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변한지역 초기 목관묘문화기의 물질문화와 네트워크
  • 저자 오강원・이성주・허준양・이양수・김일규・박경민
  • 발행일 2023-10-20
  • 판형 46배판
  • 쪽수 208쪽
  • ISBN 979-11-5866-722-1, 93910
  • 정가 18,000원
  • 분류 역사  >  한국사
  • 구입처 교보문고 예스24  

도서 소개

기원전 2세기 후반부터 기원 전후한 시기까지 진·변한지역은 물질문화 차원에서 심원한 변화를 겪었다. 일정한 경관에 기념물적 석축 분묘를 배치한 선대의 전통이 저물고, 청동기와 더불어 철부를 부장한 목관묘가 집단화된 형태로 출현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 책은 이 같은 진·변한지역의 물질문화 변동기를 초기 목관묘문화기로 잠정하고, 크게 청동기, 토기, 철기로 나누어 그 변화 과정을 추적한다. 이때 같은 시기 중국에서 고대국가가 성장하고 인접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해 가면서 동북아 내 새로운 사회문화적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었음을 주목한다. 이로써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단순 전파와 수용으로 일정 지역의 문화 변동을 설명하던 기존의 방법론을 뛰어넘어, 이 책은 동북아지역 집단 내 이동, 접촉, 전달, 수용의 상호작용 속에서 진·변한지역 초기 목관묘문화기를 구명한다.

 

저자 소개

오강원. 한국고고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 「경기~강원지역 동검 부장묘의 연대와 성격: 직인계동검과 세형동검」(2021), 「남한지역 세형동검의 출현과 전개」(2020), 「비파형동검을 통하여 본 기원전 8~7세기 요동 북부 지역 청동기 제작 기술과 지역간 기술 교류」(2013), 「비파형동검~세형동검 T자형 청동제검병의 형식과 시공간적 양상」(2003) 등이 있다.

이성주. 한국고고학 전공,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 『청동기·철기시대 사회변동론』(2007), 『한반도의 흙, 도자기로 태어나다』(2010, 공저), 『토기제작의 기술혁신과 생산체계』(2014), 『영국 철기시대 사회』(2017, 역서), 『이론고고학』(2019, 역서) 등의 논저가 있다.

허준양. 한국고고학 전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한국식 청동무기의 동북아지역 전개』(2021), 「한국 청동무기의 형식분류와 연구 동향」(2021), 「다뉴세문경의 출현과 사용」(2023) 등의 논저가 있다.

이양수. 한국고고학 전공, 국립청주박물관 관장. 「韓半島 三韓·三國時代 銅鏡의 考古學的 硏究」(2010), 「익산 평장리 출토 동경으로 본 고조선과 전북」(2022), 「경주 탑동 목관묘 출토 청동기로 본 대외관계와 피장자의 성격」(2022) 등의 논저가 있다. 

김일규. 한국고고학 전공, 부산대학교 강사. 『백제 고고학 편년 연구』(2015), 「금관가야 고분 출토 외래유물의 성격과 의의」(2018), 「평장리 출토 漢鏡을 통한 세형동검문화기의 기년 연구」(2019), 「集安 출토 高句麗 捲雲文 瓦當의 편년 재론」(2020) 등의 논저가 있다. 

박경민. 한국고고학 전공,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관. 「탐라의 형성과 고고자료의 상관관계 연구」(2018), 「사회진화담론과 이원론적 사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무문토기시대 연구경향을 중심으로」(2021), 「청동기시대 도시고고학의 시론적 검토」(2022) 등의 논저가 있다.

목차

진·변한지역 초기 목관묘문화기의 세형동검과 네트워크: 동검, 검병두식, 검초의 조합 관계를 중심으로│오강원

1. 머리말

2. 주요 유적의 획기와 편년

3. 세형동검과 조합유물의 조합 양상과 전개

4. 동검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

5. 맺음말

 

진·변한 목관묘 초기 토기 제작기술의 변동과정│이성주

1. 머리말

2. 문제의 제기와 변동의 모델

3. 신기술 수용과 확산의 맥락과 양상

4. 와질토기 생산의 기술혁신

5. 맺음말

 

영남지역 동모의 성립과 네트워크: 동 시기 제품과 겸하여│허준양

1. 머리말

2. 한국의 동과, 동모 분류

3. 동과, 동모의 성립과 전개

4. 영남지역 동과, 동모의 네트워크

5. 맺음말

 

진·변한-왜를 연결하는 전한경의 유통│이양수

1. 머리말

2. 연구소사

3. 대상자료의 시기구분

4. 교역망의 지역별 양상

5. 교역망의 연결

6. 맺음말

 

영남지역 목관묘단계 초기의 철문화│김일규

1. 머리말

2. 영남지역 초기철기의 출현과 성격

3. 한식 철기의 유입과 철기의 보편화

4. 맺음말

 

진·변한 고대 제주의 네트워크 변화│박경민

1. 머리말

2. 제주지역 철기시대의 무문토기

3. 초기목관묘기 제주도 물질문화의 변동

4. 진·변한 및 주변지역과 제주도의 네트워크 변화

5. 맺음말

서평 및 출판사 리뷰

TITLE & AUTHOR

독자리뷰 (0)

등록
진·변한지역 초기 목관묘문화기의 물질문화와 네트워크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