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주요사업
  • 연구
  • 성과공개 (2020 ~)

성과공개 (2020 ~)

연구결과 개요 보고서

연구결과 개요 보고서: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기초연구 / 정책연구과제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 국문 : (AKSR2023-DP03) 외국 교과서분석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 연구 – 미국 교과서 사례를 중심으로
  • 영문 : Seeking New Directions on Textbook Analysis – A Case Study Based on U.S. Textbooks
연구책임자 정재윤
공동연구자 안지영
연구기간 20230329 ~ 20231216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는 외국 교과서에 수록된 타 국가에 대한 서술 분석을 통하여 향후 외국 교과서 내 한국 관련 내용 분석에 있어 보다 다양하고 균형적인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그동안 외국 교과서 분석은 한국에 집중하여 이루어졌으며, 한국 관련 내용의 수록 여부와 내용의 정확도에 무게를 두었다. 그 결과 외국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의 오류는 상당히 시정되어 한국 관련 내용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으나 외국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관련 내용이라는 한정적인 범위 안에 머물게 되었다. 또한 외국 교과서에서 한국은 주변 국가, 아시아 지역 및 전세계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시간적․공간적으로 어떤 위치를 차지하며 어떤 맥락에서 서술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기존의 한국 관련 내용에 치중되었던 분석 틀의 범위를 확장하여 교과서의 전체 구성을 분석하고, 한국 이외의 타 국가에 대한 서술의 특징과 관점을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 관련 내용에 대한 분석의 시야를 확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와 세계지리 교과서 World History: Voyages of Exploration(National Geographic Learning-Cengage, 2021)과 The Cultural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Pearson, 2020)에 수록된 중국, 이스라엘 및 영국 서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와 세계지리 교과서 World History: Voyages of Exploration(National Geographic Learning-Cengage, 2021)과 The Cultural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Pearson, 2020)에 수록된 중국, 이스라엘, 영국 관련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모두 활용하였고자 한다. 양적 분석을 통하여 이 국가들을 설명하는 특정 내용, 주제, 용어 및 시각자료 등이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며 얼마나 높은 빈도로 제시되는지 파악한다. 양적 분량을 측정할 때 기본적으로 쪽(page) 수를 기준으로 삼고 전체 쪽수에서 해당 내용이 어느 정도의 나타나는지 계산한다. 이때 교과서 본문 서술 내용뿐만 아니라 지도, 그림, 도표 등 시각자료도 함께 수량화한다. 질적 분석에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구성하는 단원, 장(챕터), 절, 세부 주제 등의 하위 구분 요소들 속에서 해당 내용이 교과서 전체 구성상 어떤 맥락과 어떤 분류 속에서 어떤 주제로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World History: Voyages of Exploration에서 중국 관련 내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관련 텍스트가 차지하는 약 7%이다. 총 919쪽에서 중국 관련 내용이 기술되는 양은 62쪽이다. 둘째, 분석대상 미국 세계사 교과서의 경우 통사 순으로 서술되는 데 중국 관련 내용은 중국의 은 왕조에서 시작해 상 왕조, 진 제국, 한 왕조, 당 제국, 송 왕조, 명 왕조, 청 제국, 현대 중국 대부분의 왕조가 기술되고 있다. 셋째, 한국 관련 서술은 중국이라는 중단원 혹은 소단원에 포함되어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석대상 교과서는 총 10개의 대단원 아래 다시 30개의 중단원이 있고, 89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된다. 즉, 한국역사는 주변국인 중국과의 역사적, 문화적인 맥락에서 기술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관련 기술만 볼 것이 아니라 교과서의 전체적인 구성 맥락에서 한국 관련 내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Cultural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에서 중국 관련 내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세계 지리 교과서인 만큼 대주제에 따라 자국 지리 관련 내용과 전 세계를 비교하고 있다. 또한 몇몇 주제에 있어서는 중국의 사례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자국의 상황과 비교해서 설명하고 있다. 둘째, 이 교과서에서 중국 관련 기술은 텍스트로는 총 17쪽이고, 사용된 시각 자료는 150개이다.
World History: Voyages of Exploration에 소개된 이스라엘은 책의 전체 919쪽 33쪽(3.59%)를 차지하며, 지도 6개, 사진 21개, 그림 3개로 나타난다. World History: Voyages of Exploration는 전체 10개의 단원과 30개의 장으로 내용이 구성되는데, 이중 이스라엘은 5개 단원의 7개 장에서 소개된다. 그러나 이스라엘 관련 내용은 연대기 순 구성된 책 전체 속에서 서로 연결되어 나타나며, 고대 시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종교, 민족의 디아스포라, 세계대전에서의 대량학살, 주변국과의 분쟁 등이 서로 연관되어 ‘이스라엘’의 역사이기도 하지만 주변 지역 국가 또는 다른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가 긴밀하게 다루어진다. The Cultural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에서 영국은 영어, 종교(분쟁), 인종․민족․국적, 산업(혁명), 문화(스포츠) 등의 주제는 교과서 1쪽 또는 4쪽의 분량으로 집중적으로 서술되기도 하지만, 영국이 직접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부분에서도 영국은 간략하게 언급되거나 지도 또는 사진 및 도표 등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책 전체에 등장하는 특징이 있다. 이 책을 구성하는 13개 단원과 52개의 핵심 주제에서 영국은 13개 단원 모두에서 서술되고 있으며, 52개 주제 중 29개에 이르는 주제에서 나타난다. 영국은 11쪽에 걸쳐 집중적으로 소개되기도 하고 단순하게 언급되는 경우도 11건에 이른다.
참고문헌 강선주(2004).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 내용 분석: 텍사스,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세권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3(2).
강선주(2004), 20세기 초 미국 신사학자들의 세계사관; 유럽 중심적 세계사 교육의 원류를 찾아서, 미국학논집, 36-1.
강선주(2015), 다시 미국의 “문화 충돌”-텍사스 사회 교과서, AP미국사 교육과정, 󰡔공통 핵심󰡕 논쟁-, 역사교육논집, 56.
강선주, 최상훈(2005). 미국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9학년 이상에서 사용되는 6권의 미국 세계사 교과서 분석-. 역사교육연구(1).
김선미(2001). 미국 세계사 교과서 속의 한국사-한국사 교육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학연구(5).
김정분(2017). 미국 세계사 교과서의 동아시아사 서술 분석. 사회과교육, 56(1).
김정분(2019). 발문을 통한 미국 세계사 교과서 속 자국사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2).
김정숙, 박선미(2022). "고등학교 ‘세계 지리’ 교과서의 난민 내용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0(4).
김진아(2021). 미국사의 렌즈로 바라보는 세계사: 미국 학생들의 세계사 이해의 특성, 미국학 논집, 53(1).
성신제(2012). 미국 세계 지리 교과서에 재현된 동아시아. 대한지리학회지, 47(2).
신경희(2007). 미국의 세계사 교실 수업 –20세기 초 아시아 역사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6.
이미미(2014). 호주와 미국의 역사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 비교교육연구, 24(1).
이수진(2013). 글로벌 히스토리 관점에서 본 미국의 세계사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문성(2005). 미국 사회과 교과서 한국관련 내용 비교 분석 연구-세계문화, 세계사, 세계 지리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7(1).
최성호·정정훈·정상원(2016).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질적탐구, 2(1).

연구요약문

연구요약문: 전체 연구결과 요약, 세부과제별 요약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
본 연구는, 외국 교과서에 수록된 타 국가에 대한 서술 분석을 통하여 향후 외국 교과서 내 한국 관련 내용 분석에 있어 보다 다양하고 균형적인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와 세계지리 교과서 World History: Voyages of Exploration(National Geographic Learning-Cengage, 2021)과 The Cultural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Pearson, 2020)에 수록된 중국, 이스라엘 및 영국 서술을 분석했다.
World History: Voyages of Exploration에서 중국 관련 텍스트가 차지하는 약 7%이다. 총 919쪽에서 중국 관련 내용이 기술되는 양은 62쪽이며, 중국의 은 왕조에서 시작해 상 왕조, 진 제국, 한 왕조, 당 제국, 송 왕조, 명 왕조, 청 제국, 현대 중국 대부분의 왕조가 기술되고 있다. 또한 한국 관련 서술은 중국이라는 중단원 혹은 소단원에 포함되어 나타나며, 한국 역사는 주변국인 중국과의 역사적, 문화적인 맥락에서 기술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관련 기술만 볼 것이 아니라 교과서의 전체적인 구성 맥락에서 한국 관련 내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Cultural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에서 중국 관련 기술은 텍스트로는 총 17쪽이고, 사용된 시각 자료는 150개이며, 미국 세계 지리 교과서인 만큼 대주제에 따라 자국 지리 관련 내용과 중국의 사례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자국의 상황과 비교해서 설명하고 있다.
World History: Voyages of Exploration에 소개된 이스라엘은 책의 전체 919쪽 33쪽(3.59%)를 차지하며, 지도 6개, 사진 21개, 그림 3개로 나타나며, 고대 시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종교, 민족의 디아스포라, 세계대전에서의 대량학살, 주변국과의 분쟁 등이 서로 연관되어 ‘이스라엘’의 역사이기도 하지만 주변 지역 국가 또는 다른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가 긴밀하게 다루어진다. The Cultural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에서 영국은 13개 단원과 52개의 핵심 주제에서 영국은 13개 단원 모두에서 서술되고 있으며, 52개 주제 중 29개에 이르는 주제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영어, 종교(분쟁), 인종․민족․국적, 산업(혁명), 문화(스포츠) 등의 주제는 교과서 1쪽 또는 4쪽의 분량으로 집중적으로 서술되기도 하지만, 영국이 직접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부분에서도 영국은 간략하게 언급되거나 지도 또는 사진 및 도표 등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책 전체에 등장하는 특징이 있다.
세부과제별 요약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