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칼럼: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발행정보, 내용으로 구성
제목 한국학중앙연구원, 근대 불교의 제도적·사회문화적 기반을 고찰한 『Korea Journal』 2022년 여름 특집호 발간
작성자 ntcrNm 등록일 2022-08-17 조회수 346
발행정보 도서출판실(2022-08-17)
첨부파일


한국학중앙연구원, 근대 불교의 제도적·사회문화적 기반을 고찰한

『Korea Journal』 2022년 여름 특집호 발간

 

◇ 한국학 분야 국내 최초 영문 학술지 『Korea Journal』, 2022년 여름 특집호 발간 
◇ 조선의 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민간 종교로서 중요하게 존재해왔던

근대 불교 조직의 제도와 실천을 조망한 특집 기획
◇ 세계 최대 규모 불교학술대회(IABS)를 통해 국내외 불교 연구자들에게 특집호 무료 배부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조선후기 불교 조직의 제도와 실천을 조망한 학술지 『Korea Journal』여름 특집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이번 『Korea Journal』은 지난 8월 15일부터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불교학술대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IABS)의 개최를 감안해 기획·추진한 것으로, 이번 특집호에는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김성은 교수가 특집 기획자로 참여했다. 
  ○ 특히 이번 세계불교학회 참석자 500여명에게 무료로 배포되어 국내외 불교 연구자들의 큰 관심과 반향을 얻었다.
※ 『Korea Journal』은 1961년 9월 창간된 한국학 분야 국내 최초의 영문 학술지이다. 연 4회 한국학 전 분야의 최신 연구성과를 반영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예술과 인문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인 A&HCI(Arts and Humanities Citation Index)에 2001년부터 등재되어 전 세계적으로 원문이 배포되고 있다. 

 

□ 순천대학교 이종수 교수의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Cultivation Centers in Late Joseon Korea(조선후기 불교 수행기관의 성립 연구)”에서는 국가 공인의 종파가 없어지고 자체적으로 교단을 운영했던 조선후기 불교계의 수행기관으로서 강원, 선원, 염불원의 성립 배경과 과정, 그리고 그 불교사적 의미에 대해 고찰했다.
  ○ 임진왜란 이후 불교계는 선종 계통의 임제종으로 단일화 됐지만 교종의 사상과 교육 기능도 포섭했으므로 선의 경절문·교학의 원돈문·정토의 염불문, 이른바 삼문 수행이 보편화 되었다. 
  ○ 필자는 삼문 수행의 영향에 따라 승려들은 강원을 졸업한 이후 선원이나 염불원에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고 말한다. 또한 그러한 수행 과정에서 심성 논쟁과 선 논쟁 등이 일어났다고 그 의미를 부여했다. 

 

□ 리움미술관 이승혜 책임연구원의 “The Role of Laity in Rebuilding Buddhist Devotional and Material Culture in the Late Joseon (조선후기 불교신앙과 물질문화 재건에 있어서 재가신도의 역할)”은 조선후기 불교계가 존립을 위해 재가신도에게 다가갔던 상황과 재가신도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낳은 불교문화의 변화상을 유기적으로 조명했다.
  ○ 19세기 후반 조선 사회에서 불교가 재흥할 수 있었던 원동력 중 하나로 재가신도들의 역할을 복원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과 정치적 의도를 지닌 재가신도들이 불사의 후원을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분석했다.
  ○ 특히 불교사찰이 유교사회 속에서 신분과 젠더의 제약으로 인해 소외됐던 중인과 여성들에게 그들만의 공간을 제공했다는 점을 밝혔다. 

 

□ 동국대학교 이자랑 교수의 “Restoration and Legitimacy of the Bhikṣu Precept Lineages in the Late Joseon(조선후기에 나타난 비구 계맥의 회복과 정통성)”은 19세기 조선불교계에 나타난 비구 계맥 회복 현상, 특히 19세기 초에 대은 낭오의 서상수계로 계맥 회복이 실현되어 감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에 만하 승림 등이 수계를 위해 중국행을 선택하게 된 교리적, 시대적 배경을 고찰했다.
  ○ 필자는 서상수계가 계율 전통에서 비구 수계법으로 허용될 수 없다는 점, 대은의 계맥이 19세기 중후반에 이르러서야 비구계로 수용되며 본격적인 정통성 논란을 불러일으켰을 것이라는 점, 19세기 말에 조선과 중국 간에 정기항로가 개설되면서 양국 간에 인적 왕래가 촉진될 수 있었다는 점 등을 분석하고 있다.

 

□ 『Korea Journal』은 매 호마다 지금 현대 한국 사회에서 살펴봐야 하는 시의적인 주제로 특집을 발간하고 있으며, 2022년 하반기에도 매 호 특집 발간을 예정하고 있다.

 

□ 본 특집호(2022년 여름호)는 한중연 누리집(www.aks.ac.kr) → 출판·자료 → Korea Journal로 접속하면 원문을 읽을 수 있다.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한국학중앙연구원, 실전과 같은 을지연습 실시!
이전글 에콰도르 교과서에서 한국의 ‘직지’ 를 다룬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작년까지 총 2,600여 건의 외국교과서 내용 개선
TOP
전체메뉴