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2-사회민속-1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복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5-31 ~ 1984-04-04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Communication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환경감시의 기능, 합의의 기능, 사회화의 기능으로 대별되고, 이 가운데 사회화의 기능이란 "한 사회의 문화나 전통, 가치, 규범 등을 새로운 사회구성원들에게 전달하는 사회교육적 기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mmunication의 제 기능을 검토·종합하여, 새로운 사회질서 수립 및 이를 사회화하는데 언론이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위한 바람직한 언론인의 자세는 무엇인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 새로운 사회질서 수립에 언론이 기능할 수 있는 역할을, 언론의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구분하여 조명해 봄으로써, 종합·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대중매체의 영향이 가중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언론의 역할 문제는 심각히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연구과정에서 지금까지 매체연구 중심의 기존 연구에만 치중하여 수용자 중심의 연구가 미흡함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발견하고, 선행연구로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태도변화 이론에 관한 연구로 주제를 변경하였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 문헌연구 및 부분적으로 개별사례 연구(Case Study) 병행.
연구 내용
Harold D. Lasswell, Charles R. Wright, Wilbur Schramm 등을 중심으로 한 제 문헌연구와 Communication의 역기능(Dysfunction)을 연구하여 체계화 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연구결과 개요
이 논문은 그간의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인간의 태도변화에 관한 관심이 무시된 채, 커뮤니케이션 효과나 그 효과를 얻기 위한 수법 연구에만 지나치게 치중해 왔던 감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하여 기술의 혁신과 일차집단의 파괴 등으로 인해 가중되고 있는 대중매체의 영향력의 문제를 인간의 태도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연구 이론을 체게적으로 정리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우리의 반공교육의 문제를 맥과이어의 접종이론적 측면에서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