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S Home | CEFIA Home |  영문홈페이지

CEFIA 소식


● 2024년 캐나다 교과서 전문가 초청 한국문화연수
● 제189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 제102회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강연회

2024년 캐나다 교과서 전문가 초청 한국문화연수

2024년 캐나다 교과서 전문가 초청 한국문화연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한국바로알리기사업실에서는 2024년 11월 10일(일)부터 11월 16일(토)까지 ‘캐나다 교과서 전문가 초청 한국문화연수‘를 개최하였다.

이번 연수는 캐나다 교과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캐나다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제도, 교수‧학습 자료 등에 대해 파악하고 향후 캐나다 교과서 내 한국 관련 내용 증설 및 신설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2024년 캐나다 교과서 전문가 초청 한국문화연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구난희 처장의 환영사와 한국바로알리기사업실 이대화 실장의 연구원 및 사업 소개를 시작으로 양일간의 교과서 세미나와 강연이 진행되었다. 세미나 첫 번째 세션에서 캐나다 측 첫 번째 발표자로 Theodore Christou 교수(Queen’s University)는 ‘온타리오 교육 시스템’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개하였으며, Diane Vautour 교사(Loretto Abbey Secondary School)는 ‘온타리오 역사 및 사회과학 교육과정 내 한국’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한국 측 발표자로는 이미미 교수(서울대학교)가 ‘한국 역사교육의 동향’을 주제로, 국가 교육과정, 교과서, 대학수학능력시험 등을 폭넓게 설명하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Rachel Collishaw 회장(Social Studies Educators Network of Canada)이 ‘캐나다와 한국의 교육과정 및 수업자료’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었고, Jim Pedrech 혁신 및 STEM 컨설턴트(London District Catholic School Board)는 ‘역사 및 사회과학을 위한 디지털 자원: 사진 측량 및 기타 혁신’을 주제로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한국바로알리기사업실 김다희 전문위원은 ‘캐나다 교과서 및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에 관련 내용을 다루며, 캐나다 사회과 교과서에서 자주 나타나는 한국 관련 오류와 개선점을 논의하고, 주별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국 관련 내용이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소개하였다.

한편, 김정인 교수(춘천교육대학교)는 ‘한국 민주주의 역사의 계보와 특징’에 대해, 정형아 부장(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군사사부)은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와 한국’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여,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기회를 마련하였다.
2024년 캐나다 교과서 전문가 초청 한국문화연수
또한, 참가자들은 UNESCO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수원 화성, 창덕궁 및 서울의 주요 명소를 답사하며 한국의 역사적 가치를 직접 체험하였다. 전쟁기념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을 방문하여 한국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임진각, 도라산 전망대, 제3땅굴을 둘러보며 남북 분단의 역사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

이번 연수는 캐나다의 주별 교육과정과 교과서 제도, 출판 시장 동향, 교수학습 자료 및 디지털 프로그램 개발 현황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기회가 되었다. 참가자들은 캐나다 교육 현장에서 한국 관련 수업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며, 향후 교과서 및 교육 자료 내 한국 관련 내용의 개선과 증·신설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모색하였다. 이번 연수를 통해 형성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향후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교육적 교류를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맨 위로 이동

제189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제189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2024년 11월 8일(금) 문형관 대회의실에서 ‘제189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을 개최했다. 이번 콜로키움은 2024년도 본원 펠로십 수혜자인 Jonathan Glade 교수(University of Melbourne)의 방한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Jonathan Glade 교수는 “Korean Food: Delineating the Contours of a National Cuisine”을 주제로 발표했다. 한국 음식의 글로벌 확산과 관련된 연구로, K-푸드의 인기와 영향력에 대해서 다루었다. 특히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와 국가적 요리로서의 상징적 중요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탐구했다. 더 나아가 한국 안팎에서 발생하는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과 갈등에 대해서도 발표했다.

이번 콜로키움에는 많은 연구자 및 대학원생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앞으로도 국내외 연구자들이 소통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맨 위로 이동

제102회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강연회

제102회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강연회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에서는 2024년 11월 13일(수) 더 플라자 서울에서 ‘제102회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강연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강연회는 이충열 교수(고려대학교)가 “What does the Development Experience of Korea Mean to the Developing Countries?”라는 주제로 한국의 경제 발전 배경과 그 과정에 대해 강연하였다.

이충열 교수는 짧은 기간 내에 고도의 성장을 이룬 한국 경제의 동력과 전략을 분석한 내용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그리고 한국 경제 성장 모델이 시사하는 바에 관해 설명하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주한 대사 및 국내 외국인 연구자들은 이번 강연을 통해 한국의 경제 성장 과정과 그 바탕에 있는 한국 국민에 대한 많은 통찰을 얻었다고 밝혔다. 강연 직후에는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어졌으며,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이 돋보였다.

강연 내용은 추후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유튜브 채널에 게시할 예정이다.

Button - Societas Koreana's YouTube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