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S Home | CEFIA Home |  영문홈페이지

에세이 당선작

contest images

외국에서 보는 한국 이미지

국제화 시대에 한 국가에 대한 이미지와 서사는 국제사회에서 해당 국가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한국은 풍부한 역사와 역동적인 문화를 가진 나라로서 해외 교육 자료와 온라인 콘텐츠에서 만연한 왜곡된 묘사들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에세이는 한국의 현재와 과거의 국제적 이미지를 심도 있게 탐구하며 온오프라인에서 주로 나타나는 오해들을 분석하고 바로잡아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으로 개선된 한국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에 관한 해외 교과서 및 온라인 자료는 흔히 파편적이거나 편향적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한국전쟁이나 남북한 간 갈등에 지나치게 초점이 맞춰져 있어 다른 중요한 요소들이 가려지는 경우가 많다. 커밍스(Cumings, 2005)는 한국 역사에서 전쟁이 중요한 사건임은 틀림없지만 이에만 과도하게 집중하면 한국의 풍부한 문화유산과 경제적 발전, 사회적 성취와 같은 다른 중요한 요소들이 가려질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많은 교재가 한반도의 분단 상황과 북한과의 긴장 관계를 과장된 비중으로 다룸으로써 대한민국의 실질적인 발전과 국제적 위상 전반을 제대로 담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은 때때로 중국과 일본이라는 두 거대 이웃의 렌즈를 통해 묘사되는데 이는 한국 고유의 정체성이 약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국의 문화와 전통, 혁신이 주변 국가 문화의 단순한 연장선으로 심지어 열등한 것으로 비치곤 하며 이러한 인식은 한국의 독자적 정체성과 세계 문화에 대한 기여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게 한다(Shin, 2006). 이러한 관점은 동아시아는 물론 세계 전반에 깊은 영향을 끼쳐 온 한국의 역사적 궤적과 문화적 이정표를 간과하게 만든다.

한편, K팝과 드라마 등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는 세계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지만, 이 열풍은 때로 한국의 기술적, 교육적 발전과 전통 예술 분야의 중요한 성취를 가릴 수도 있다. 리(Lie, 2015)는 문화 수출이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것에는 이바지했으나 동시에 국가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정체성을 피상적으로 이해하게 만들 위험도 있다고 지적하였다. 한국 문화 콘텐츠의 세계적 인기가 한국에 관한 관심을 높인 것은 사실이지만 보다 본질적이고 심층적으로 한국의 면모를 균형 있게 소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흔한 오해 중 하나는 한국을 다양성이 거의 없는 획일적인 사회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한국 내부의 복잡한 지역적, 문화적, 사회적 다양성을 간과한다. 소렌슨(Sorensen, 2011)은 한국에는 다양한 방언과 지역 음식, 그리고 지역 고유의 관습이 풍성하지만, 해외 교육 자료에서는 이러한 다양성이 충분히 드러나지 않는다고 지적하였다. ‘단일한 한국인의 정체성’이라는 개념은 수 세기에 걸쳐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통합한 한국 사회의 복잡한 구조를 간과하게 한다.

또 다른 오해는 한국의 역사적 업적과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기여가 과소평가된다는 것이다. 국제 교과서의 역사 서술은 세계 최초 금속활자 발명과 같은 한국의 인쇄술 혁신 그리고 유교 학문 및 통치 제도의 독창성을 종종 간과한다(Palais, 1996). 또한 조선 시대에 고안된 측우기와 정교한 천문기구 등 한국의 과학적 혁신은 거의 조명되지 않는다.

현대 한국의 경제적, 사회적 성취를 과소평가하는 것도 국제 교육 자료에서 흔히 나타나는 편향적 태도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나라에서 세계적인 전자, 자동차, 정보기술 산업을 이끄는 경제 강국으로 거듭난 대한민국의 놀라운 성장은 회복력과 혁신을 증명하는 모범 사례로 평가받아야 마땅하다(Kim, 1997). 그러나 흔히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대한민국의 경제 성공 서사는 전쟁과 분단 중심의 역사 서술에 가려져 충분히 조명받지 못하고 있다.

드물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이 전적으로 기술 모방에 의존했다고 잘못 인식하기도 한다. 물론 초기 산업화 단계에서 선진국의 기술을 배우고 도입한 것은 사실이지만 대한민국은 이후 막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혁신을 이뤄냈다. 삼성과 현대 같은 기업은 기존의 모방 성공 사례를 넘어 반도체를 비롯한 다양한 핵심 산업군에서 글로벌 기술과 엔지니어링 분야를 선도하는 혁신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의 국제 이미지를 개선하려면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커밍스(Cumings, 2005)는 교육 자료를 개편하여 한국의 역사, 문화 성취를 균형 있고 포괄적으로 서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한국의 고대문명과 세계 문화에 대한 기여를 현대의 경제 기술 발전과 함께 두루 강조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한국의 유교와 불교가 동아시아 철학 및 문화 전통 형성에 끼친 영향을 더 부각시킬 수 있다.

한국인의 다양한 관점과 목소리를 교육 자료에 반영하는 일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다. 한국의 역사학자, 교육자, 문화 전문가와 협력하면 더욱 진정성 있고 입체적인 서술이 가능하며 일상적인 한국인의 삶을 이야기로 담아 한국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줄 수 있다(Shin, 2006). 또한 지역, 계층, 직업이 서로 다른 개인들의 삶을 기록하는 작업은 한국이 지닌 풍성한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가짜 뉴스가 범람하는 시대인 만큼 디지털 플랫폼과 온라인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정확한 정보를 전파해야 한다. 한국은 역사 유적지 가상 투어, 다큐멘터리, 교육용 게임 등 몰입형, 상호 작용형 콘텐츠를 제작할 탄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문가들은 전 세계 대중의 관심을 끌어내고 더욱 몰입적인 학습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Lie, 2015). 또한 온라인 교육 도구에 멀티미디어 요소를 접목하면 한국의 전통 축제, 국악, 전통 예술뿐 아니라 현대 기술 및 산업 분야의 성과까지 폭넓게 조명할 수 있다.

한국과 해외 교육기관 간의 협력은 교육 자료의 품질과 정확성을 높이는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다. 교환학생 프로그램, 공동 연구 과제, 그리고 공동 교육과정 개발은 상호이해를 증진하고 한국이 존중받는 방식으로 소개되도록 보장한다(Sorensen, 2011). 더불어 한국학을 주제로 한 국제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를 개최함으로써 연구자들이 성과와 통찰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한국은 한국어 교육을 세계 각지에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언어는 문화를 향한 관문으로 한국어 학습을 장려하면 세계인이 한국 문화의 미묘한 뉘앙스와 가치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Palais, 1996). 한국어 교육기관을 증설하고, 언어 학습을 위한 장학금을 제공하고, 전 세계의 학교 교육과정에 한국어 프로그램을 편입하도록 노력한다면 국제사회가 한국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할 것이다.

서울과 제주처럼 이미 잘 알려진 관광지 외에 상대적으로 덜 조명된 문화, 역사 유적을 기념하고 홍보하는 일은 한국 유산에 대한 더 입체적이고 깊이 있는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김(Kim, 1997)은 전통 축제, 지역 공예, 지역 이야기 등을 적극적으로 소개해 한국 문화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부각해야 한다고 말하였다. 예를 들어 전통 한옥마을, 비무장지대(DMZ)의 생태 보존 구역, 경주와 같은 역사 도시의 의미를 세계에 알리는 노력은 한국을 바라보는 관점을 한층 넓혀 줄 것이다.

수십 년 동안 사람들의 인식에 각인된 오해를 바로잡는 것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이를 바꾸려는 노력이 늦은 것은 아니다. 인식을 바로잡기 위한 여정은 단순히 오류를 수정하는 차원을 넘어 역동적이고 다면적인 한국의 모습을 보다 보편적이고 진정성 있게 보여주기 위한 과정이다. 교육 자료 개편, 디지털 플랫폼 활용, 국제 협력 강화, 언어 교육 진흥을 포함한 포괄적 접근을 통해 우리는 한국을 정확하게 소개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세계인들이 한국을 더 잘 이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한국의 독창적인 사회경제적 기여에 대한 더욱 큰 존중과 감사를 끌어낼 것이다. 더욱 진실한 한국 이미지를 표현하는 여정에는 학자, 교육자, 문화 대사, 정책 입안자 등 다양한 주체의 협력과 헌신이 필수적이다. 현존하는 격차와 오해를 해소함으로써 우리는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기념하며 글로벌 공동체의 핵심 일원으로서 한국을 보다 풍부하고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나갈 수 있다.

참고문헌
- Cumings, B. (2005). 한국의 태양 속 위치: 현대사. W.W. Norton & Company.
- Kim, L. (1997). 모방에서 혁신으로: 한국 기술 학습의 역학 관계.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 Lie, J. (2015). K-pop: 한국의 대중음악, 문화적 기억상실증, 그리고 경제 혁신.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Palais, J. B. (1996).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유형원과 조선 후기.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 Shin, G. W. (2006). 한국의 민족주의: 계보, 정치, 그리고 유산. Stanford University Press.
- Sorensen, C. W. (2011). 한국 케임브리지 역사. Cambridge University Press.

[장려상]
Otieno John Magak

(활동국가: 케냐)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