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TORY
조선시대식 보드게임?! 승경도놀이·승람도놀이
  안녕하세요~ 한국학중앙연구원 K-STORY 기자단입니다.
  우리는 민속놀이하면 제기차기, 투호놀이, 윷놀이 등을 가장 먼저 떠올리고는 하는데요, 과거에도 오늘날 보드게임과 같은 놀이가 존재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오늘은 조선의 잘 알려지지 않은 민속놀이, 승경도놀이와 승람도놀이를 소개하겠습니다.
두 놀이 모두 주로 중류층 가정 이상의 남자아이 또는 젊은이들이 즐겨 한 놀이인데요, 대개 5~6명이 참여하였습니다.
승경도놀이

  옛 벼슬 이름을 종이에 도표로 그려 놓고 윤목(輪木)이나 주사위를 던져 누가 가장 먼저 높은 관직에 오르는가를 겨루는 놀이로, 종경도(從卿圖)·종정도(從政圖)·승정도(陞政圖)·승관도(勝官圖) 놀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승경도놀이는 조선 초기 관료제의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말판놀이를 응용해 만든 것인데요,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높은 벼슬에 오르고 싶은 욕망을 놀이를 통해 대리 충족시킬 목적으로 양반 자제들 사이에서 널리 유행하였습니다. 또한 조선시대 관리는 중앙과 지방을 합해 모두 3,800명을 넘지 않았지만 등급이 많고 칭호와 상호관계가 매우 복잡하였기 때문에 양반집에서는 어릴 때부터 이러한 관직에 대한 체계적인 관념을 자제들에게 익히게 하기 위해 이 놀이를 장려하였다고 합니다.
  먼저 놀이를 하기에 앞서 승경도, 윤목, 말이 필요한데요,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승경도는 ‘벼슬살이하는 도표’를 의미합니다. 대개 가로 80㎝, 세로 120㎝ 정도의 두꺼운 장지에 바둑판형으로 적게는 80, 많게는 300여 개의 칸을 만들고, 그 안에 관직과 이동할 칸의 수와 방향을 써넣어 만듭니다. 남은 공간에는 놀이의 규칙을 기입하였습니다.
  벼슬자리의 수와 써넣는 방법은 다양한데, 벼슬자리의 수를 모두 다 써넣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하면 놀이에 긴장감이 없고 지루해질 수 있기 때문에 도표의 크기에 따라 주요 관직만을 적당히 배치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방으로는 외직인 8도의 감사·병사·수사·주요 고을의 수령을 배치하고, 중앙부의 첫 꼭대기에는 정1품을, 그다음에 종1품을 차례대로 늘어놓아 맨 밑에는 종9품이 오게 합니다.
  윤목은 막대형과 주사위형이 있습니다. 막대형은 위의 사진처럼 약 10∼15㎝ 길이의 막대를 오각기둥 형태로 깎고, 각각의 모서리에 하나에서 다섯까지의 눈금을 새겨 넣습니다. 주사위형인 경우에는 나무를 정육면체로 깎고, 각 면에 품행이나 행동을 나타내는 글자를 새겨 숫자 대신 사용하였습니다. 이를 윷으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말은 일정한 형태가 없이 아무것이라도 좋으나 구별이 쉽도록 색을 달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붉은색, 푸른색, 노란색, 흰색, 그리고 누런 바탕에 붉은 테를 두른 말이 사용되었습니다.
승람도놀이

  우리나라의 명승지를 적어놓은 놀이판에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숫자대로 유람을 다니다가 가장 먼저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사람이 이기는 놀이로, 남승도(覽勝圖)놀이라고도 불립니다. 먼저 놀이를 하기 위해서는 놀이판인 승람도, 숫자팽이, 말 등이 있어야 하는데요,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승람도는 가로 1m, 세로 70~80cm 정도의 두꺼운 장지에 바둑판형으로 200여개의 칸을 만들고, 그 안에 전국의 명승지와 이동할 칸의 수와 방향을 써 넣어 만듭니다. 남은 공간에는 놀이의 규칙을 기입하였습니다. 한가운데 배치된 서울에서 출발하여 경기도의 서부로부터 충청, 경상, 전라, 황해, 평안, 함경, 강원, 경기도의 동부와 같은 순서로 가장 먼저 한 바퀴 돌아오는 사람이 이기는데요, 경기자의 신분, 명승지의 내용과 일정 등은 도판을 만드는 사람에 따라 약간씩 달랐습니다.
  숫자팽이는 아래쪽을 팽이처럼 만들고 위쪽을 여섯 모 지도록 깎아 1~6까지의 숫자를 새겨 놓은 것인데, 주사위나 윤목을 대신 사용하기도 합니다.
  말은 아무것이라도 좋으나 구별이 쉽도록 색이나 형태가 다른 것들을 사용하였습니다.
1.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세시풍속사전, "승람도놀이",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4384
2.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세시풍속사전, "승경도놀이",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1565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남승도놀이",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989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승경도놀이",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155
"K-STORY"는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식 블로그/YouTube에 담긴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코너입니다. 앞으로 저희 기관 SNS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