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2025년 한국학대학원 전기 학위 수여
  - 석사과정 32명, 박사과정 19명 졸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이하 대학원)은 2025년 2월 21일(금) 2025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하였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김낙년 원장 및 김주성 이사장, 김원중·이상훈 이사, 신익철 대학원장을 비롯해 지도교수들과 가족, 지인들이 참석해 학위수여자들을 축하해주었다. 이번 학위 수여로 석사과정 32명, 박사과정 19명 등 총 51명의 한국학자가 배출됐으며, 국내 학생을 비롯해 프랑스, 독일, 폴란드, 중국, 브라질, 헝가리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학생들이 학위를 수여받았다.


   김낙년 원장은 졸업자들의 학위 취득을 축하하며, 열정과 자신감, 전문성, 겸손을 키워드로 세 가지 당부의 말을 전했다.
   첫째, 자신이 목표로 하는 일에 열정과 자신감을 가지고 임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이런 마음가짐 없이는 꿈을 향해 나아갈 때 만나게 되는 많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며, 무엇보다 자신을 믿고 미래를 개척해 나가기를 당부하였다.
   둘째, 자신만의 전문적인 역량을 키워야 함을 언급하였다.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자신을 다른 사람으로 쉽게 대체할 수 없는 것을 말하며, 그래야 스스로 자긍심을 가질 수 있고, 또 자신이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에 봉착하겠지만, 굴하거나 목표를 향한 노력을 멈추지 말기를 당부하였다.
   셋째, 모든 사람들을 존중하고 겸손한 태도를 가져야 함을 언급하였다. 어느 누구도 혼자서는 큰 결실을 맺을 수 없고, 아무리 똑똑한 사람일지라도 혼자서 모든 것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늘 겸손한 태도 및 열린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해야 하며, 이러한 신뢰가 형성되어야 사회생활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음을 환기하였다.

   한편 김주성 이사장은 축사에서, 우리의 존재인식은 언제나 담론의 장에서 자유롭게 소통되어야 하고 끊임없이 새로워져야 하며, 언제나 자유롭게 재검토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정치와 사회가 양극화될수록 학문으로써 국가공동체를 지키는 일에 이바지하기를 바란다며 당부를 마무리하였다.

[2025년 후기 학위취득자 명단]
◎ 박사학위: 19명(문학박사 15명, 철학박사 2명, 사회학박사 2명)
◦ 문학박사 : 15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이동인 | 대한민국 | 한국사학/고고학 | 花潭學派의 학문 계보와 사상 전승 | 권오영 |
김영란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17세기 지방관의 읍지편찬과 李元鎭의 『耽羅誌』 | 권오영 |
이빈빈 | 중국 | 한국사학 | 근대전환기 朝·中 西學 知識 네트워크와 廣學會 漢文西學書 수용 | 구난희 |
주롱 | 중국 | 국어학·국문학(국어학) | 諺簡 套式 表現에 對한 硏究 | 안예리 |
미흐라예바 구잘 |
우즈베키스탄 | 국어학·국문학(국문학) | 한국·우즈베키스탄 프롤레타리아 시 비교 연구 | 서승희 |
자스망 케빈악셀 |
프랑스 | 국어학·국문학(국문학) | 19世紀 韓國 散文選集 硏究 | 조융희 |
왕우산 | 중국 | 국어학·국문학(국문학) | 1950-60년대 박경리 장편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연구 | 서승희 |
천스링 | 중국 | 국어학·국문학(국문학) | <河氏善行後代錄> 研究 | 임치균 |
김유진 | 대한민국 | 인류학·민속학(민속학) | 근대 명절문화의 성립과 전개 | 김일권 |
노윤주 | 대한민국 | 인류학·민속학 | 근대 광천(鑛泉) 조사의 전개와 약수(藥水) 문화의 변화 연구 | 김일권 |
임니나 | 대한민국 | 음악학 | 전북 줄포무악의 구성 원리와 음악 문화권적 위상 - 임석재 채록 줄포무악을 중심으로 - |
김인숙 |
주효 | 중국 | 음악학 | 정조의 악률 이론 연구 | 김인숙 |
신유빈 | 대한민국 | 음악학 | 성종대 공연예술의 집성과 『악학궤범』 편찬 | 이정희 |
서소리 | 대한민국 | 인문정보학 | 한국 불교기록문화유산의 지식정보 아카이브 구축 연구 -『범해선사유고』의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을 중심으로 - |
김현 |
김광우 | 대한민국 | 인문정보학·인문지리학 |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 연구 - 근대도시 목포를 대상으로 |
김현 |
◦ 철학박사: 2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김태호 |
대한민국 |
철학 |
『解深密經疏』「分別瑜伽品」 연구 |
이종철 |
조현웅 |
대한민국 |
철학 |
정약용의 공부론 연구 |
전용훈 |
◦ 사회학박사: 2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강진희 |
대한민국 |
사회학 |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성별불평등에 관한 연구: |
김철식 |
다비드 |
독일 |
사회학 |
행위자-네트워크로서의 한국 트랜스여성의 성정체성 형성 |
서호철 |
◎ 석사학위: 32명(문학석사 27명, 한국학석사 5명)
◦ 문학석사 : 27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장우성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해방 이후 법학교육기관과 교수진(1945~1950) | 장신 |
여촉희 | 중국 | 한국사학 | 1091년 송의 도서 요청과 고려의 대응 | 이강한 |
평이맹 | 중국 | 한국사학 | 일제하 조선에서 神社의 확대와 神職 | 장신 |
김태욱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임진왜란 초기 명군 파병과 군량 운용 | 심재우 |
이은찬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李端相의 家學 계승과 『大學』 이해 | 김학수 |
이자영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18세기 備邊司 八道句管堂上制의 시행과 운영 양상 | 심재우 |
오효심 | 대한민국 | 고문헌관리학 | 『萬家叢玉』의 서지학적 연구 | 옥영정 |
박희정 | 대한민국 | 철학 | 염재(髥齋) 홍정하(洪正河)의 서학 인식과 비판 -「실의증의(實義證疑)」를 중심으로- | 전용훈 |
도쿠나가 에미 | 일본 | 인류학·민속학 | 도시 속 인간-비둘기의 굴절된 '얽힘': 비둘기 퇴치업을 중심으로 | 양영균 |
이현화 | 대한민국 | 인류학·민속학(인류학) | 케이팝으로 함께 흐트러지기: 이태원 게이클럽의 케이팝 놀이가 만드는 공동체와 경계 | 정헌목 |
풍현화 | 홍콩 | 인류학·민속학(민속학) | 잡지 『여원』을 통해서 본 1950~60년대 한국 여성 의생활의 양장화 양상 | 이대화 |
이경 | 중국 | 인류학·민속학(민속학) | 한·중 민속놀이 분류와 비교 연구 | 김일권 |
남경화 | 대한민국 | 음악학 | 김성기(金聖基)의 영산회상 연구 –『창랑보(滄浪譜)』를 중심으로- |
김인숙 |
이은별 | 대한민국 | 음악학 | 궁중 학무의 역사적 전개 양상 고찰 | 이정희 |
스텡츠녜프스카 마그다 |
폴란드 | 미술사학 | 조선 후반기 卞相璧 猫圖의 특징과 영향 | 박정혜 |
윤종훈 | 대한민국 | 인문정보학·인문지리학(인문정보학) | 다층 자료 기반 한국 힙합 형성기 시맨틱 아카이브 모델링 | 김바로 |
잔싱롱 | 타이완 | 인문정보학·인문지리학 | 중화권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 요인 비교 - 서울, 경기, 인천을 대상으로 |
김바로 |
김서윤 | 대한민국 | 인문정보학·인문지리학(인문정보학) | 『논어』 주석 인용관계 데이터 설계 및 탐색 - 조선 시대 3종 『논어』「학이」편 주석을 대상으로 |
김바로 |
조하영 | 대한민국 | 인문정보학·인문지리학(인문정보학) | 해양문화유산 시맨틱 데이터 설계 -태안 마도 해역 출수 고선박과 목간을 대상으로- |
김바로 |
파노바 아나스타시아 |
러시아 | 정치학 | 연금정치를 둘러싼 정치 과정: 2012-2014년 「기초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 김원 |
신진호 | 대한민국 | 사회학 | 택시 산업의 플랫폼화와 인간 노동의 비가시화 | 김철식 |
심기열 | 대한민국 | 사회학 | 장애인 법령 제·개정 과정에 대한 연구 - 정부-장애계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
김철식 |
응웬 팜 지에우 링 | 베트남 | 교육학 | '교실붕괴' 현상에 관한 신문 기사 분석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
박대권 |
디나이 조긍 | 중국 | 교육학 | 대학졸업정원제에 대한 시차이론적 접근 | 박대권 |
관영여 | 타이완 | 교육학 | 식민지 대만과 조선의 초등교육 의무화 과정 | 박대권 |
사만타 루치아나 버튼 |
브라질 | 한국문화학 | Cultural Promotion, Destination Marketing and Social Media : A Case Study of South Korean Government Sponsored Travels for Foreigners |
우정연 |
예네이 언너 | 헝가리 | 한국문화학 | Mental Health in the Korean and Finnish Online News Article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 소원현 |
◦ 한국학석사 : 5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김종민 | 대한민국 | 국어학·국문학 (국어학) |
외국인 유학생의 공손 및 불손 표현에 대한 의미 지각 양상과 대응 전략 연구 | 이정란 |
부황하 | 베트남 | 종교학 | 한국과 베트남의 종교정책 비교 연구 |
조현범 |
버 따 응웻 투 | 베트남 | 정치학 | 미중경쟁기 베트남의 균형외교 전략 연구 | 옥창준 |
알리포바 줌라다 | 카자흐스탄 | 한국문화학 | 카자흐스탄 출신 한국 대학원 졸업생들의 취업 경험 연구 | 우정현 |
에밀리 칼보 로렌조 |
독일 | 한국문화학 | The Popularity of Hermann Hesse's Demia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 Interdisciplinary Analysis | 신정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