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1) 한국의 커피 수용과 변천

- 지 음
- 이완범·권오헌·이창호·박건·홍장선·김원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2. 12. 20.
- 정 가
- 18,000원
- 쪽 수
- 300쪽
- 판 형
- 신국판
- 분 류
- 사회문화
- ISBN
- 979-11-5866-689-7 (94300)
도서 소개
한국 최초의 커피는 1896년 고종이 마신 커피라는 것이 그동안의 정설이었다. 그러나 19세기 한국에서 활동했던 베르뇌 신부가 작성한 서한에 따르면 커피의 한반도 상륙은 이보다 35년 앞선 1861년이다. 이후 커피는 1884년 조선 상류층에서 ‘최신 유행품’이 되었고, 한국 커피사에서 1945년 광복과 1950년 전쟁 시기에 미군에게서 유입된 인스턴트커피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인스턴트커피는 특정 인구만 즐기던 커피 문화를 대중화하여, 1970년대 한국을 커피 공화국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은 ‘조선의 최신 유행품’에서 ‘국민 음료’로 커피가 바꾼 한국 사회의 풍경을 자세히 들여다본다. 현재 한국 사회의 커피 소비는 원두커피를 중심으로 한 커피 전문점의 활성화, 기존 인스턴트커피의 고급화로 특징지을 수 있고, 오늘날 커피는 단순한 음료를 넘어 한국 사회를 읽는 하나의 키워드가 되었다. 커피는 한국사의 흐름과 맞물려 한국 사회의 변화를 드러내는 창이 되기도 하고, 한국 사회를 변화시키는 주요 요소가 되기도 했다. 이 책은 커피가 한국에 전래하여 한국인의 삶에 녹아드는 과정을 살펴보고, 커피가 현대 한국 사회의 주요 이슈인 젠더, 다문화, 인권 유린 등과 연결되어 어떻게 사회 모습을 투영하는지 추적하였다.
저자 소개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권오헌. 고려대학교 강사.
이창호.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박 건. 동국대학교 인구와사회협동연구소 연구초빙교수.
홍장선.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김 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차례
1부 한국, 커피 향에 물들다
커피의 한국 전래와 한국인의 향유: 프랑스 신부의 커피 전파, 유행, 고종 음용 3자의 연결_이완범
인스턴트커피의 일상화와 대중적 커피문화의 전개_권오헌
2000년대 다문화사회의 등장과 커피문화의 혼종_이창호
2부 커피로 한국사회를 읽다
민주화 이후 커피의 젠더화: 여성주체의 재현과 변주_박건
2000년대 이후 커피광고를 통한 커피 이미지의 대중화_홍장선
티켓다방과 이주여성의 주변화: 이주여성의 성매매 사례를 중심으로_김원
2) 숙종 대 왕실문화

- 지 음
- 정만조․박용만․김백희․김윤정․정은주․김덕수․이민주․이욱․김충현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2. 12. 30.
- 정 가
- 25,000원
- 쪽 수
- 364쪽
- 판 형
- 신국판
- 분 류
- 한국사, 조선시대
- ISBN
- 979-11-5866-690-3 (94910)
도서 소개
숙종은 1674년 14세의 나이로 조선 제19대 왕으로 즉위하여 1720년까지 47년 동안 국정을 다스렸다. 이 시기는 조선의 정치가 붕당정치(朋黨政治)에서 탕평정치(蕩平政治)로 넘어가는 전환기였다. 숙종은 국왕 개인의 정치적 능력을 넘어 왕실을 높이고 권위를 바로 세우는 것에서부터 탕평정치를 시작했다. 사족의 붕당 세력이 여전히 견고하고 문중 조직이 거대하던 시기에 국왕이 왕실의 권위를 통해서 자신을 높이고자 했기 때문이다. 숙종은 사대부가 득세하면서 상대적으로 희미해진 왕실의 존재를 확고히 하기 위해 먼저 왕실 족보를 정리하고, 역대 왕들의 문적과 유적을 찾으며, 왕실 구성원의 의례를 정립했다.
이 책은 정치적 함의를 넘어 문화의 장으로 확장되었던 숙종 대 왕실문화의 면모를 다루고 있다. 왕실은 조선시대 사회문화의 정형을 이루었고, 왕실문화에서는 당대 최고 권력가가 구현하는 화려하고도 장엄한 상징부터 유교 이념의 실천, 유교와 전통문화의 융합 등 문화의 다양한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의궤와 등록, 어제어필 등의 왕실자료를 토대로, 숙종 대 왕실문화를 ‘왕실의 가족’, ‘문예’, ‘의례’라는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저자 소개
정만조.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박용만. 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
김백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윤정.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연구원.
정은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김덕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욱.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김충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차 례
숙종 치세의 시대상_정만조
숙종어제에 나타난 공주(公主)와 의빈(儀賓)에 대한 예우_박용만
숙종의 「어제십잠(御製十箴)」과 세자 교육_김백희
숙종 대 ‘내상(內喪)’ 자료의 축적과 의례의 정비_김윤정
숙종의 제화시문(題畵詩文)에 나타난 국정운영 방향_정은주
숙종의 대명의리와 문학적 형상화 시점_김덕수
장서각 소장 숙종 대 축(軸) 장황(粧䌙)에 나타난 문양_이민주
숙종의 국상과 『효령전일기』_이욱
명릉(明陵)의 조성과 석물제도(石物制度)_김충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