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 개요 보고서

연구결과 개요 보고서: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중점연구 / 연구·교육 연계과제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 국문 : (AKSR2020-RE04)사서(四書) 주요 문장의 축자역(逐字譯)과 문법적 분석
  • 영문 : A literal translation and syntactic parsing of the main sentences in the Four Books (四書)
연구책임자 김건곤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20200302 ~ 202008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1) 한국학대학원 한문수험교재에 실린 [경서(經書)] 84제에 대한 문법적 분석(주요 단어 및 어구 주석)을 통해 한문해득 능력을 익히도록 한다. 2) 문법적 분석에 이어서 직역 및 축자역을 통해 한문번역 능력을 기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적 학문 소양을 향상시킨다.
연구방법 및 내용 「한문문법(1)」의 수강생 35명이 강의를 통해 한문문법의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축자역 방법을 훈련한 다음, 이를 [경서] 84제에 실린 『논어』 42제, 『맹자』 29제, 『대학』 6제, 『중용』 7제의 문장에 적용하여 축자역과 문법적 분석을 하고, 교수의 지도 아래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결과물의 체재는 1) 원문, 2) 문법적 분석, 3) 현대어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論語』 抄
2. 『孟子』 抄
3. 『大學』 抄
4. 『中庸』 抄
연구결과 1) 경서의 주요 문장에 대한 문법적 분석과 축자역 연습을 통해 한문문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한문 문리를 터득할 수 있다. 2)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을 함으로써 성취감을 얻는 한편, 연구 성과물은 한국학 대학원의 신입생 및 재학생들이 입학시험과 논문제출자격시험에 대비하는 학습서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중구, 『漢文大綱』, 보고사, 2011.
김승곤, 『문법적으로 쉽게 풀어 쓴 대학‧중용』, 글모아출판, 2018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사서독해첩경』, 전통문화연구회, 2019.
류종목, 『논어의 문법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2000.
민병수, 『漢文講解』, 태학사, 1981.
성백효, 『(懸吐完譯) 論語集註』, 傳統文化硏究會, 2007.
, 『현토신역 논어집주』,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3.
, 『맹자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10.
, 『大學中庸集註』,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7
안병국, 『맹자 한문 문법의 구조 분석』, 에피스테메, 2018.
에드윈 풀리블랭크,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 궁리, 2005.
연세대학교허사사전편찬실, 『虛詞大辭典』, 성보사, 2013.
이광호‧전병수 역, 『大學中庸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18.
이기동, 『맹자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이상진, 『한문문법』, 전통문화연구회, 2014
이재토, 『영문법과 비교해서 보는 한문문법』, 좋은땅, 2018.
이종호, 『한문문법 기본상식 64』, 지성인, 2017.
임옥균, 『맹자로 문리나기 : 문법과 문장구조분석으로 보는 맹자』, 학고방, 2016.
임헌규, 『(3대 주석과 함께 읽는) 논어 1‧2‧3 (고주, 주자 집주, 다산 고금주)』, 모시는 사람들, 2020.
정태현 역, 『論語集註』 上‧下, 전통문화연구회, 2018
최완식 외, 『漢文讀解法』, 明文堂, 2000.
홍인표, 『한문문법』, 신아사, 2003.

한국학대학원, 「한국학대학원 한문시험 표준화 연구 및 수험교재 개발」 정책과제 결과보고서,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연구결과물 2020-1연구교육연계과제-사서의 축자역과 문법적 분석 결과물-redacted.pdf

연구요약문

연구요약문: 전체 연구결과 요약, 세부과제별 요약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
축자역은 표현이 매끄럽지 않더라도 원문의 글자 하나하나를 좇아서 번역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수업의 과정으로 진행한 바, 「민병수, 『한문강해(漢文講解)』(태학사, 1995)를 교재로 하여 한문의 구조와 기본문형 및 한문의 수사적 문형에 대한 강의를 통해 한문문법의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 후, 수강생들이 학습 내용을 [경서(經書)] 84제 문장에 적용하여 축자역과 문법적 분석을 하고, 교수의 지도 아래 수정·보완하였다. 연구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수강생들을 6개 조로 나누고, 각 조는 [경서] 84제를 나누어 조별로 부여된 문장의 축자역과 문법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서] 84제는 『논어』 42제, 『맹자』 29제, 『대학』 6제, 『중용』 7제이다.
연구 결과물은 크게 원문, 문법적 분석, 현대어역의 체제로 이루어졌다.
1) [원문] : 구두표기는 쉼표와 마침표만 사용하였다.(교재에 부여되어 있음)
2) [문법적 분석] : 축자역, 문법 설명, 어석(語釋)
① 『논어』는 경문(經文)과 집주(集註)를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② 『맹자』, 『대학』, 『중용』에 대한 어석은 주자 집주(자료 미선정)를 반영하였다.
③ 문장 단위로 축자역하되, 표현이 다소 어색하더라도 번역상의 순서를 살렸다.
④ 문법 용어는 민병수, 『한문강해』를 준용하되, 다른 교재도 참고하였다.
⑤ 허사의 쓰임에 주목하였다. 특히 之(대명사, 조사), 以(전치사, 접속사), 而(순접, 역접), 於(=于, 乎/ 에,
대해, ~보다), 而已矣(한정) 등에 유의하였다.
⑥ 품사와 숙어를 설명하였다. 王(동사, 왕 노릇하다), 與其A寧B(A하기보다는, 차라리 B하는 편이 낫다), 以A
爲B(A로써 B삼다), 所~者(~하는 바·것·자), 所以(방법, 까닭, 조건) 등에 유의하였다.
⑦ 난해한 구절의 번역 순서를 설명하였다. 특히 言이나 及이 구절의 앞에 나올 경우 뒤의 목적어를 걸어서 마
지막에 번역하였다.
⑧ 사역형 동사(使, 敎, 令, 俾, 遣)와 수동형 동사(見, 被, 爲~所), 그리고 의미상 사역과 수동의 어기가 있는
欲, 於의 쓰임에 유의하였다.
⑨ 가정형(若, 苟, 如, 誠, 信), 양보형(雖, 縱), 누가형(況, 非徒) 등 특수한 표현에 유의하였다.
⑩ 주요 어구(전고, 단어)를 풀이하고, 동어이음(同語異音)는 음을 달아주었다. 惡(악, 오), 易(이, 역), 復(복,
부), 更(경, 갱)
3) [현대어역]
① 현대적 어휘를 반영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필요할 경우 어순을 무시하고 의역하였다.
② 현대어법에 맞는 다양한 문장부호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경서의 주요 문장에 대한 문법적 분석과 축자역 연습을 통해 한문문장의 기초적인 구조와 맥락, 주요 숙어 및 허사의 쓰임 등 한문문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한문 문리를 터득할 수 있다. 2) 학생들이 연구사업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한문원전 접근에 대한 자신감과 학문연구에 대한 동기를 제고하고, 나아가 연구원에서 수행하는 각종 한문 관련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연구요원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3) 경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한자문화권의 배경 등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을 함양함으로써 차세대 한국학 학자로서의 연구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4)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을 함으로써 성취감을 얻는 한편, 이를 통해 이루어진 연구 성과물은 한국학대학원의 신입생 및 재학생들이 입학시험과 논문제출자격시험에 대비하는 학습서로 활용할 수 있다.
세부과제별 요약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