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2-국민윤리-6-가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충석(이화여대 부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11-16 ~ 1984-12-24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1)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국민윤리학의 체계적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국민윤리교육의 이론적 틀을 제시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개국가(영국, 독일, 일본 및 한국)의 민족주의의 유형을, 비교적 방법, 역사적 방법, 규범적 방법 및 기능주의적 방법 등을 원용하여 ① 이데올로기, ② 정치·사회체제, ③ 국민의식의 레벨에서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의 국민윤리학의 이론적 기초를 추적한다.
연구 배경
1) 관련된 연구 분야의 연구 경향 한국에서의 국민윤리학에 대한 종래의 연구경향은 주로 ① 역사적 자아로서의 한국문화의 전통, ② 현대 한국의 국가 목표로서의 민주주의, ③ 이데올로기적 대립으로서의 공산주의 비판, ④ 현실적 요구로서의 민족의 진로 등을 축으로 하여 논의·연구되면서도, 이들 네 가지 측면의 이론적 연계성 내지는 체계성이 빈약하였다고 할 수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문헌연구를 위주로 한다. 2) 비교적 방법, 역사적 방법, 규범적 방법, 기능주의적 방법 등을 원용하여 상기한 국가에서의 민족주의 발현형태 및 이론적 구조를 고찰하고,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민족주의의 존립양식과 국민의식과의 사상적 연관을 검토한다.
연구 내용
1) 연구의 범위 19c 전후로부터 20c 초에 걸쳐, 영국, 독일, 일본 및 한국에 있어서의 민족주의의 발상양식 내지는 이론적 구조를 그 국가의 문화적 전통, 국민의식과의 연관 속에서 검토한다. 2) 연구 내용의 주요 항목 ① 민족주의의 개념적 검토 ② 민족주의의 유형적 고찰: 영국, 독일, 일본 및 한국 ③ 현대사회와 민족주의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