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중점연구 / 특정주제과제 | ||
---|---|---|---|
과제코드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심영환 | ||
공동연구자 | 정해은, 백영빈 | ||
연구기간 | 20180404 ~ 2020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1) 연구 목적 (1) 특화된 한국학 자료의 발굴과 집적 □ 군영등록은 569권에 이르는 거질(巨帙)의 병영 기록이다. □ 등록은 조선시대 관청의 문서철이다. 조선후기 연대기 자료에서 볼 수 없는 조선 후기의 사료를 발굴한다. □ 조선후기 중앙군영의 핵심인 훈련도감의 등록인 『훈국등록』의 내용과 가치를 재조명하여 한국학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2) 기록유산으로서의 『훈국등록』 가치 제고 □ 훈련도감은 주력 중앙 병영이므로, 조선후기 국방 정책 및 운용 과정을 상세히 알 수 있는 기록유산이다. □ 『훈국등록』에는 군영의 경제에 관련된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다. 군영의 경제는 조선 경제의 주요 부분이므로, 조선후기 경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유산이다. □ 『훈국등록』의 300년간 기록은 중앙 병영의 기록이며, 군병이 새로운 한양 주민으로 살아간 삶의 현장 기록이므로 한양의 지리·문화 지형도를 그릴 수 있는 기록유산이다. (3) 역주를 통한 고전 자료의 현대적 의미 발굴과 활용 □ 정서본은 인터넷 서비스를 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원문의 번역만이 아니라 상세한 주석을 붙여서 학술자료의 대중화와 지식 공유 기반을 넓히고자 한다. □ 『훈국등록』 역주로 새로운 사료를 발굴하여 조선 후기의 다각적 심층 연구 활성화시킬 토대를 마련한다. □ 『훈국등록』 역주로 새로운 콘텐츠를 축적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한류를 촉진한다. 2) 연구 배경 (1) 새로운 한국 사회사 자료의 발굴 필요성 □ 조선왕조의 군영등록을 기록한 군사 조직인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 등은 16세기 후반기~17세기 전반기 동북아시아의 격변기를 배경으로 하여 성립되었다. 군영등록에는 임진왜란과 명·청 교체기를 지나며 형성된 국방 강화와 평화 유지라는 시대적 요구가 반영되어 있으며 동북아시아의 역사상 시사하는 바가 큰 기록이다. □ 『훈국등록』은 국내 유일본으로 정치·외교·군사·사회·경제·문화 분야를 망라하는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연대기 자료에 자주 등장하지 않는 ‘군인’을 매개로 이루어진 조선 후기 사회 생활상을 구체적으로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사회사·생활사·문화사의 자료이다. (2) 자료 접근의 용이성과 공유 요구 □ 『훈국등록』은 거질에다 초서(草書, cursive script)로 되어 있어 자료 활용이 쉽지 않았다. 원문 자료는 인터넷 열람이 가능하지만, 자료 접근이 제한적이다. □ 이에 초서를 탈초하여 정서본을 제공하고 한글로 번역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가공하여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3)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풍부한 연구경험과 인프라 활용 □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방대한 고전 자료의 연구 성과를 축적하였고, 정확하고 수준 높은 탈초·번역이 가능한 우수 인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일반 대중의 눈높이에 맞춘 『훈국등록』 역주 이외에도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 전문 연구자가 공동으로 심화연구를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1) 연구팀 구성 □ 본원 연구원, 외부 전문가, 연구보조원으로 연구팀 구성한다. □ 연구팀의 주축은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2명, 연구보조원 2명 등 5명이다. □ 연구팀은 탈초 교열 및 표점, 역주, 역주 교열로 역할을 분담하여 수행한다. □ 탈초 교열 및 표점, 역주의 일부는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킨다. □ 연구보조원 2명은 탈초 교열 및 표점과 역주 의뢰, 원고 수합, 역주 원고 교정·교열, 책 발간 보조 업무 등을 수행한다. (2) 연구 수행 절차 □ 탈초 교열 및 표점 〇 탈초 교열 및 표점은 외부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〇 공동연구원이 검수 및 교정을 담당한다. 〇 교열된 텍스트를 역주에 활용하면서 최종 탈초 교열 및 표점 원고를 완성한다. □ 역주 〇 역주는 본 연구팀 3명과 외부 전문가가 담당한다. 〇 본 연구팀은 매주 1회 『훈국등록』 강독회를 통해서 역주 용어와 내용에 대해 검토 토의 한다. 〇 역주원고의 교정 교열과 주석 검토 보완은 본 연구팀에서 담당하여 역주의 질을 높이며, 번역지침도 보완 수정한다. 〇 공동연구원이 최종 원고를 검수한다. (3) 연구내용 1 : 『훈국등록』 탈초 교열 및 표점 원고 완성 □ 연구 대상 : 2014년~2017년 4년간 연구 수행으로 『훈국등록』(K2-3398) 1책, 『훈국등록』(K2-3399) 1책, 『훈국등록』(K2-3400)의 권1~권22의 탈초 교열 및 표점이 이미 완료되었다. 2018년~2020년의 작업 분량은 다음과 같다. 〇 2018년 : K2-3400 권23~권27[5책] / 1723년(경종3), 1728년(영조4), 1730년(영조6)~1731년(영조7) 〇 2019년 : K2-3400 권28~권32[5책] / 1742년(영조18), 1746년(영조22)~1747년(영조23), 1749년(영조25), 1751년(영조26) 〇 2020년 : K2-3400 권33~권37[5책] / 1768년(영조44), 1782년(정조6)~1784년(정조8) (3) 연구내용 2 : 『훈국등록』 역주 원고 완성 □ 연구대상 : 2014년~2017년 4년간 연구 수행으로『훈국등록』(K2-3398) 1책, 『훈국등록』(K2-3399) 1책, 『훈국등록』(K2-3400)의 권1~권15까지 역주가 이미 완료되었다. 2018년~2020년의 작업 분량은 다음과 같다. 〇 2018년 : K2-3400 권16~권21 6책 / 1711년(숙종37), 1713년(숙종39)~1715년(숙종41), 1718년(숙종44)~1719년(숙종45) 〇 2019년 : K2-3400 권22~권27 6책 / 1720년(숙종46), 1723년(경종3), 1728년(영조4), 1730년(영조6)~1731년(영조7) 〇 2020년 : K2-3400 권28~권33 6책 / 1742년(영조18), 1746년(영조22)~1747년(영조23), 1749년(영조25), 1751년(영조26), 1768년(영조44)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훈국등록』 탈초 교열 및 표점 원고 완성 : K2-3400 권23~권37[15책] 성과 달성 완료 □ 『훈국등록』 역주 원고 완성 : K2-3400 권16~권33[18책] 성과 달성 완료 |
||
참고문헌 | 金淇森·柳承宙·潘允洪, 1999, 『全羅兵營史 硏究-康津兵營城과 하멜 留址攷硏-』, 조선출판부. 金友哲, 2000, 『朝鮮後期 地方軍制史』, 경인문화사. 김종수, 2003, 『조선후기 중앙군제 연구』, 혜안. 김 홍, 2001, 『한국의 군제사』, 학연문화사. 배항섭, 2002, 『19세기 조선의 군사제도 연구』, 국학자료원. 方相鉉, 1991, 『朝鮮初期 水軍 制度』, 민족문화사. 徐台源, 1999, 『朝鮮後期 地方軍制 硏究-營將制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심승구, 1994, 『조선전기 무과연구』, 국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梁銀容 ·金德洙 편, 1992, 『壬辰倭亂과 佛敎義僧軍』, 경서원 유동호, 2014, 『朝鮮後期 地方軍制의 變化와 下三道兵營運營』,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尹薰杓, 2000, 『麗末鮮初 軍制改革 硏究』, 혜안. 정해은, 2012, 『조선후기 무과급제자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車文燮, 1973, 『朝鮮時代 軍制 硏究』, 檀國大學校出版部. 陸軍士官學校韓國軍事硏究室 편, 1977, 『韓國軍制史 ; 近代朝鮮後期篇』, 陸軍本部. 崔孝軾, 1995, 『朝鮮後期 軍制史 硏究』, 新書院 李謙周, 1970, 「朝鮮後期 束伍軍-그成立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許善道, 1973, 「鎭管官兵編伍冊(上)」, 『국회도서관보』10권 제4호,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許善道, 1973, 「鎭管官兵編伍冊(中)(完)」, 『국회도서관보』10권 제5.6호,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李昇求·金容泰·明烱植·金容郁·羅用植, 1976, 「韓國 法制史 硏究(朝鮮朝篇)」, 『원광대학교 논문집』 제10집, 원광대학교, 191~276쪽. 鄭萬祚, 1977, 「朝鮮後期의 良役變通論議에 對한 檢討」, 『동대논총』7집, 동덕여자대학교, 5~29쪽. 許善道, 1981, 「〈陣法〉考-朝鮮前期의 中央軍制를 槪觀하고 同書名〈兵將圖說〉의 잘못을 바로잡음-」, 『軍史』제3호,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32~157쪽. 車文燮, 1981, 「朝鮮後期 中央軍制의 再編」, 『韓國史論』9, 국사편찬위원회, 38~84쪽. 閔賢九, 1983, 「朝鮮初期의 軍事制度와 政治」, 『韓國硏究叢書』제46집, 韓國硏究院. 李喜寬, 1987, 「高麗末·朝鮮初 前銜官·添設官에 대한 土地分給과 軍役賦課」, 『高麗末朝鮮初 土地制度史의 諸問題』,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97~136쪽 趙 珖, 1988, 「朝鮮後期 實學者의 軍制改革論」, 『東洋學』제18집,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4~54쪽 金京美, 1988, 「麗末鮮初의 水軍에 관한 一硏究-倭寇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河且大, 1989, 「朝鮮初期 軍事政策과 兵法書의 發展」, 『軍史』제19호,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35~66쪽. 金甲周 1989, 「朝鮮後期의 僧軍制度」, 『용암차문섭교수화갑기념논총 조선시대사연구』,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57~78쪽. 崔孝軾, 1992, 「朝鮮顯宗代의 軍事政策」, 『경주사학』11집, 경주사학회, 161~199쪽. 李謙周, 1992, 「壬辰倭亂前 朝鮮의 國防實態」, 『韓國史論』22집, 국사편찬위원회, 27~48쪽 尹薰杓, 1993, 「高麗末朝鮮初期 兵器의 製造 및 管理體系에 관한 硏究 ; 軍制改編과 聯關해서」, 『동방학지』77, 78, 79합집, 연세대 국학연구원, 253~305쪽. 尹薰杓, 1993, 「朝鮮初期 別侍衛 硏究;麗末鮮初 軍制 改編과 關聯하여」, 『국사관논총』43, 국사편찬위원회, 1~48쪽. 鄭淸柱, 1993,「全羅 左水營의 역사」, 『전라좌수영의 역사와 문화』, 순천대박물관, 9~24쪽. 李志雨, 1995, 「朝鮮初期巡綽의 實態와 推移」, 『慶大史論』제8집, 慶南大學校 史學會, 55~94쪽. 차문섭, 1996, 『조선시대 군사관계 연구』, 단국대출판부. 金鍾浩, 1996, 「조선전기 영동지방의 진관체제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鄭海恩, 1996, 「藏書閣 所藏의 조선후기 軍制 관련자료에 대한 검토」, 『韓國學大學院論文集』 11집, 韓國精神文化硏究院, 45~64쪽. 김종수, 1996, 「朝鮮後期 訓鍊都監의 設立과 運營」, 서울대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李弘斗, 1997, 「束伍軍을 통해 본 朝鮮後期 賤人의 身分運動」, 『軍史』 第34號, 國防軍史硏究所, 103~124쪽. 金春和, 1997, 「朝鮮初期 補充軍의 설치와 재편」, 『한국중세사연구』 제4호, 한국중세사학회, 194~232쪽. 諸忠琪, 1997, 「여말선초 수군제도의 정비에 관한 일고찰」, 慶南大 석사학위논문 金鍾洙, 1998,「17세기 訓鍊都監 軍制와 都監軍 활동」, 『조선후기 서울의 사회와 생활』,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155~195쪽. 吳宗祿, 1998, 「朝鮮前期 軍事史 硏究의 現況과 課題」, 『軍史』 第36號, 國防軍史硏究所, 73~99쪽. 裵亢燮, 1999 「壬午軍亂 前後의 國防政策과 軍事制度」, 『韓國軍事史硏究』 2, 國防軍史硏究所, 131~202쪽. 전철기, 1999, 「여말선초의 사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尹薰杓, 2000, 「朝鮮初期 ‘軍官’의 機能變化」,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河炫 綱敎授定年紀念論叢-』, 河炫綱敎授定年紀念論叢刊行委員會, 307~342쪽. 金友哲, 2000「朝鮮後期 地方軍制의 變遷에 관한 硏究」, 『國史館論叢』93, 國史編纂委員會, 29~70쪽. 최효식, 2000, 「藏書閣 소장 자료의 軍制史的 의미」, 『藏書閣』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85~125쪽. 정해은, 2000, 「장서각 소장 군영등록류의 자료에 관한 기초적 검토」, 『장서각』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27~155쪽. 金鍾洙, 2001, 「朝鮮初期 府兵制의 改編」, 『歷史敎育』 第77輯, 歷史敎育硏究會, 33~63쪽. 권내현, 2002, 「조선후기 평안도 방어체제의 정비와 이완」, 『史學硏究』69, 韓國史學會, 79~106쪽. 김우철, 2003, 「朝鮮後期 江原道 地方軍制의 변천」, 『朝鮮時代史學報』24, 朝鮮時代史學會, 185~207쪽. 徐台源, 2003, 「朝鮮後期 實學者의 中央軍制改革論」, 『軍史』 49, 國防部軍史編纂硏究所, 119~154쪽. 林容漢, 2004, 「14~15세기 喬桐의 군사적 기능과 그 변화」, 『인천학연구』3, 인천대인천학연구원, 1~29쪽. 吳宗祿, 2004, 「조선시기 군사사 연구의 동향-2001~2004-」, 『軍史』53, 國防部 軍史編纂硏究所, 329~359쪽. 김성윤, 2006, 「『홍범연의』의 정치론과 군제개혁론-葛庵 李玄逸을 중심으로 한 조선후기 영남 남인의 실학적 경세론-」, 『대구사학』83, 대구사학회, 105~134쪽 황의천, 2007, 「朝鮮時代 忠淸水營과 屬鎭의 위치에 대한 고찰」, 『保寧文化』 16, 보령문화연구회, 142~160쪽. 임용한, 2011,「고려ㆍ조선전기의 부병제」, 『역사문화연구』40, 한국외국어대 역사문화연구소, 87~120쪽. 정해은, 2013, 「군영등록은 어떻게 장서각으로 왔을까?」, 『장서각』30, 한국학중앙연구원, 404~420쪽. 김종수, 2015, 「훈련도감 설치 및 운영의 동아시아적 특성」, 『장서각』33, 한국학중앙연구원, 26-58쪽. 노영구, 2015, 「중앙 군영과 지방군을 통해 본 조선후기 국방체제의 변화 양상」, 『장서각』33, 한국중앙연구원, 60~85쪽. 심재우, 2015, 「『훈국등록』 인조~영조대 상언에 대한 연구」, 『장서각』33, 한국학중앙연구원, 86~117쪽. 정구복, 2015. 「장서각 소장 군영등록의 성격과 가치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대한 제언」, 『장서각』33, 한국학중앙연구원, 10~25쪽. 김종수, 2016, 「조선후기 중앙군제의 운영과 숙종대 양반충군론」, 『군사연구』, 육군군사연구소, 83~111쪽. 김종수, 2016,「조선의 왕권과 숙종초기 도체찰사부」, 『군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61~202쪽. 노영구, 2017, 「조선후기 전술변화와 중앙 군영의 편제 추이」, 『군사연구』, 육군군사연구소, 27~55쪽. |
전체 연구결과 요약 | |
---|---|
본 과제는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훈국등록』(K2-3400) 91책을 대상으로 탈초 교열 및 표점과 역주를 수행하고자 한다. 『훈국등록』은 조선후기의 약 300여 년간 병영기록이이며, 군병의 일상사 기록임과 동시에 성장하는 도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중요하다. 『훈국등록』은 현재 원전 자료 40책까지의 탈초문이 ‘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표점(標點)이 없고, 오자(誤字)가 많아 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역주 작업을 진행하여 인접 분야 연구자와 문화산업 종사자, 일반대중의 자료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연구 결과 『훈국등록』K2-3400 권23~권37[15책]까지 탈초 교열 및 표점 원고 완성했으며, 『훈국등록』K2-3400 권16~권33[18책]까지 『훈국등록』 역주 원고를 목표한 바대로 완성했다. | |
세부과제별 요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