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포럼

“한국학 연구 동향 분석”

    - 2007~2023년 선정된 한국학진흥사업단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

저자 사진
정미량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정책실
책임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처 연구정책실에서는 한국학 연구 정책 기획을 위해 ‘2007~2023년 선정된 한국학진흥사업단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를 대상으로 한국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한국학진흥사업단 국내한국학사업은 정부의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기획 지원을 통해 ‘국내한국학’ 발전 및 그 세계적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I. 분석 대상


   분석 대상은 한국학진흥사업단 사업 중 연구지원 대상이 국내대학 및 국내연구기관으로 한정된 국내한국학사업 분야의 연구과제로 국한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과제 건수는 아래와 같다.

표1

[표 1] 분석 대상 연구과제 건수(2007~2023)


II. 분석 내용


   분석 내용은 일반적 지원 현황(연구과제 선정 및 연구비 지원), 연구 참여인력 특성, 연구 내용 동향(연구분야 및 연구시기) 등이다. 이를 차례로 살펴보자.

   첫째, 일반적 지원 현황이다. 2007년-2023년 국내한국학사업에 선정된 연구과제는 총 413건으로써 연도별 평균 24건을 선정하였다. 선정건수의 연도별 및 사업별 추이는 아래와 같다.


그림1

[그림 1] 국내한국학사업 연도별 연구과제 선정건수 추이(2007-2023)

그림1

[그림 2] 국내한국학사업별 연구과제 선정건수(2007-2023)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에 17년(2007년-2023년) 동안 연구비 총 2,408억원을 지원함으로써 연평균 약 141억원을 지원하였다. 연구과제당 평균 연구비는 5.83억원이다.


   둘째, 연구 참여인력의 특성이다. 2007-2023년 선정된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참여인력은 총 2,332명이다. 연구과제당 평균 참여인력은 약 5.6명이다. 연구 참여인력 중 국외기관소속 인력은 총 124명으로 전체 인력의 5.3%를 차지한다. 아래는 국외기관소속 참여인력의 소재 국가이다.


표1

[그림 3]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국외기관소속 참여인력 국가 현황(2007-2023)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공동과제는 307건으로 전체 연구과제의 74.3%를 차지한다.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사업별 참여인력 특성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표1

[표 2]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 사업별 참여인력 특성(2007-2023)

   셋째, 연구 내용의 동향이다. 2007년-2023년 국내한국학사업에 선정된 연구과제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인문학 분야 253건(61.3%), 사회과학 분야 120건(29.0%), 예술·체육학 분야 36건(8.7%), 기타 분야 4건(1.0%)이다.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대/중분류 체계에 따른 연구분야 구분은 아래와 같다.


표1

[표 3]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 대/중분류 연구분야 현황(2007-2023)     (단위: 건수)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 소분류 연구분야 건수는 정치사가 압도적으로 다수이다. 그 다음이 사회사, 국제관계사, 문화사, 사상사, 기록관리 등의 순이다. 특히 소분류 연구분야 중 기록관리, 국문학사, 디아스포라 관련 연구과제가 많다는 점은 한국학진흥사업단에서 기획한 연구주제가 무엇인지를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소분류 체계 연구분야 건수 순위는 아래와 같다.


표1

[그림 4]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소분류 연구분야 건수 순위(2007-2023)


   또한, 2007년-2023년 국내한국학사업에 선정된 연구과제의 연구 대상 시기는 아래와 같이 ‘조선’과 ‘현대’가 각각 25.7%, 근대 22.5%, 기타 13.8%, 고대 7.0%, 선사 3.6%, 고려 1.7%의 점유율을 보인다.


표1

[표 4]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연구시기 현황(2007-2023)     (단위: 건수)


III. 분석 결과


   한국학진흥사업단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의 연구 동향은 기획을 통해 장기적이고 대규모로 진행되어야 할 자료수집, 번역, 사전, 교육자료, 총서 등을 편찬하고 DB화하여 공유하는 기초 연구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과제의 규모를 보면 중장기적인 대형과제가 많다. 한국학진흥사업단 국내한국학사업을 통해 2007년부터 2023년까지 선정한 연구과제 건수는 총 413건으로 연평균 약 24건이다. 각 연구과제의 연구기간은 대체로 2-10년이다. 이를 통해 지출된 연구비는 총 2,408억원이며, 연구과제당 평균 연구비는 5.83억원에 이른다.


   다음으로, 연구과제는 대체로 국내 연구진 중심의 공동연구이다. 한국학진흥사업단 국내한국학사업을 통해 2007년부터 2023년까지 선정한 연구과제에 참여한 인력은 총 2,332명으로 연구과제당 평균 5.6명이다. 연구 참여인력 중 국외기관소속은 124명(5.3%)이며,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 중 공동과제는 307건(74.3%)에 이른다.


   마지막으로 연구분야로는 역사학, 연구시기로는 현대 및 조선시대를 다룬 연구가 가장 많다. 한국학진흥사업단 국내한국학사업을 통해 2007년부터 2023년까지 선정한 연구과제의 연구분야는 인문학 분야 253건(61.3%), 사회과학 분야 120건(29.0%), 예술·체육학 분야 36건(8.7%), 기타 분야 4건(1.0%) 순을 보인다. 세부적으로는 정치사, 사회사, 국제관계사, 문화사, 사상사, 기록관리, 국문학사, 디아스포라 등의 순이다. 연구시기로는 ‘현대’ 및 ‘조선시대’가 각각 25.7%, ‘근대’ 22.5%, ‘기타’ 13.8%, ‘고대’ 7.0%, 선사시대 3.6%, 고려시대 1.7%의 추세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