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S 신간도서
1. 사도세자와 두 임금의 시선
- 편 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4년 10월 7일
- 정 가
- 20,000원
- 쪽 수
- 208쪽
- 판 형
- 사륙배판
- 분 류
- 한국사, 조선시대사
- ISBN
- 979-11-5866-771-9-93910
도서 소개
   부왕의 명으로 뒤주에서 쓸쓸히 죽음을 맞이한 사도세자의 삶은 조선시대 최고의 비극으로 회자돼 왔습니다. 지금껏 ‘그리워할 사’와 ‘슬퍼할 도’의 조합으로 알려졌지만, ‘사도(思悼)’라는 시호는 실은 ‘예전 잘못을 후회하다가 요절했다’는 불명예스러운 의미입니다. 장례 절차를 간소화하고 제문과 묘지문에도 그 잘못을 명시한 영조의 행적은 사도세자의 일생을 더욱 비극적으로 바라보게 합니다. 반면, 정통성 때문에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된 정조 즉위 이후의 행보는 애달프게 느껴집니다. 즉위하던 그날 금기를 깨고 사도세자의 아들임을 천명하더니, 생부의 자질을 높이기 위해 행장과 문집을 간행하고 심지어는 스스로 광범위한 교정을 감행합니다.
   영조는 당파와 관계없이 인재를 등용하고 늘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친 훌륭한 군주였지만, 아버지로서의 모습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합니다. 영조 즉위 300년을 맞아 기획한 『사도세자와 두 임금의 시선』을 통해, 아버지 영조의 모습과 뒤이어 상반된 시각에서 아들 정조의 입장을 되돌아보면, 조선시대 최고의 비극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해 볼 수 있습니다.
차례
  I. 효장세자의 사망과 영조의 슬픔
  II. 사도세자의 탄생과 영조의 기대
  III. 사도세자의 일탈과 영조의 절망
  IV. 영조의 결단과 영빈 의열의 현창
  V. 정조의 비애와 사도세자 추숭
2.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창녕・고령 편
- 역 자
- 조영준·김봉좌·심재우·오창현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4년 10월 15일
- 정 가
- 28,000원
- 쪽 수
- 404쪽
- 판 형
- 신국판
- 분 류
- 한국사, 조선시대사
- ISBN
- 979-11-5866-769-6-94910
도서 소개
   서울대학교 조영준 교수팀은 보부상 자료를 중심으로 근대 이행기의 상업사를 연구해 오고 있습니다. 팔도를 돌아다니며 물건을 팔았던 보부상은 물자 유통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상권수호운동을 벌이는 등 한국근대경제사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도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번 신간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창녕・고령 편』은 조영준 교수팀의 다섯 번째 책으로, 경상남도 창녕과 경상북도 고령의 보부상을 입체적으로 조명합니다. 『보부상자료집(人)』, 창녕박물관・대가야박물관 소장 유물 등 굵직한 자료들을 총망라해 꼼꼼하게 탈초・정서・역주했습니다. 충청남도 지역의 보부상을 다루었던 이전의 시리즈들과 비교하며 지역별 보부상 조직의 차이점도 살펴보시기를 바랍니다.
차례
  제1부 창년 편
  제2부 고령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