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AKSR2019-C09
연구과제명
  • 국문 : 『도애집(陶厓集)』 역주 연구 2
  • 영문 : An Annotative Translation of Doaejip(陶厓集) 2
연구책임자 조용희
공동연구자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 이철희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연구원
연구기간 2019-01-01 ~ 2019-12-16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홍석모(洪錫謨)의 문집인 ????도애집(陶厓集)????은 장서각 소장 유일본으로서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도애집????은 홍석모의 문학 세계를 전체적으로 조감할 수 있는 자료이자 당대 민간 풍속 연구에도 도움이 되는 중요 자료로서 시급히 역주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팀은 총 8책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분량의 ????도애집???? 역주 작업을 4년에 걸쳐 완성하고자 한다. 1차년의 ????도애집???? 1책과 2책 역주에 이어 이번에는 3책과 4책의 상권에 대해 역주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및 내용

3인의 연구자는 보조원 3인과 각기 조를 이루어 역주 작업을 진행하였다. ????도애집???? 3책 전권과 4책 상권의 총 550수의 한시를 3등분하여 조별로 약 180여 수의 번역을 담당하였다. 각 조의 연구자는 연구보조원과 함께 개별적으로 번역 작업을 진행하고, 매달 총 8차례 전체 연구자 회의를 진행하여 역주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함께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도애집 역주 연구 2: 2년차 결과물(3, 4())>을 연구 제목으로 삼아 원본의 순서대로 작품을 역주하였으며, 별도의 목차는 없다.(????도애집???? 전체 번역 완료 후 세부 목차를 설정할 예정임.)

연구결과

당초 목표로 삼은 홍석모의 ????도애집???? 3책과 4책 상권에 수록된 한시에 대해 역주 원고를 작성하였다. 번역한 한시는 총 550여 수로 원문은 원고지 800매 가량의 분량이며, 학술적 교감과 상세한 주석·주해를 붙인 최종 결과물은 원고지 2665매 가량[A4 284]이다.

참고문헌

『도애집(陶厓集)』, 장서각 소장본(K4-5910).

『이계집(耳溪集)』,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 241~242.

『관암전서(冠巖全書)』,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 속 113~114.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장서각 소장 ????도애집(陶厓集)????(K4-5910)은 무분권의 8책으로 원제는 陶厓詩文選이다. 원제에서 알 수 있듯이 그가 저작한 시와 산문 작품을 뽑아 만든 문집이다. 각 책은 (1), (2), (3), (4), (5), (6), (7), (8)으로 되어 있으며, 14책은 시(), 5책은 기, 6책은 사··(, 7책은 서(제발······잡저(雜著), 8책은 상량문··제문·묘지·묘표·행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작품 수는 시가 943제에 1345수 가량이며, 산문은 226편으로 그 양이 많은 편이다.

이 자료량을 기준으로 기획한 <????도애집???? 역주 연구>는 총 4년의 기간을 거쳐 역주를 완료할 예정이고, 이번에는 두 번째 단계로서 3~4책에 수록된 한시에 대한 번역을 진행하였다.

이번에 역주 작업을 수행한 ????도애집????3책과 4책은 각각 85(170)76(156)장이며 모두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각 책의 작품 수는 3350여 수, 4370여 수로 총 720여 수 정도가 된다. 이는 ????도애집????에 수록된 한시 전체로 보면 절반 이상의 양이므로, 이를 한 해의 연구 기간 안에 모두 역주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2019년도의 연구에서는 3()의 시 350여 수 전량과 4()370여 수 가운데 절반가량인 200여 수를 대상으로 하여 총 550여 수 정도를 번역하였다.

역주 대상 자료가 적지 않았던 만큼 연구진은 연구책임자 외 2인의 공동연구자와 3인의 보조연구원으로 구성하였으며, 3인의 연구자는 보조원 3인과 각기 조를 이루어 역주 작업을 진행하였다. ????도애집???? 3책과 4책 상권에 수록된 총 550여 수의 한시를 3분하여 조별로 약 180여 수의 번역을 담당하였다. 각 조의 연구자는 연구보조원과 함께 개별적으로 번역 작업을 진행하고, 매달 총 8차례 전체 연구자 회의를 진행하여 역주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함께 검토하였다.

당초 목표로 삼은 홍석모의 ????도애집???? 3책 전권과 4책 상권에 대한 역주 원고를 작성하였다. ????도애집????은 원문 가운데 이체자가 많아 원문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나 산문 모두 지방 유람과 중국 연행 내용, 그리고 민속 관련 내용 등이 많기에 지역정보와 당대 풍속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참조하여 번역하기까지 공력이 많이 소모되었다. 또한 홍석모가 교유한 인물들이 유명인사가 아닌 경우가 많아 인물정보를 찾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총 3인의 연구자가 보조원 3인의 도움을 받아 각자 전공 분야의 참고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역주 작업을 하고, 전체 연구자 회의와 최종 결과 발표회를 통해 역주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함께 검토하며 공동으로 해결을 모색하였다. 역주 완료 시점까지 총 8차례에 걸친 월별 강독회의(임시회의 포함 총 10)와 최종 연구결과 발표회를 통해 역주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계획한 대로 꾸준히 역주 결과물을 축적하여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다.

3책 전권 4책 상권에 수록된 한시는 총 550수로 원문은 원고지 800매 안팎의 분량이며, 학술적 교감과 상세한 주석·주해를 붙인 최종 결과물은 원고지 2665매 가량[한시 번역문 편집 방식으로 A4 284]이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