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은 한국 사상가와 철학적 개념을 탐구하여 우리 안에 잠재한 사유와 문화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기획·발간한 ‘사유의 한국사’ 시리즈 중 한 권이다.
이 책은 한국 양명학(陽明學) 의 독자적 전개 양상을 다각도로 조명하며, 주자학과의 관계, 동아시아 양명학 내 위상, 현대적 의의까지 폭넓게 다룬다. 기존 철학사 중심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는 대신, 사상사적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한국 양명학의 수용·변형·비판 과정을 종합적으로 해석한다. 중국·일본과 달리 조선에서는 주자학의 강한 비판 속에서도 양명학이 성리학·실학·서학 등과 상호작용하며 특수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는 경학적 해석과 개념 재구성을 통해 가능했다. 특히 이 책은 양명학이 ‘마음’을 중심으로 한 자기 수양과 실천윤리를 강조하며, 조선과 근대 지식인들에게 경세적 이상을 제공한 점에 주목한다. 특히 박은식, 정인보 등이 양명학을 통해 시대의 위기를 돌파하고자 했던 실천적 지향은, 오늘날 신자유주의와 이성 중심주의, 공동체 해체 문제 등 현대 사회의 난제를 진단하고 대응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나아가 양명학 관련 자료의 폭넓은 발굴과 사료 연구의 확대가 향후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한정길. 양명학 전공,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양명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으며, 동아시아 양명학과 조선시대 경학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동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 『동서사상의 회통』, 『양명학연론 역해』, 『조선 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심화와 대안』, 「하곡 정제두 예론의 양명학적 성격에 관한 연구」, 「위당 정인보의 실심 감통과 경세제민」, 「하곡 정제두와 소론계 주자학자들의 양명학 논변」 등이 있다.
1장 서론: 한국 양명학,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2장 양명학의 형성과 사상적 특성
1. 양명학 형성의 사회정치적 기반과 학술적 배경
2. 왕수인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지향
3. ‘용장오도’의 실질과 함의
4. 양명학의 주요 이론과 경세사상적 함의
5. 양명학의 특성과 사상사적 의의
3장 조선 성리학의 심학화와 양명학 수용
1. 조선 성리학의 심학화
2. 양명학의 조선 전래
3. 화담학파의 양명학 수용
4장 조선의 정치문화와 양명학 비판
1. 양명학 비판 담론의 형성 배경
2. 양명 심학에 대한 이황의 규정과 계보학적 이해
3. 이황의 양명학 비판
4. 유성룡의 양명학 비판
5. 양명학 비판의 의의와 한계
5장 양란 전후 문인 관료의 양명학 이해
1. 이수광의 양명학 인식
2. 최명길의 양명학적 공부론과 경세사상
3. 장유의 양명학 이해
6장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
1. 자유로운 학문 정신의 소유자
2. 소론계 주자학자들과의 양명학논변
3. 생리설에 기초한 정제두의 심학
4. 정제두의 『대학』 이해
5. 정제두의 경세사상
7장 조선 후기 실학과 양명학
1. 양득중 학문의 양명학적 성격
2. 성호학파의 양명학 인식
3. 홍대용의 양명학 이해
4. 정약용의 양명학 이해
8장 17~18세기 하곡학파의 양명학
1. 정제두 문인 제자들의 하곡학 규정과 의미
2. 윤순의 양명학적 경세론
3. 심육의 양명학 비판과 정제두 평가
4. 김택수의 양명학 긍정과 정제두 이해
5. 이광신의 왕주양가론
6. 이광사의 실학과 『대학』 이해
7. 이광려의 양명학 이해와 애민 활동
9장 18~19세기 강화학파의 양명학
1. 신대우의 양명학 이해와 철지론
2. 이영익의 양명학 인식과 격치론
3. 이충익의 양명학 이해와 패도 비판
4. 이시원의 절의 정신
5. 이건창의 자주적 개혁론
10장 근대 한국 양명학의 두 흐름
1. 박은식의 애국계몽운동과 양명학
2. 이건방의 양명학 이해와 현실 대응 방안
3. 정인보의 ‘실심 감통’의 양명학
11장 한국 양명학의 특성과 현대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