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S Home | CEFIA Home |  영문홈페이지

에세이 당선작

contest images

미국에서 떠올리는 실크로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은 특정 시기의 특정 지역에 관한 역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가 어떠한 역사 발전을 중시했고 이는 사람이 사고를 형성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인식은 현대 사회의 의사 결정과 경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역사적 내용에 관한 인식이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부인은 한국을 떠올리며 '은자의 왕국'이라는 꼬리표를 달았다. 이 꼬리표 때문에 한국 역사는 고립되고 의도적으로 세계와 단절했다고 인식되었다. 최근 수십 년간 중요하게 여기는 역사적 요소 중 하나는 실크로드인데, 아시아 경제가 부흥하며, 많은 사람이 역사적으로 아시아가 얼마나 번영했고 연결되어 있었는지 보여주는 예로서 실크로드를 강조했다. 하지만 실크로드를 생각할 때 한국을 거의 떠올리지 않는다. 실크로드의 기본 정의는 '중국 및 동아시아를 중동 및 유럽과 이어주는 망처럼 이어진 교역로'이다.

실크로드는 교역로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온 사람들을 연결해주는 역할도 했다. 물건, 정보, 사람, 문화 교역의 원천이었다. 실크로드를 따라 거래한 물건은 중국, 인도, 이집트, 그리스, 로마, 영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발견되었다. 많은 서양인이 이 사실에 놀라지 않겠는가? 동양인은 한국이 그 유명한 교역로의 일부였다는 점을 알 수도 있지만, 많은 서양 학생은 그 점을 모르고, 한국을 역사적으로 은자의 왕국이라는 꼬리표로 인식한다. 하지만, 실크로드에서 한국의 입지는 분명하다. 유네스코(UNESCO)에 따르면, '한반도는 실크로드라는 대규모 망의 고리로 연결되어 있었다. 신라의 문화는 그 안에 다른 문화의 다양한 요소가 조화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그 당시 국제적이고 전 세계적인 문화라 할 수 있다'. 유네스코는 한국 문화를 굉장히 존중하고 실크로드가 한국과 확실히 이어져 있었다는 명백한 증거를 제시한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은 실크로드 시대에 독자적인 무역 중심지 경주를 개발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이처럼 경주는 지리적 위치 때문에 천천히 점진적으로 실크로드에 포함된 다른 지역에서 오는 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았다. 경주, 더 넓은 범위에서 신라는 이러한 방식으로 직접적으로(그리고 맹목적으로)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유입되는 영향을 흡수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실크로드의 문화적 특징이 계속해서 신라 문화에 유입되어 조화로운 한국 문화가 번영할 수 있었다.'

실크로드와 경주의 연계는 국가로서의 발달과 고도로 발달한 지역으로서의 위상에 기여하였다. 그렇다면, 서양인이 실크로드에서 한국의 입지를 알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교과서이며, 이 문제는 미국에 있는 한국 대표와 협력하여 해결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한국의 문화가 이미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졌는데 왜 이러한 변화가 필요한지 물어볼지도 모른다. BTS, 블랙핑크, 트와이스, NCT-127 등의 K팝 그룹과 기타 훌륭한 아티스트는 미국인에게 잘 알려졌지만, 역사는 다른 이야기이다.

역사는 한 나라에 대한 인식과 궁극적으로 그 나라에 대한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 제조업과 문화는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팔린다. 그러나 이를 한국이 한국전쟁이 끝나고 '개방'되고 '서구화'된 이후의 현대 현상이라 인식한다. 하지만, 역사를 통해 한국은 현대 한국의 수출 경제를 이룩하기 수백 년 전에 인류가 여태껏 구축한 가장 훌륭한 국제 교역망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다. 인식이 중요하다. 한국이 이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취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한국 대표단, 즉 미국에 거주하는 대사 등과 연결하는 것이다. 실크로드에서 한국의 역사적 입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각 주 교육위원회와 접촉하여 한국과 실크로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교과서에 정보를 수정하는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 대표단이 이 문제를 다른 문제만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면,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계 미국인 학생이 조치를 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다수의 미국인이 지난 몇 년간 한국 문화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 활발하고 사교적인 교역 국가로 한국의 진정한 역사 이야기를 알리기 위해 이러한 학생에게 연락하면,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사를 알리는 데 기꺼이 참여할 것이다. 학생을 모은 다음, 다른 학생이 올바른 방식으로 한국사를 배우도록 영향을 주도록 교내 단체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학생 단체는 학교 친구들에게 올바른 역사가 무엇이고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알려주기 위해 여러 학생과의 만남과 클럽 활동을 마련할 수 있다. 대체로 역사는 국가 관련 의사결정에서 극히 중요한 요소이다. 80년간 이어진 서방의 개입만으로 한국이 활발한 교역국이라 간주해서는 안 된다. 그러한 인식으로 한국이 평가 절하되고 서양인이 한국과 한국인을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정해진다. 사교적이고, 모험심이 강하며, 개방 무역 국가로서의 오랜 한국사는 이런 근거를 통해 홍보되어야 한다.

[최우수상]
Edward Park

(활동국가: 미국)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