한국경제사 한국경제의 근대화과정의 후속편에 해당함.

연구방법 및 내용

   각 시대별 1차 자료, 통계 및 그 시대별 기존 연구성과를 모두 수집대상으로 삼아 분석과 서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음.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차연도(700): 2007. 02 2007. 11
   제1편 해방과 분단에 의한 경제 왜곡과 국민경제의 형성 과정

   1장 현대 한국경제의 역사적 기원과 해방의 유산
   2장 분단과 전쟁에 의한 남북한 상이한 경제체제의 등장
   3장 농지개혁과 지주제의 해체
   4장 귀속재산의 불하와 공업구조의 개편
   5장 원조경제의 전개와 초기의 산업별 양상
   61950년대 초창기 공업화 과정과 그 성과

 

2차연도(700): 2008. 01 2008. 11
   제2편 국가주도 하의 압축적 고도성장기(1961-1986)

   7장 한국의 초기 경제개발계획
   8장 국가주도 하 경공업 중심의 대외지향적 성장
   9장 중화학공업의 추진과 산업구조의 고도화
   10장 고도성장 과정과 그 요인 및 역사적 조건
      1. 박정희 시대 경제개발의 특징
      2. 전두환 시대 경제개발의 특징
   11장 경제성장과정에서 생성된 대기업 집단(재벌)

 

3차연도(700): 2009. 01 2009. 11
   제3편 한국경제의 민주화와 세계화의 모색(1987년 이후)

   12장 한국경제의 민주화와 세계화를 위한 시도
   13장 한국의 OECD 가입과 한국경제의 세계적 위상
   141997년 외환위기와 그 극복과정
   15IT 산업 등 첨단산업의 육성
   16장 한국경제의 선진화를 위한 산업전략과 향후 과제

 

 

○ 기대효과

   한국경제의 성장과 발전과정을 한 권의 책으로 일별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리라 확신함. 특히 한국경제의 고도성장과정을 배우고자 하는 한국인 연구자나 유학생들에게 귀중한 참고서가 되리라 예상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