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5-0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주영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5-04-22 ~ 2005-11-30 | 연구형태 | 기획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韓流는 1990년대 말부터 중국 · 일본 · 대만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에서 일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을 가리키는 말이다. 사실 한류현상은 한국문화의 세계화가 거둔 일종의 성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학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류현상에 대한 연구는 주로 현상 그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중국과 동남아시아 각국에서의 한류현상에 대한 연구는 지역의 내부 사정으로 인해 구체적인 자료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주로 표면적인 통계자료와 그 효과 정도를 파악하는 수준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구체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쉽고, 그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파장효과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일본을 사례로 설정하려 한다. 이를 통해서 한류의 구체적인 실상과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의미를 분석하여 한국문화의 세계화 과정에 대한 대안적 연구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특히 민속학· 문화인류학· 언론학· 정치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로 연구팀을 구성하고, 일본인 연구자와 일본학 연구자를 배치하여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하려 한다. 특히 일본의 한류현상은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고 있다는 면에서 중국과 동남아시아 한류현상과 다른 차이를 보인다. 동시에 일본의 대중문화 시장이 그 경제적 규모에서 중국과 동남아시아와 비견될 정도라는 면과 일본에서의 한류와 함께 한국에서의 일본 필(feel)–한국에서의 일본 붐–이 일어나고 있다는 측면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일본의 한류현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기왕의 한류현상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매스컴과 일반–과 중국과 동남아시아 한류현상에 대한 연구경향에 대해 비판적 대안을 본 연구가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목표에 따라서 일본의 한류현상을 본 연구는 당초 연구계획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논문 제목으로 완성되었다. 특히 일본의 한류현상을 일본의 입장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대중문화 속의 한류, 한국의 시각에서 국제정치학 입장과 언론에 투영된 한류, 그리고 일본 한류현상의 사례분석이 이루어졌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Ⅰ. 서론 ◦ 연구의 시각(76매) : 주영하 Ⅱ. 일본의 시각에서 본 일본의 한류 ◦ 일본인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250매) : 이토 아비토 ◦ 일본대중문화 속의 ‘한류’(231매) : 임경택 Ⅲ. 한국의 시각에서 본 일본의 한류 ◦ 일본 한류에 대한 한국 언론의 시선(189매) : 김복수 ◦ 한류와 한일관계: 국제정치경제적 평가와 함의(18매) : 백태렬 Ⅳ. 일본 한류의 두 가지 현상 ◦ 욘사마 열풍과 한류론의 현재(142매) : 남근우 ◦ 야키니쿠에서 비빔멘까지: 일본에서의 한국음식 유행과 한류(150매) : 주영하 Ⅴ. 일본 한류관련 자료 해제 ◦ 단행본 ◦ 잡지 ◦ 일본 신문기사 목록 ◦ 일본 잡지기사 목록 |
||
연구결과 | 연구목표에 의거하여 계획대로 수행되어 일본의 한류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서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한류의 상관성을 인류학· 민속학· 정치학· 언론학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서 입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목차로 연구결과가 구성되었다. ◦ 연구의 시각 : 주영하 ◦ 일본인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과 변화 : 이토 아비토 ◦ 일본대중문화 속의 '한류' : 임경택 ◦ 한류와 한일관계: 국제정치경제적 평가와 함의 : 백태렬 ◦ 일본 한류에 대한 한국 언론의 시선 : 김복수 ◦ 욘사마 열풍과 한류론의 현재 : 남근우 ◦ 야키니쿠에서 비빔멘까지 : 주영하 ◦ 일본한류관련 자료 해체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