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S Home | CEFIA Home |  영문홈페이지

CEFIA 소식


● 2025년도 해외한국학지원사업 공모 안내
● 2025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문 연수 펠로십 모집 안내
● 제37회 한국문화강좌
● 제186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2025년도 해외한국학지원사업 공모 안내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의 국제적 확산을 도모하고 해외한국학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해외한국학 교육·연구기관 및 연구자를 대상으로 '해외한국학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 해외한국학지원사업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니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1. 지원분야 : 학술연구, 학술회의, 학술지 및 단행본 출간, 교육 및 문화행사, 해외한국학 저서 번역
2. 제출서류 : 과제신청서, 과제책임자 CV 등
3. 제출기간 : 2024년 8월 21일(수) 10:00 ~ 9월 24일(화) 13:00
4. 제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제출
5. 결과발표 : 2024년 12월(홈페이지 게시 및 이메일 통보)
6. 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 (grant@aks.ac.kr)

     자세히 보기 버튼
맨 위로 이동

2025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문 연수 펠로십 모집 안내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해외 차세대 한국학자들의 한문역량 제고를 통한 한국학 연구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문 연수 펠로십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 한국학의 본산인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한문 프로그램을 수강할 참가자를 모집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1. 내용 : 한문 강좌, 암송, 자유 연구, 답사 등(한국어로 진행)
2. 기간
   - 제11회(기초반) : 2025년 3월 4일(화) ~ 6월 20일(금)
   - 제12회(탐구반) : 2025년 9월 1일(월) ~ 12월 19일(금)
3. 장소 : 한국학중앙연구원
4. 지원자격 : 해외 대학(원)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부생 및 석·박사 과정생(한국 국적자 제외, 수료생 가능, 졸업생 불가능)
5. 제출 서류
   1) 공통 제출 서류
     - 소정양식 지원서 1부
     - 재학(또는 수료)증명서 1부
     - 추천서 1부(한문이 학업에 필요한 이유를 기재한 지도교수 추천서)
     -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응시한 적이 있는 경우 해당 성적표 사본 1부
   2) 탐구반 지원자 추가 제출 서류(다음 중 택 1)
     - 대학(또는 기타 프로그램)에서의 한문 수업 이수를 확인할 수 있는 성적증명서 또는 수료증
     - AKS 한문 연수 펠로십 수료증
   ※ 모든 서류는 한국어 또는 영어로 제출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한국어 또는 영어로 공증 받은 번역본을 반드시 첨부하여야 함.
6. 접수기간 : 2024년 9월 9일(월) ~ 10월 11일(금)
7. 접수방법 :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지원
8. 화상면접
   - 대상 : 서류심사 합격자
   - 시기 : 2024년 10월 23일(수) ~ 10월 25일(금) 기간 내 개별 안내
9. 결과통보 : 2024년 10월 31일(목) 예정 (개별 이메일 통보)
10. 지원사항
   - 기초반 : 계몽편, 논어, 맹자, 삼국사기, 소학집주 등
   - 탐구반 : 논어, 맹자, 삼국유사, 산문 선독 등
11. 지원사항
   - 왕복항공료(이코노미 기준) 및 월 체제비(75만원) 지급
   - 원내 게스트하우스 무료 제공
   - 상해보험 가입
12. 기타사항
   - 연수 기간 종료 15일 전까지 결과보고서 제출
   - 타 기관에서 지원금을 받는 경우 지원비 중복 수령 불가
13. 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 (akshanmun@aks.ac.kr)

   자세히 보기 버튼
맨 위로 이동

제37회 한국문화강좌

제37회 한국문화강좌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에서는 한국학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제37회 한국문화강좌는 2024년 8월 5일(월)부터 8월 23일(금)까지 총 3주간 개최되어, 11개국 17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한국문화강좌 참가 학생들은 원내 게스트하우스에서 합숙하며 한국어 수업, 한국학 특강, 유적지 답사 및 전통문화체험 등을 함께하였다.
맨 위로 이동

제186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제186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2024년 8월 9일(금) 문형관 대회의실에서 “제186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을 개최했다. 이번 콜로키움은 2024년도 본원 펠로십 수혜자인 Cheng-i Lu 전임연구원(대만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과 Sohl Catherine Lee 교수(Stony Brook University(State University of New York))의 방한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Cheng-i Lu 전임연구원은 “한국 유학자 기정진의 ‘이기론' 분석(韓儒奇正鎮的 「理氣論」 析論)”을 주제로 발표했다. 18세기 후반 일성록에 기록된 ‘호락논쟁’은 인간의 본성과 감정에 대한 철학적 논쟁이다. 임성주는 ‘리’와 ‘기’가 독립적이며 서로 분리되어 있다고 본 반면, 기정진은 ‘리’와 ‘기’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발표는 조선시대에 있었던 중요한 철학적 논쟁과 그 논쟁에서 기정진 학자가 주장한 ‘이기론’의 내용에 대해 탐구하는 시간이었다.

Sohl Catherine Lee 교수는 “Vernacular Modernism and Buddhist Art”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불교 현대주의의 세 가지 예시를 살펴보았다. 그 예시들은 불교의 그림인 ‘감로도’, 불교의 의식인 ‘영산재’와 ‘천도재’, 그리고 불교 스님의 설법인 ‘땅설법’이다. Vernacular Modernism은 지역적 전통과 현대적 요소가 결합 된 현대주의를 말한다. 오랫동안 전통을 이어온 불교문화를 현대 인식론적 관점에서 현대미술의 일원으로 보는 새로운 시각이 인상적인 발표였다.

이번 콜로키움에는 많은 연구자 및 대학원생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앞으로도 국내외 연구자들이 소통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