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공지 상세: 행사명, 행사종류,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행사기간, 행사상태, 신청방법, 접수기간, 참가정원/상태, 문의처, 문의전화, 문의 이메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행사명 장서각 고문서 학술대회 개최
행사종류 학술활동/강좌
작성자 장서각 등록일 2023-11-08 조회수 849
행사기간 2023-11-17 ~ 2023-11-17 행사상태
신청방법
접수기간 참가정원/상태 정보없음
문의처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문의 전화 031-730-8847 문의 이메일 hon0418@aks.ac.kr
첨부파일

2023년도 장서각 고문서 학술대회 <고문서와 지역 사회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고문서연구실)에서는 지난 2년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 걸친 12명의 연구자가 모여 수행한 공동연구의 성과를 공개하고, 학계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바쁘시더라도 참석하시어 유익한 학문 토론의 장이 되기를 바랍니다.

 

 

 

1. 주제: 군포 속달마을과 동래정씨가 고문서  -정난종 종택의 역사와 인물 그리고 공간-

 

2. 일시: 2023. 11. 17. (금) 10:00~17:00

 

3. 장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층 강의실

 

4. 문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허원영(031-730-8847, hon0418@aks.ac.kr)

 

[1345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23 Haogae-ro,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http://jsg.aks.ac.kr/s (031)730-8847  2023년도 장서각 고문서 학술대회 <고문서와 지역 사회 2>군포 속달마을과 동래정씨가 고문서 - 정난종 종택의 역사와 인물 그리고 공간 -2023년 11월 17일(금) 10:00~ 17:0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강의실

2023년도 장서각 고문서 학술대회 <고문서와 지역 사회 2) 군포 속달마을과 동래정씨가 고문서- 정난종 종택의 역사와 인물 그리고 공간-초대합니다. 안녕하십니까. 깊어가는 가을날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고문서 사업의 성과를 나누기 위한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1978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개원과 더불어 시작한 장서각의 고문서 사업이 어느덧 45년이 지나고 있습니다. 몇 해 전부터 장서각은 <고문서와 지역 사회〉라는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번에 개최하는 "군포 속달마을과 동래정씨가 고문서" 학술대회는 지난해의 "진주 마진마을과 재령이씨가 고문서"에 이은 두 번째 프로젝트입니다. 군포 속달마을의 동래정씨가는 조선전기의 이름난 문신으로, 문장과 서예로도 유명한 정난종(1433~1489)의 종가입니다. 동래정씨가는 정난종의 사패지이기도 한 속달 일대에 정난종의 묘소를 조성하고 그 장자 정광보(1457~ 1524)가 거처를 마련한 이래 현재까지 500년 이상을 속달마을에 세거해 왔습니다. 현재 속달마을에는 동래정씨가의 묘역과 종택이 현전하며, 4천여 점의 전적과 유물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장서각은 2000년대 초 해당 자료들을 조사, 수집하였 으며, 지난 2015년에 후손들로부터 기증받아 안전하게 관리, 연구해 오고 있습니다. 동래정씨가의 종택과 묘역. 그리고 전적과 유물들은 500년 명가의 진모를 보여 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장서각은 지난 2년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 걸친 12명의 연구자가 함께 모여 공동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그간 공동연구의 성과를 공개하고, 학계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학술대회를 통하여 다듬어진 성과는 내년에 완성된 연구 결과물로 공개 될 예정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참석하시어 유익한 학문 토론의 장이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프로그램 개회 사회 : 허원영 | 한중연 장서각 9:40~10:00 등록 10:00~10:20 개회 인사 말 전용훈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 경과보고 정수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실장 제1부 군포 속달 동래정씨가의 전적과 유물 사회 : 정수환 | 한중연 장서각 10:20~10:40 발표1 군포 속달마을과 정난종 종택의 고문서 발표자 : 허원영 | 한중연 장서각  10:40~11:00 발표2 군포 동래정씨 동래부원군 정난종 종가 소장 전적의 현황과 내용 발표자 : 이혜정 | 한중연 장서각 11:00~11:20 발표3 조선 후기 관복 연구 군포 속달마을 유물을 중심으로-발표자 : 이민주 | 한중연 전통한국연구소 11:20~11:40 발표4 군포 속달 동래정씨 동래부원군 정난종 종가의 유물류 현황과 보존처리의 실제 발표자 : 성연심 | 한중연 장서각 11:40~12:00 발표5 군포 정난종 종택 소장 동래군필적(포※8)>의 서예사적 가치 발표자 : 유지복 | 전주대학교 12:00~13:30 중식 제2부 동래정씨가의 인물과 공간 사회: 심영환 | 한중연 장서각 13:30~13:50 발표6 동래정씨 인물의 정치적 활동과 문중의 입지 발표자 : 김지영 | 서울대학교 13:50~14:10 발표7 군포 속달 동래정씨 정난종 종가의 과거 발표자 : 이재옥 | 한중연 장서각 14:10~14:30 발표8 덕원부사 정학(8부)과 어목규도(**트) -「춘성록(#8)」을 중심으로- 발표자 : 이은진 | 한중연 장서각 14:30~14:50 발표9 「주영편(*M)」과 「현동실유고(호(미호:0),를 통해 본 정동유(&5.)의 사상적 특징 발표자: 배다빈 | 영남대학교 14:50~15:00  15:00~15:20 중간휴식 발표10 조선후기 사대부가의 건축적 특징에 대한 고찰 - 군포 속달 동래정씨 정난종 종택을 중심으로-발표자 : 이동범 | 지유건축사사무소 한옥연구소 15:20~15:40 발표11 동래정씨 정난종 종택과 선산의 풍수 발표자 : 이호선 | 한양대학교 15:40~16:00 발표12 사패지에서 공유지로 발표자 : 이민재 | 국립목포대학교 16:00-16:10 중간휴식 제3부 공동연구 집담회 좌장: 정수환 | 한동연 정서리 16:10~17:00 공동연구진 : 김지영, 배다빈. 성연심, 이동범. 유지복, 이민재, 여민주, 이은진 이재옥, 이혜정, 이호선, 허원영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2025년 미국 교과서 전문가 초청 한국문화연수
이전글 2023년 모로코 교과서 전문가 초청 한국문화연수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