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4-사회민속-1-나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근대·현대의 사회구조의 특질과 변동 (한국사회사대계 사회·민속편) - 나. 갑오경장과 신분제 폐지
  • 영문 : -
연구책임자 신용하(서울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4-03-12 ~ 1985-10-28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사회사적 관점에서는 전근대사회로부터 근대사회로의 발전의 가장 큰 전환점은 사회신분제도의 폐지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역사적 과제가 1894년 갑오경장에 있어서의 신분제 폐지로 일단  성취되었으나 이에 대한 본격적 학술 연구가 아직 없었다. 이 연구는 갑오경장의 사회신분제도 폐지를 분석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배경

 

 갑오경장에 대해서는 규장각 도서 중에 당시의 자료가 상당하게 남아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제 1차 자료들을 사용하고, 사회사적 사회학적 시점을 응용하여 실증적 연구와 함께 사회학적 접근을 추구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제1차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고, 문헌고증을 철저히 한다.

2) 여기에 그치지 아니하고 사회학 이념과 사회학적 방법을 응용하여 이념적 해석을 병행한다.

3) 한국사회사의 체계화에서 사회신분제의 폐지가 갖는 의미를 사회사적으로 해석한다.

 

연구 내용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장을 설정하여 분석한다.

1) 19세기 중엽 사회신분제의 구조

2) 사회신분제 폐지 운동의 두 개의 흐름

3) 집강소에 있어서의 동학농민의 신분제 폐지

4) 군국기무처에서의 개화파의 신분제 폐지

5) 개화파와 농민의 두 흐름의 합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